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지방행정제도 地方行政制度지방제도는 남한만을 8도로 구분하고 제주도와 서울특별시를 신설하는 등 개편이 이루어졌다. 1946년 3월 미군정청은 미군정법령 제74호로 종래의 지방과(地方課)를 지방행정처로 승격시켰으나 같은 해 4월 이를 폐지하고, 행정기능을 문교부 · 재무부 · 관재처에 이관시켰다. 1946년 7월에는 제주도를 전라남도에서...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영남지방 교남지방(嶠南地方), 嶺南地方특히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조령의 남쪽에 해당하는 지방이라는 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즉 ‘조령(鳥嶺, 새재)의 남쪽 땅’을 의미한다. 교남지방(嶠南地方)이라고도 불렸다. 자연환경 태백산맥에서 남서방향으로 떨어져 나간 소백산맥은 북쪽의 관동지방, 북서쪽의 호서지방, 서쪽의 호남지방과 각각 경계를 형성...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방선거, 全國同時地方選擧단체(自治團體)의 장(長) 및 지방의회의원(地方議會議員)을 뽑기 위해 전국에서 한날한시 동시에 선거를 치르고 있으며, 실제 선거 실시와 관련된 규정은 「공직선거법」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내용 1987년 국민직선(國民直選)의 제13대 대통령선거를 시작으로 1991년 지방자치제(地方自治制)가 부활되면서 지방의회의원...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지방자치단체장 地方自治團體長지위를 동시에 가지는 이중적 지위에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지방자치단체의 최고 행정청(行政廳)이자 독임제(獨任制) 행정청이다. 변천사항 지방자치(地方自治)를 도입한 초기인 1952년에는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는 임명제(任命制), 기초단체인 시장, 읍장(邑長), 면장(面長)은 지방의회(地方議會)에서 간선(間選...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행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호서지방 충청도, 湖西地方지명 유래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의림지(義林池)의 서쪽 지방이라는 의미로 호서지방(湖西地方)이라 불린다. 자연환경 호서지방의 범위는 동쪽으로 소백산맥을 사이에 두고 영남지방과, 남쪽으로 금강을 사이에 두고 호남지방과, 북쪽으로 한남정맥 및 금북정맥을 사이에 두고 경기지방과 구분된다. 호서지방의 동쪽...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지방분권특별법 지방분권법, 地方分權特別法제정 목적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地方自治團體)의 지방분권(地方分權)에 관한 책무를 명시하고 지방분권의 추진에 필요한 기본 원칙과 추진 과제 및 추진 체계 등을 규정함으로써 지방의 발전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내용 참여정부(參與政府) 때인 2004년 1월 16일 「지방분권특별법」(법률 제...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지방자치 地方自治개설 지방자치란 다의적(多義的)인 개념이다. 즉, 국가에 따라 지방자치가 생성, 발전되어 온 역사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 정의도 각각 다르다. 그러나 지방자치는 전통적으로 주민자치와 단체자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자치단체와 주민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는 자치제도로서, 지방주민들이 일상...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천원지방 天圓地方개설 천원지방(天圓地方)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는 뜻이다. 고대 중국의 수학 및 천문학 문헌인 『주비산경(周髀算經)』에서, “모난 것은 땅에 속하며, 둥근 것은 하늘에 속하니,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라고 선언되어 있다. 고대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비슷한 표현을 찾아 볼 수 있다. 이 명제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지방관제 地方官制1책(63장). 내부(內部)에서 편찬. 『지방관제』라는 제명으로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본이 유일하다.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 등에는 『지방제도(地方制度)』 혹은 『지방제도개정서(地方制度改正書)』라는 제명으로 소장되어 있다. 체재는 먼저 각 법령의 개정이나 재정을 요구하는 청의서(請議書)와 이에 따른 국왕의...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내부(內部)
- 창작/발표시기 :
- 1896년(건양 원년) 8월
- 성격 :
- 정책서, 관청기록물, 칙령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63장
- 간행/발행 :
- 내부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프리모르스키 지구 연해주, Primorsky Kray동해(東海)와 둥베이[東北 : 옛 지명은 만주] 지구 사이에 있으며, 한국에서는 연해주라고 한다. 러시아 연방 극동 지방의 지구들 가운데 가장 작으며, 최남쪽에 있다. 1926년 원래 소비에트 극동 공화국이었던 지역이 극동지구로 바뀌었고, 1938년 극동지구의 일부가 분리되어 지금의 프리모르스키 지구가 되었다. 최고...
- 위치 :
- 러시아 동부의 지구, 동해와 둥베이 지구 사이
- 인구 :
- 1,910,394명 (2020년 추계)
- 면적 :
- 165,900㎢
- 언어 :
- 러시아어
- 국가 :
- 러시아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地方敎育財政交付金法이전에는 초등학교의 의무교육재정에 관해서는 1958년에 제정된 '의무교육재정교부금법'이 있었고, 중등교육의 재원확보를 위해서는 1963년에 제정된 '지방교육교부세법'이 있었지만, 중등교육단계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이 법률이 제정되어 통합되었다. 교부금의 재원은 보통교부세라는 명목으로 지방세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