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차출
    출처 필요 차출 이란 차량이 기존 노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옮겨 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현상을 "차출되었다" 고 하고 애칭으로 이런 차량들을 "알바차" 라고도 한다. 1. 경춘선 361014,361015 열차가 경의-중앙선으로 차출되면서 문산차량사업소로 이적되었다가 다시 경춘선으로 돌아오면서 평내차량사업소로 가게 되었...
    도서 위키백과
  • 공녀 貢女
    몽골이 제1차 침입 직후인 1232년(고종 19)에 왕족과 대관의 동남·동녀 각 500명 및 공장·자수부인(刺繡婦人)을 바치라고 요구한 것이 그 시초이다. 고려와 몽골 간의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몽골은 여러 차례 막대한 숫자의 여자를 보내라고 요구했다. 이는 복속정책 내지 근친정책(近親政策)이라는 표면적 이유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노 담화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 河野談話
    통해, 또는 군부대와 관련된 매춘업 종사자가 자의로 위안부를 모집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위안부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강제 차출이 시작되었다. 1941년부터 시작된 강제 차출은 한반도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타이완, 필리핀 등 일본의 식민지배지역 전역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유럽 국가에서는 점령 상태...
    시기 :
    1993년 8월 4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일본
  • 영접도감의궤 迎接都監儀軌
    미면색에서 담당한 것은 미면·다주(茶酒)·향약(香藥)·거촉(炬燭)·등유(燈油)·시탄(柴炭)·방배기명(房排器皿) 등이다. <좌목>의 낭청에는 형조정랑이 차출되고 있다. ≪영접도감사제청의궤≫ 1책은 사신명, 사제의 일시, 좌목이 기록되고, 계사·전교·감결·이문(移文)·품목이 날짜순으로 기록되고 이어 반차도...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시대
    성격 :
    의궤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교정청 校正廳
    淸國崇拜者)”의 권모술수라고 자국의 외무대신에게 보고하였다. 변천과 현황 교정청은 시·원임대신 6명을 총재관으로, 당상관 15명과 낭청 2명을 위원으로 차출하였고, 의정부 예하에 두어 모든 공문에는 의정부의 인신(印信)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총재관에는 신응조(申應朝)·심순택(沈舜澤)·김홍집(金弘集...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4년(고종 31) 6월 11일(음)
    폐지일 :
    1894년(고종 31) 6월 25일(음)
    시행처 :
    의정부(議政府)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수묘인 수묘호(守墓戶), 守墓人
    한다고 생각하였다. 수묘인이 설치된 것은 이와 같은 사상적 배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광개토왕릉비문」에 따르면, 수묘인 연호는 복속민으로부터 차출되었다. 그들 간에는 국연(國烟)과 간연(看烟)의 구별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신라나 다른 나라의 경우도 그러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일본의 경우...
    시대 :
    고대/삼국/신라 , 고대/삼국/고구려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법사 法私, Beopsa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법사 표기는 해당 가호의 장정이 법당 군단 가운데 ‘법(法)’자를 가진 부대, 예를 들어 외법당(外法幢) 등과 같은 재지 부대에 차출되어 농민 군사로 편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군역 차출 때 호등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가호의 빈부를 고려하지 않은 채 각 가호별로 장정 1...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성격 :
    군역 표기
    유형 :
    제도
    시행일 :
    통일신라시대
    시행처 :
    신라 정부
    분야 :
    역사/고대사
  • 김좌진 명여, 金佐鎭
    작전을 시작하였다. 일제가 간도침입에 동원한 일본군 병력은 나남(羅南)의 제19사단 전부와 용산(龍山)의 제20사단으로부터 1개 대대 및 기타 보조 병력을 차출 첨가하고, 시베리아 주둔 11사단 ・ 13사단 ・ 14사단의 일부를 차출하여 모두 5개 사단에서 차출한 2만 5,000명에 달하였다. 여기에 측면 지원으로 관동군...
    출생 :
    1889년 12월 1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사망 :
    1930년 1월 24일
    관련 사건 :
    대한광복회, 성동사관학교, 청산리전투, 경신대학살, 자유시참변, 민족유일당운동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청년학우회 한성연회 간부, 기호흥학회 창립, 호명학교 설립, 대한광복회 부회장,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 사령관으로 청산리독립전쟁(청산리전투) 수행, 대한독립단(대한의용군총사령부) 부총재, 신민부(新民府) 군사위원장 겸 총사령관, 성동사관학교 설립, 혁신의회와 한족총연합회 조직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광복회, 북로군정서, 대한독립단, 신민부, 한족총연합회
  • 원 간섭 이후 한국사의 변화
    침략받는 나라로 전락했다. 원나라의 이러한 수탈로 우리 역사는 상업이 부진한 가난하고 폐쇄적인 나라로 변질되었다. 많은 고려인들이 인질, 공녀, 환관 차출 등의 명목으로 원나라에 끌려가기도 했지만 어떤 이들은 원나라에서 유학도 하고, 벼슬도 했다. 안향, 문익점, 최무선 등이 성리학과 목화, 화약 등을 원나라...
    시대 :
    1231년~1380년
  • 심유현 沈維賢
    후일에 단의왕후로 봉해진 인물이다. 1718년(숙종 44) 세자빈이 사망하자 습렴(襲殮) 때 참여하였고, 같은 해 8월에는 왕세자 가례도감의 낭청으로 차출되었다. 1722년(경종 2) 5월 현릉 참봉에 제수되었고, 같은 해 6월에는 혜릉석물추배도감(惠陵石物追排都監)의 감조관(監造官)으로 차출되기도 하였다. 같은 해 10월...
    시대 :
    조선후기
    사망 :
    1728년(영조 4)
    경력 :
    담양부사(潭陽府使)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무신란(戊申亂)
    직업 :
    주모자
    성별 :
    남(男)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청송(靑松)
  • 간연 看烟
    看視), 간호(看護)한다는 뜻으로 쓰여, 직접 능묘를 지키고 청소하는 등 실무를 담당했으리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간연이 본래 각 지역에서 국연으로 차출된 자들의 지배를 받았던 자들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리고 영세한 호(戶)로서 자력으로 수묘역을 담당할 수 없어 10호가 합해야지 한 몫을 감당할 수...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성격 :
    수묘인 연호(煙戶)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구려시대
    시행처 :
    고구려 조정
    분야 :
    역사/고대사
  • 요역 요부(徭賦), 徭役
    田結數)를 기준으로 요역을 부과하는 계전법(計田法)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역과 지방 잡역에 동원할 역인 수를 토지 규모에 따라 차등 부과해 역인을 차출했다. 요역 동원 기간은 초기에는 평년일 경우 20일간, 풍년일 경우 30일간, 흉년일 경우에는 10일간으로 정하고, 동원 시기도 10월 이후 가을철로 제한했다...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