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명종 왕호(王晧), 明宗명종(明宗)은 고려 후기 제19대(재위: 1170~1197) 왕이다.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에 의하여 국왕으로 옹립되었다.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등 무신 집정자가 교체되는 상황에서 왕위를 유지하였다지만, 1197년(명종 27)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무신정권하에서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민...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
한중풍지단 Hanzung Pungjidan효능효과 중풍, 혼모(머리가 맑지 않음), 풍열 용법용량 대환 : 보통 성인 1일 1회 1환을 식전 또는 식간에 따뜻한 물로 씹어서 복용한다. 보통 성인 1일 1회 1포(1회 용량)를 식전 또는 식간에 따뜻한 물로 씹어서 복용한다. 중환 : 보통 성인 1일 1회 5환을 식전 또는 식간에 따뜻한 물로 씹어서 복용한다. 소환...
- 식약처 분류 :
- [02190]기타의 순환계용약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순환기계 작용약 > 기타 순환계용약 > (한) 중풍, 혼모, 풍열 > 거풍지보단
- 제조/수입사 :
- 한중제약(주)
- 성상 :
- 흑갈색의 환제
- 제형 :
- 환제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연꽃 연실(蓮實), 蓮꽃잎 지름 30~50cm인 원형의 큰 잎이 뿌리줄기에서 나온 긴 잎자루에 달리는데 원기둥 모양인 잎자루는 잎 뒷면의 한가운데에 달리며 짧은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또한 잎자루 안에 뚫려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흰빛이 어린 녹색의 잎이 꽃잎과 더불어 수면 위에 떠서 방패 모양으로 펼쳐지며 물에 잘...
- 학명 :
- Nelumbo nucifer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늪, 연못, 방죽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뿌리(연근)·씨·잎
- 생약명 :
- 석련자(石蓮子)
- 키 :
- 1~2m
- 과 :
- 수련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수생식물)
- 채취기간 :
- 가을(씨), 9월~이듬해 3월(뿌리)
- 취급요령 :
- 날것(뿌리) 또는 말려(열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떫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씨 2~4g, 뿌리 20~35g
- 주의사항 :
- 많이 먹어도 몸에 해롭지 않다.
-
자상성(지단핥음) 피부염 Acral lick dermatitis원인 • 포도상구균성 절창증, 알러지, 내분비성병증, 모낭충증, 피부사상균증, 이물반응, 종양, 창상, 심인성·감각신경 기능 이상 발병 및 역학 • 큰 품종의 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남 • 발현 나이 - 원인에 따라 다양 (개 : 5년생 이상) • 성 - 원인에 따라 몇가지는 수컷에서 더 흔하게 나타남 • 피부사상균증이...
- 축종 :
- 개, 고양이
-
계란 지단 鷄蛋본 뜻 지단은 본래 계란을 가리키는 중국어 ‘지딴〔鷄蛋〕’에서 온 말이다. 바뀐 뜻 ‘계란’ 자체를 가리키던 이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흰자와 노른자를 따로따로 얇게 부쳐서 가늘게 채를 썰어 떡국이나 고깃국 등에 넣는 고명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계란으로 황백을 부친다고 해야 맞는 말이다. 보기글...
- 유형 :
- 한자어
-
한중풍지단 3.75g/환 (대환) Hanzung Pungjidan 3.75g..복약정보 ◦ 이 약은 중풍, 혼모(머리가 맑지 않음), 풍열에 사용하는 한방약입니다. ◦ 발진, 발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순환기계 작용약 > 기타 순환계용약 > (한) 중풍, 혼모, 풍열 > 거풍지보단
- 제조/수입사 :
- 한중제약(주)
- 제형 :
- 환제
- 투여 경로 :
- 내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