항목

  • 최충헌 무인정권 시대의 정점을 달리다
    고려 무인정권 시대의 서막 고려 역사가 중반을 넘어선 1170년(의종 24), 무인들은 자신들의 처우에 대해 불만을 품고 이른바 무신정변을 일으켰다. 이로써 문신들이 대대로 지배하던 정치권력을 무인들이 차지했으며, 이후 수십 년간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무신들의 피비린내 나는 싸움이 계속되었다. 그 가운데 쟁쟁한...
    시대 :
    고려
    출생 :
    1149년(의종 3)
    사망 :
    1219년(고종 6)
    본관 :
    우봉(牛峰)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최충헌 최란(崔鸞), 崔忠獻
    최충헌은 고려 후기 무신 집정 이의민을 제거하고 무신 정권의 최고 권력자가 되어 교정별감(敎定別監)을 역임한 무신이다. 1149년(의종 3)에 태어나 1219년(고종 6)에 사망했다. 그는 피의 숙청을 통해 자신의 정권을 안정시키는 한편, ‘봉사십조(封事十條)’의 개혁책을 올리기도 하였다. 반대 세력의 저항을 평정하...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최충헌 崔忠獻
    최충헌의 암중모색 이의민 정권은 이의민의 아들 이지영과 최충헌의 동생 최충수 사이의 비둘기를 둘러싼 분쟁을 계기로 하루아침에 몰락하고 말았다. 하지만 이는 표면적인 계기에 불과하고 이의민 정권에 대한 불만이 최충헌을 비롯한 그 주위의 인물들에게 누적되어 왔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이의민을 숙청하고 ...
  • 최충헌 崔忠獻
    1196년 권신 이의민을 죽이고 평량공 민을 옹립하면서 최씨 무신 정권을 확립했다. 1198년 만적의 난을 토벌하고 군사권과 인사권을 장악했고, 교정도감을 설치해 국정 전반을 감독했다.|무신 시대의 전성기를 구가하다 최충헌은 고려 무신 정권의 최정점에 있던 인물로 무려 24년 동안 독재자의 지위를 누렸다. 권력...
    출생 :
    1149년
    사망 :
    1219년
  • 최충헌 고려 후기의 무신집권자
    고려 의종 때 4대 60여 년에 걸친 최씨 무인정권의 기반을 마련한 고려 후기의 무신집권자. 1196년 동생 최충수와 함께 이의민을 살해하고 그 일당을 숙청해 정권을 장악했으며 이후 동생 충수가 딸을 태자비로 들이려 하자 이에 반대해 군사력으로 제압하고 동생을 살해했다. 이외에도 자신의 뜻에 반대하는 모반이나 ...
    출생 :
    1149(의종 3)
    사망 :
    1219(고종 6)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본관 :
    우봉(牛峰, 지금의 황해도 금천군)
  • 무신 정권을 세운 사람들, 이의민 vs 최충헌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는 말이 있어요. 하늘을 나는 새를 떨어뜨릴 정도로 큰 권력을 가진 사람도 10년 이상 권력을 누리기는 쉽지 않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지요. 그런데 우리 역사에서 무려 60여 년 동안 나라를 좌지우지한 가문이 있으니, 바로 최충헌으로 상징되는 최씨 무신 정권이에요. 최씨 무신 정권을 있게...
  • 최충헌, 교정도감 설치
    최고 권력자 최충헌이 자신을 암살하려는 시도가 일어나자 관련자를 잡기 위한 임시 기관으로 개경 흥국사 남쪽 영은관(迎恩館)에 교정도감을 설치했다. 암살 기도의 주모자는 청교역 역리(驛吏, 역에서 근무하는 하급 관리) 3명이었다. 이들은 최충헌과 최우 부자를 암살하기 위해 승려들과 힘을 모으고자 주변 사찰에...
    시대 :
    1209년
    국가/대륙 :
    한국
  • 최충헌 Ch'oe Ch'ung-hŏn, 崔忠献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 중기 ~ 후기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인이다. 최씨 정권의 첫 번째 지도자이다. 본관은 우봉(牛峰)이며 초명은 최난(崔鸞)이고 시호는 경성(景成)이다. 1196년부터 1219년까지 23년 동안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최씨 정권을 연 첫 권력자이자 장군이다. 이의민...
    도서 위키백과
  • Choe Chung-heon 최충헌, 崔忠献
    Choe Chung-heon (1149 – 29 October 1219) was a military ruler of Korea during the Goryeo period.Choe's father was a Grand General in the Goryeo military, hence precipitating his own entry into the military. Choe witnessed military men become all-powerful in the quick succession of military leade...
  • 도방 都房
    위하여 결사대 백수십 명을 불러모아 사제(私第)에 머물게 하고, 이를 도방이라 불렀다. 이 도방은 1183년(명종 13) 경대승이 죽자 곧 폐지되었다. 그러나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그전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의 규모로 재건되었는데, 이후 최씨정권을 지탱하는 중요한 무력기반이 되었다. 최충헌은 이의민(李義旼)을 타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 22대 강종 즉위
    희종이 내시낭중 왕준명, 참정 우승경 등에게 명령을 내려 최충헌을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왕위에서 쫓겨났다. 왕준명 등은 최충헌을 수창궁으로 불러 희종을 알현하게 하고, 이때를 노려 최충헌을 공격했다. 최충헌은 희종에게 구해 달라고 사정했으나 희종이 이를 거절하자, 지주사의 방에 숨었다가 최우의 도움으로...
    시대 :
    1211년
    재위 :
    1211년~1213년
    국가/대륙 :
    한국
  • 최씨정변
    최씨정변(崔氏政變)은 최충헌(崔忠獻)이 아우 최충수(崔忠粹)와 같이 일으킨 난이다. 이 난으로 62년간 최씨정권이 지속된다. 당시 집권자 이의민은 이지순(李至純)과 이지영(李至榮), 그리고 이지광(李至光)이라는 아들을 두고 있었는데 이 3형제는 아비의 힘을 믿고 유부녀를 납치해 겁탈하거나 백성의 재산을 약탈...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최충헌 묘지명
최충헌 열전
최충헌의 묘비
무신 정권의 출현과 고려 사회의 혼란
《고려사》
이의민 vs 최충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