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닝 chaining
    [1]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조작에서 입출력을 위해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채널이 있다. 채널의 작동은 어떤 레코드의 전송이 끝날 때에 정지하나 다음에 하는 작업이 미리 결정될 때에는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동적으로 다음 지시를 연쇄시키는 방식. [2] 채널 명령이라고 하는 패러미터를 열 모양으로 결...
    분야 :
    프로그래밍
  • 데이터 이닝 data chaining
    때 데이터 체인 플래그가 1이면, 입출력 장치와의 논리적인 결합을 풀지 않고 다음 채널 지령을 주기억에서 판독하여 새로운 주기억번지와 데이터 카운트에 의거하여 데이터 전송을 계속한다. 입출력장치 측에서는 데이터 이닝 처리가 개재하더라도 그것을 의식 할 필요는 없으며, 일련의 데이터 전송처리가 이루어...
    분야 :
    정보장치
  • 이닝 오버플로 chaining overflow
    직접 액세스 기억장치에 있어서 다음에 사용될 상위 트랙에 오버플로 레코드를 기록하는 것. 각 트랙에는 홈 트랙과 오버플로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레코드가 포함된다.
    분야 :
    정보장치
  • 채널 프로그램 channel program
    있다. 이 경우 CPU의 명령에 상당하는 것이 채널 명령이다. 채널 명령은 명령 체인과 데이터 체인으로 연쇄되어 채널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명령 이닝, 데이터 이닝 참고). 각 채널 프로그램은 주기억 장치에 격납된다. CPU에서 입출력 기동 명령에 의해 입출력 장치의 번호와 채널 프로그램의 선두 번지가 지시되어...
    분야 :
    정보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 플래그 flag
    어떤 인터럽트 요인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비트를 인터럽트 플래그라고 한다. 연산이 넘치거나 연산 결과가 ‘0’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플래그도 흔히 쓰인다. 또, 입출력 코맨드 내의 코맨드 이닝이나 데이터 이닝을 지시하는 비트도 그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플래그라고 한다.
    분야 :
    컴퓨터 방식
  • 맨스플레인 Mansplaining, マンスプレイニング
    맨스플레인(mansplain)은 남자(man)와 설명하다(explain)을 결합한 단어로, 대체로 남자가 여자에게 잘난 하며 아랫사람 대하듯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설명을 듣는 사람이 설명을 하는 사람보다 많이 알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정의하였고,뉴스 인용 리베카 솔닛은 남성의 "과잉 확신과 무지함...
    도서 위키백과
  • 파이프라인 처리 pipeline processing
    있는 대로 적게 할 필요가 있으며, 소프트웨어에서의 지연분기나, 하드웨어에서의 은폐 레지스터 등 여러 가지 궁리가 되어 있다. 복수의 연산 파이프라인을 벡터 레지스터를 개재시켜 접속하고, 파이프라인 처리과정을 확장하는 수법을 이닝(chaining)이라 하고 슈퍼컴퓨터에 쓰이고 있다. 〈참조어〉 파이프라인 중단
    분야 :
    정보장치
  • BMT 캐나시선 BMT 캐나시선, BMT Canarsie Line
    Q로 체인(chain,연결)되어있다. 이는 L로 지정된 노선에서 운용하는 문자 체계와 관계가 없다. 노선상의 트랙은 캐나시 행으로 Q1, 맨해튼 행으로 Q2이다. 이닝 제로(chaining zero)는 맨해튼의 8번가와 14번가의 나침반 방향 서쪽 끝에 위치한 BMT Q이다. 전체 캐나시 선은 체인 문자 BMT Q와 동일한 시간을 차지하며...
    도서 위키백과
  • ISO/IEC 14443 ISO/IEC 14443
    power and signal interface ISO/IEC 14443-3:2018 Part 3: Initialization and anticollision ISO/IEC 14443-4:2018 Part 4: Transmission protocol 데이터 블록 이닝 대기 시간 확장 다중 활성화 ISO/IEC 14443은 컴포넌트에 대해 다음 용어를 사용한다: PCD: proximity coupling device (카드 리더) PICC...
    도서 위키백과
  • 해시 테이블 Hash table, ハッシュテーブル
    색인(index)을 버킷(bucket)이나 슬롯(slot)의 배열로 계산한다. 해시(hash)의 개념은 각기 다른 곳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다. 1953년 1월 H. P. Luhn은 이닝(chaining)으로 해시를 사용한 내부 IBM 비망록을 작성했다. G. N. Amdahl, E. M. Boehme, N. Rochester, Arthur Samuel은 거의 같은 시기에 해시를 사용...
    도서 위키백과
  • ThreadX ThreadX
    제공한다. ThreadX의 주요 차별화된 기술 특성에는 선점 임계값, 우선순위 상속, 효율적인 타이머 관리, 빠른 소프트웨어 타이머, 피코커널 설계, 이벤트 이닝 및 작은 크기가 포함된다. ARM 아키텍처 프로세서의 최소 크기는 약 2KB이다. ThreadX는 AMP(비대칭 멀티프로세싱) 또는 SMP(대칭 멀티프로세싱)를 통해...
    도서 위키백과
  • 하모니카 (운영 체제)
    시스템 바이오스에서 시작되어 커널모듈까지 이어지는 과정에서 보안 체인을 형성하여 인가되지 않는 불법적인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차단하는 커널 시큐어 이닝 기술이 제공된다. 응용프로그램의 경우 커널의 리눅스 보안 모듈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프로그램별로 사용권한을 제한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