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선전 縇廛線廛) 또는 섬전(閃廛)이라 쓰기도 하였다. 선전을 입전(立廛)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중국의 비단인 선단(線緞, 閃緞 또는 線緞)의 ‘선’을 서다[立]로 차훈하여 불렀다고 한다. 유분각전(有分各廛) 중에서도 가장 많은 10분의 국역부담을 지고 있었다. 선전이 취급한 물종을 「한양가(漢陽歌)」에서 들어보면 대체로...
- 시대 :
- 조선
- 성격 :
- 경제단체, 시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힐데루시 자연치유 협동조합있다. 오감치유 프로그램은 1박 2일 프로그램, 하루 프로그램, 틈새 프로그램이 있으며 아로마 테라피, 푸드 테라피, 컬러(tea)테라피, 뮤직테라피, 차훈명상 테라피의 다섯가지 치유목적 테라피를 경험할 수 있다. 농장체험 프로그램은 포천 구절초 체험, 허브체험, 푸드체험이 있다. 힐데루시 자연치유 협동조합은 삶...
- 위치 :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청신로1341번길 10-20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가동 마을 佳洞 마을[명칭 유래] 옛 이름은 가보들골로, 첫 자인 가를 따고, 골[고을]을 차훈한 동(洞)을 붙여 가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가보들골이란 갓보들골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데, 갓은 산(山)을 말하며, 보는 논에 물을 대는 보(洑), 들은 평(坪), 골은 동(洞)으로, 가보들골을 한자로 표기하면 산보평동(山洑坪洞)이 되어 산동...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고리 古里이후 화사을포(火士乙浦) 또는 화포(火浦)로 불리다가 고리가 되었다. 아이포는 ‘작은 개’ 또는 ‘포구’라는 뜻으로 작다는 말을 아이로 표현했고, 이를 그대로 차훈하여 아이(阿爾)로 이름 붙였다고 전한다. 화사을포는 봉화대가 설치되면서부터 불린 이름인데, 불[火]을 사르다[士乙]와 갯가[浦]를 합쳐 붙인 명칭...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두명리 울산 박씨 세거지 斗明里 蔚山 朴氏 世居地부명 마을의 합성 지명이다. 두전 마을 옛 이름은 말밭이었다. ‘말’은 산마루로 솟음산을 뜻한다. 말밭은 솟음산 남쪽에 있는 밭이라는 뜻이 된다. 말을 차훈하여 끝 말(末)로 표기하다가 말 두(斗)로 풀이되는 오류로 전혀 다른 의미의 두전(斗田)이 되었다고 본다. 부명 마을 옛 이름은 벌울로, 벌판에 설치한 병영...
- 분야 :
- 성씨·인물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월전 마을 月田 마을있는 밭, 또는 산에 있는 밭이라는 뜻에서 달밭이라 하였다고 한다. 달밭을 한자명으로 하면 고산(高山) 또는 산전(山田)이 되어야 하는데, 달 ‘월(月)’을 차훈해 월전이 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월전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마을이 속한 지역은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두명리 斗明里부명 마을의 합성 지명이다. 두전 마을의 옛 이름은 말밭이었다. ‘말’은 산마루로 솟음산을 뜻한다. 말밭은 솟음산의 남쪽에 있는 밭이라는 뜻이다. 말을 차훈해 끝 말(末)로 표기하다가, 말 두(斗)로 풀이되는 오류로 전혀 다른 의미의 두전(斗田)이 되었다고 본다. 부명 마을의 옛 이름은 벌울로, 벌판에서 설치한...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작은자리이는 작은 개 또는 포구라는 뜻이다. 옛사람들은 작다는 말을 아이[小兒]로 표현했고 이를 그대로 차음(借音)하여 아이(阿爾)로, 그리고 개 또는 물가를 차훈(借訓)하여 포(浦)라 하여 아이포라고 이름 하였고, 작은자리로 불리게 되었다. [자연 환경] 작은자리 뒤쪽으로 국도 제31호선이 지나며, 해안에는 임랑...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임기리 林基里林基里)의 옛 지명은 숲터였다. 임기천 주변의 넓은 평지 주변에 우거진 숲이 있었는데, 이 숲을 개간하여 취락이 형성하였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숲터를 차훈 표기하여 임기(林基)가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조선 후기 기장현 하서면에 속하였으나 『기장현읍지(機張縣邑誌)』[1831]에는 마을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