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아프리카의 저개발, 누구의 책임인가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가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는데, 식민 종주국인 유럽이 이로부터 자유로울 리 없었다. 이런 의문들이 결집되어 1960년대의 유럽 책임론으로 발전했는데, 그 누구도 아닌 아프리카 정치 지도자들이 이에 열광했다. 독립 직후 의욕적으로 경제 개발을 시도했던 이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실패를...
-
형법 총칙, 심신 장애자 전혀 기억이 없는뎁쇼!가진 존재로 간주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자기 의사에 따라 위법한 행위를 했기 때문에 가해지는 도의적 비난이 책임을 묻는 근거라는 '도의적 책임론'과, 인간은 자유의사를 가진 존재가 아니라 천차만별의 소질과 주위 환경에 의해 필연적으로 지배받는 존재라고 파악하여 행위자의 반사회적 성격에서 유발된...
-
손해배상 損害賠償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사회변동으로 19세기 말엽부터 책임원인에 관하여 많은 논의가 집중되어 권리남용론, 객관적 책임론, 위험책임론, 사회적 책임론, 무과실책임론 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오늘날에는 일조권(日照權)·환경권(環境權)이라는 새로운 권리의 등장이 불가피하게 되어 공해배상론(公害...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롱갈리트파동 롱갈리트(Ronglaite), rongalite波動의 규제 방식이 변경되며 롱칼리트 사용이 갑자기 불법이 된 것이므로 롱칼리트 사용을 용인해야 한다고 제조업자 편을 들기 시작하였다. 롱갈리트파동이 중앙정부 책임론으로 확대되자 보건사회부와 검찰은 서둘러 타협하였다. 검찰은 11월 29일 7개 제과업체 관련자를 기소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 보건사회부도 12...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사회운동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언론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책임을 져야 하나?, 피의사실 공표 被疑事實公表는 정서였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모든 게 일순간에 역전되었다. 이와 관련, 박경신 고려대학교 법대 교수(참여연대 공익법센터 소장)는 「언론 책임론 방향 잘못됐다」는 제목의 칼럼에서 "노 전 대통령은 우리의 슬픔의 크기만큼이나 공적인 인물이었고 그의 임기 중 비리 혐의에 대한 정보는 국민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