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촉수 觸手, tentacle
    동물체의 앞쪽 끝이나 입 주변 등에 있는 자유롭게 신축, 굴곡하는 돌기물로, 특히 촉각, 화학감각의 수용기를 갖춘 것의 총칭. 자포동물의 경우 자포(刺胞)를 갖고 있어 자신을 방어하거나 공격하는 데 사용하기도 하고, 와충류는 숙주를 고착시키는 데 이용하며, 호흡, 섭식기관으로 기능하는 경우도 있다.
    도서 생명과학사전 | 태그 동물
  • 촉수 觸鬚, arista
    [1] 곤충의 촉각(觸角) 선단부(先端部)에 나는 나뭇가지모양의 돌기. [2] 다모류(多毛類)의 촉수(觸手).
  • 촉수 觸手, barbel
    물고기의 머리에 있는 감각돌기.
  • 촉수 觸手, palp
    음식물 섭취를 위한 부속기, 또는 절지동물의 입에 부착되어 있는 마디가 있는 감각부착기의 1종.
  • 촉수 Tentacle, 触手
    촉수(觸手)는 주로 무척추동물과 같은 하등동물의 입주변에 있는 근육성의 가늘고 길게 돌출되어 있는 돌기를 말한다. 말미잘, 해파리와 같은 강장동물에서 주로 볼 수 있다. 호흡기, 포식기, 감각기의 역할을 하며, 먹이가 되는 작은 동물에 닿으면 먹이를 감거나, 때로는 촉수 중에 있는 자사로 액체를 배출해서 먹이...
    도서 위키백과
  • 노랑촉수 수염치, yellow-fin goatfish
    형태 D Ⅶ-9; A 7; P1 13~14 몸은 길고 단면은 반원형이다. 주둥이 아래에 1쌍의 노란 촉수가 있다. 양턱에는 2~3열의 이가 있다. 측선비늘 수는 31~33개, 새파 수는 6~8+17~19개이다. 몸은 선홍색을 띠어 아름답고, 모든 지느러미는 투명하지만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상엽에는 암적색 줄무늬가 있다. 전장 약 15c...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촉수과(Mullidae)
    학명 :
    Upeneus japonicus (Houttuyn)
    북한명칭 :
    수염치
    분포지역 :
    서해 남부와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 일본~남중국해, 인도양, 서태평양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hapteron (동의어 촉수) 촉수(觸手, tenaculum), 부착기 반상체
    조류(藻類)의 세포가 변형된 부착세포.
  • 두줄촉수 Japanese goatfish
    형태 D Ⅷ-Ⅰ, 8; A 7; P1 14~16 몸은 길고 단면은 반원형이다. 입술은 두껍고, 아래턱에 육질의 수염이 1쌍 있다. 측선비늘 수는 30개, 새파 수는 5~7+21~22개이다. 몸은 황적색을 띠고, 주둥이에서 체측 중앙부까지 3개의 어두운 색 세로줄 무늬가 있으며, 미병부 위에 눈보다 크고 검은 반점이 1개 있다. 각 지느러...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촉수과(Mullidae)
    학명 :
    Parupeneus spilurus (Bleeker)
    분포지역 :
    제주도, 일본 남부~필리핀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촉수 觸手類, goatfish
    숭어류(영어 이름은 mullet)와는 무관하다. 촉수류는 2개의 잘 발달된 등지느러미와 1쌍의 긴 턱수염이 특징이다. 이 수염은 촉수류의 먹이인 바다 밑바닥의 작은 무척추동물들을 찾는 데 쓰이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목에 있는 홈 속으로 들어가 있다. 얕은 물에 서식하는 촉수류는 따뜻한 지역과 열대지역에서 진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어류
  • 촉수담륜동물 觸手膽輪動物
    좌우 대칭성 동물은 선구동물과 후구동물로 분류되고, 선구동물은 촉수담륜동물과 탈피동물로 분류된다. 편형동물과 연체동물, 환형동물이 촉수담륜동물에 속한다. 촉수는 하등 무척추 동물의 몸 앞부분이나 입 주위에 있는 돌기 모양의 기관. 촉각, 미각 따위의 감각 기관으로 포식 기능을 가진 것도 있다. 담륜자는...
    도서 다음백과
  • 촉수 Atentaculata
    촉수가 없으며 몸은 약간 납작하지만 큰 입과 인두 때문에 주머니 모양이다. 길이가 30㎝ 이상 자라는 베로이속은 입술로 먹이를 잡아 인두근육과 거대섬모(macrocilia)를 이용해 삼키는데, 거대섬모는 융합된 섬유다발이다. 입술에는 끈적끈적한 점액과 독물질을 분비하는 샘이 있다. 즐판대 아래에 있는 8개의 자오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촉수엄금 손대지 마시오, 觸手嚴禁
    보기 전에는 그 뜻이 명확하게 떠오르지 않는다. 한 번 듣거나 봐서 그 뜻을 알기 힘든 이런 한자어는 되도록이면 쓰지 않는 것이 좋겠다. 바뀐 뜻 ‘손대지 마시오’라는 순우리말 문구로 바꿔 쓸 수 있다. 보기글 ㆍ‘손대지 마시오’란 우리말보다 ‘촉수엄금’이라는 한자어를 쓰면 더 권위 있어 보이고 위압감을 주나?
    유형 :
    고사성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촉수(barbel)
인디안촉수
노랑촉수
촉수엄금
금줄촉수
주황촉수
먹줄촉수
오점촉수
두줄촉수
점촉수
노랑줄촉수
큰점촉수
해파리 응급처치법_촉수와 자포 제거
산호의 촉수 부분을 확대한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