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러스를 감지하는 초박형 실리콘 나노전선
    바이러스의 존재를 전기적으로 감지 가능한 초박형 실리콘 나노전선이 미국 하바드대학(Harvard University) 찰스 M. 리버(Charles M. Lieber) 교수와 마크 하이만 Jr.(Mark Hyman Jr.) 교수의 공동연구로 개발되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초박형 실리콘 나노전선 검출기의 성능은 '놀라움' 그 자체이다. 연구보고서에...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당신을 위한 피임
    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성매개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감이 떨어진다면서 콘돔을 거부하는 남성들이 많은데, 초박형 콘돔은 착용감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콘돔 중에는 흥분도를 더 높여주는 윤활액이 발라져 있는 것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파트너가 피임에 비협조적...
  • 두 손이 자유롭게! 이제는 ‘입는 컴퓨터 시대’라고!?
    내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등 중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병원에서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질병을 관리하는 방법도 크게 달라질 게 분명하다. 초박형 센서에 대한 연구 성과는 속속 나오고 있지만 실용화되기 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은데, 그중 배터리 문제가 크다. 얇고 작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동력을...
  • 초박절편 超薄切片, ultra-thin section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 제작하는 매우 얇은 절편.
  • 심비디움 모자이크 바이러스 CymMV, Cymbidium mosaic virus
    등의 매개자에 의해서는 전파되지 않는다. 난과식물에서만 전신적으로 감염되고, 번앵초 등에서는 국부적으로 감염이 된다. CymMV에 감염된 난과식물의 잎의 초박절편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각종 세포의 세포질 및 액포에 굴곡된 사상입자가 흩어져 있거나 또는 집합해 있는 상이 관찰된다. CymMV가 난 잎의 조즙액 중...
    분류 :
    Potexviruses
    핵산형태 :
    실모양
    형태 :
    ssRNA
  • 스테코 STECO,LTD
    조립 기술보다 정교한 기술을 요한다. 고집적 반도체 칩은 벽걸이형 TV,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내비게이션 모니터 등 각종 기기의 액정화면을 구동시켜 주는 초박형 반도체 소자로 쓰인다. COF(Chip On Flex 또는 Chip On Film)는 폴리아미드 기판에 범핑(bumping)된 칩을 접합하는 조립 기술로, 얇고 유연한 특징을...
    설립 :
    1995-06-30
    국가 :
    대한민국
    그룹사 :
    삼성그룹
    기업형태 :
    주식회사
    업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취급품목 :
    TAB형 반도체 조립품의 제조 및 판매
    사이트 :
    https://www.steco.co.kr
    본사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3공단1로 20
    도서 기업사전 | 태그 기업
  • 관찰표본 제작
    전자가 통과할 수 있다. 고정·탈수 과정을 마친 생물 시료는 메타크릴레이트나 에폭시 수지에 포매시킨 다음 울트라마이크로톰(ultramicrotome)을 이용하여 초박절편으로 자른다. 나이프에 의해 절편이 잘리면서 증류수 위에 뜨게 되는데 이것을 다시 구리 격자판 위에 올려 건조시킨 다음 전자현미경 속에 넣어 관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차세대디스플레이개발자
    수행직무 고화질, 초경량, 초박형, 저전력 및 다기능의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원천기술을 개발한다. 전자, 전기, 물리, 화학, 화공, 재료, 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융합하여 패널설계, 전기회로(Circuit)설계, 기구 및 광학설계 등 각 분야별로 연구를 진행한다. 패널설계의 경우 고객 사양 검토, Mask설계, TFT...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종합
    직무기능(사람) :
    협의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고용직업분류 :
    [1532]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342]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자격/면허 :
    전자기사, 전기기사, 전파통신기사, 전파전자기사
    표준산업분류 :
    [C262]전자부품 제조업
    조사연도 :
    2014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삼성SDI㈜ 삼성에스디아이㈜, 三星─(株)
    2차전지 사업에 진출하였다. 2001년 4월 국내 최초로 플라스틱 터치패널을 생산하였다. 2001년 10월 멀티디스플레이 브라운관(MDT)을 개발하였고, 12월에는 초박형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하였다. 2003년 2월 제12회 경제정의기업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9월 AMOLED 및 모바일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삼성...
    시대 :
    현대
    위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150-20(공세동)
    설립 :
    1970년
    성격 :
    기업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영상기기연구원
    OLED) 등의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공중파 방송이나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영상기기를 연구·개발한다. 고효율의 초박형 고선명, 고화질, 입체영상이 가능한 대형영상기기를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영상처리장치나 LED광원, 3D전환회로 등의 관련 부품을 연구하고 전계방출표시...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종합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유사명칭 :
    영상기기연구개발자, 영상기기개발연구원, 영상기기개발원, 디스플레이연구원
    고용직업분류 :
    [1532]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342]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표준산업분류 :
    [C265]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조사연도 :
    2014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전염병 바이러스 10분 내 현장 진단 가능한 PCR 개발​
    매우 부적합한 실정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광열 나노소재 기반 초고속 플라즈모닉 열 순환기, 미세 유체 랩온어칩 기반 금속 박막 카트리지, 초박형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형광 현미경 등 최첨단 마이크로 나노기술을 접목했다. 이 현장 진단형 플라즈모닉 핵산분석 시스템을 핸드헬드 크기로 코로나-19 RNA...
  • 피킹 센서 peeking sencor
    영역 감지용 포토 센서인 에어리어 센서의 하나. 작업 공간에서 부품을 꺼내는 것을 감지하거나 조립 라인에 부품이 도착하는 것을 감지하는 용도로 쓰인다. 렌즈는 구면 렌즈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여러 겹으로 굴절을 만든 프레널 렌즈를 사용하여 초박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