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주 地主
    그리고 ②형태의 ㉯와 같은 사적 지주경영의 파생형태로서, 17, 18세기 이후의 상품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인 서민지주(庶民地主)가 등장하여 순경제적인 관계인 지주=소작 관계가 발생하게 되지만,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던 ① · ②형태는 결코 순경제적인 관계만으로 농민지배를 행한 것이 아니었다. 즉 ①...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부재지주 不在地主
    개요 전근대 소작제의 경우 농지가 있는 곳에 거주하지 않고 농토를 소작인에게 경작시키면서 고율의 소작료를 받아 생활하던 지주 일반을 가리킨다. 일제강점기에는 기생지주(寄生地主)라고도 불렸다. 8·15해방 이후 농지개혁이 시행되어 농지를 직접 경작하지 않는 부재지주의 농지는 모두 소작인에게 분배하고 지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지주 地主, landowner
    넓은 의미로 토지소유자를 뜻하기도 했으나, 대체적으로 토지대여를 통해 지대를 수취하는 자를 가리킨다. 지주에게 토지를 빌려 경작하는 전호라 하는 소작인이 있었는데, 이러한 지주와 전호의 관계는 서양봉건사회의 영주와 농노 사이에 맺어지는 생산관계에 비견된다. 지주는 봉건사회에서 사적 토지소유를 더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지주 地主
    다른 뜻 지주(地主)는 토지의 소유자, 또는 소유한 토지를 남에게 빌려 주고 지대를 받는 사람을 뜻한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일평지주 一坪地主
    일평지주, 한평지주, 또는 지분 쪼개기, 토지 쪼개기는 토지 소유자가 특정 지역의 땅을 1평(약 3.3m2) 단위 이하로 쪼개 다른 인물과 나눠갖고서 등기부 상 토지명의인(소유자)를 늘리는 행위이다. 이 일을 통해 1평이나 그 이하의 단위로 쪼개진 토지는 일평공유지라고 부른다. 보통 님비나 자연환경 보호, 그 외 기타...
    도서 위키백과
  • 지주회 地主會
    일제는 강점 이전부터 지주 전체를 망라하는 지주단체의 설치를 구상해왔는데, 19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설립이 추진되었다. 지주회는 도가 정하는 지주회 규칙에 따라 군수가 회장, 군 서무주임이 부회장이 되는 관제단체였다. 회원의 자격은 도마다 다르지만 대개 토지소유 규모가 10정보 이상인 중간 규모 이상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지주회 地主會
    내용 1920년대 초 소작쟁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쌀값이 폭락하는 등 지주의 기득권이 심각하게 위협을 받게 되자, 대지주가 많은 남부지방에서 처음 군단위로 조직되었다. 1920년대 말에는 모두 124개의 군단위 지주회가 결성되었으며, 9만3000명의 지주들이 여기에 가입하였다. 조직이 이와 같이 확산된 것은 총독부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0년대
    성격 :
    경제단체, 이익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한국의 지주
    중에서도 '서민지주'가 등장했다. 이 시기부터 지주는 농지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고 지대를 수취함으로써 부를 축적하는 병작지주(竝作地主)가 대부분이었는데, 여기에는 대개 부재지주나 대지주가 속했다. 당시 궁방전이나 관둔전은 모두 대규모였으며, 민전의 병작지주는 대지주에서 중소지주에 이르기까지 다양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사회
  • Landlord 지주, 地主
    A landlord is the owner of a house, apartment, condominium, land or real estate which is rented or leased to an individual or business, who is called a tenant (also a lessee or renter). When a juristic person is in this position, the term landlord is used. Other terms include lessor and owner...
  • 부재지주 Absentee landlord
    부재지주(不在地主)란, 이익이 나는 땅을 소유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거주하지 않는 지주를 뜻하는 표현이다. 대한민국의 농지법을 보면 전답은 농사를 스스로 짓지 않는 사람은 소유하지 못하도록 정해져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면 외지인도 시골의 농지를 매입하여 전원주택이나 팬션을 운영하며 살고 있다...
    도서 위키백과
  • 우리부루 Jos? F?lix Benito Uriburu y Uriburu, Uriburu
    1930년 9월 군사 쿠데타를 주도하여 이폴리토 이리고옌 대통령의 자유주의 정권을 무너뜨리고 1916년 혁명 이래 자취를 감추었던 지주(地主) 중심의 과두정치를 부활시켰다. 독일의 군국주의 이념과 무솔리니의 협동조합 국가 개념이 그가 새로운 아르헨티나 건설에 적용한 모델이었다고 한다. 우리부루는 아르헨티나의...
    출생 :
    1868. 7. 20, 아르헨티나 살타
    사망 :
    1932. 4. 29, 프랑스 파리
    국적 :
    아르헨티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소작제도 小作制度
    경작시켰고 양인이 몰락하여 소작인화하는 경우에도 신분적 강제를 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8세기의 소작제도는 한편으로 양인신분의 서민지주(庶民地主)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다른 한편으로 소작인의 구성도 양인신분의 농민이 몰락하여 대거 소작인화하여 지주의 소작인에 대한 신분적·경제외적 강제가...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제도
    분야 :
    사회/사회구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