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계효용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의 소비를 한 단위 늘림에 따라 추가로 증가한 효용을 한계효용이라 한다. 한계효용은 총효용의 변화분을 소비량의 변화분으로 나눔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효용은 증가하지만, 한계효용은 그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Diminishing Marginal Utility효용이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 한 재화를 추가로 소비했을 때 변화하는 만족감의 크기를 나타낸다. 해당 재화의 소비량을 늘릴수록 총 효용(Total Utility)은 증가하지만 추가되는 단위가 주는 한계효용은 줄어들게 되는데, 이를 가리켜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임금이...
-
콩진다. 총화수(總花穗: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에 대한 정상협수(正常莢數: 정상적으로 맺힌 열매의 숫자)의 비율을 결협률(結莢率)이라 하는데, 콩의 결협률은 20∼45%에 불과하다. 결협률을 조장(助長)하려면 영양조건을 개선하여야 한다. 콩의 열매를 보면 꼬투리에 접착되었던 부분인 배꼽의 양쪽에 주공(珠孔)과 합...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