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판 옛날 사람들의 계산기심지어는 수학자와 천문학자에 이르기까지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주판을 애용했어요. 처음 만들어진 주판은 윗부분에 한 개의 주판알이 있고, 아랫부분에 네 개의 주판알이 있었어요. 주판알은 지금처럼 기둥에 꽂힌 것이 아니라 홈 안에 들어 있었다고 해요. 그 후에 만든 주판은 지금도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대개...
- 연대 :
- 1,200년 경
-
현대의 주판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을까?오늘날의 표준 주판은 보통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며 크기가 다양하다. 대부분 작은 휴대용 컴퓨터 크기 정도다. 수직인 나무막대나 줄에 꿰인 나무 주판알이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으로 놓인 가름대는 상부와 하부의 두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중국의 주판에는 상부와 하부에...
-
수십 세기 동안 만들어진 주판의 종류는 각기 달랐을까?세제곱근을 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일본의 주판인 ‘소로반(算盤)’은 중국의 주판과 비슷하지만, 각 세로줄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각각 1개의 주판알을 제거하였다. 소로반은 로마의 주판과 비슷하다. 한편 러시아인들은 고유의 주판을 가지고 있었다. 주판의 각 줄에는 10개의 주판알을 사용하며, 상 · 하부의...
-
백자 유개호 白磁 有蓋壺시대 양식을 따랐다. 뚜껑 안에는 7개의 내화토 흔적이 있어 뚜껑은 별도로 소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몸체 외형은 구형에 가깝지만 무게중심이 아래로 처진 주판알 형태를 보인다. 조선시대 항아리의 외형은 크게 매병형의 입호(立壺)와 둥근 원호(圓壺)로 나눌 수 있는데, 백자유개호는 원호에 해당한다. 조선 전기...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작품/조각·공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주판 컴퓨터의 조상시작했어요. 중국에서 쓰인 주판은 대나무로 만들어졌는데, 가운데 수평막대를 기준으로 위와 아래를 하늘과 땅으로 구분했다고 해요. 위에는 주판알이 2개, 아래에는 주판알이 5개가 되도록 만들었고 위쪽 알은 5, 아래쪽 알은 각각 1을 의미해요. 이런 형태의 주판은 같은 시대의 유럽이나 서양에서는 아주 드문 형태...
- 연대 :
- BC3000~2500년
- 유형 :
- 수동식 계산기
-
초기 셈 도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있다. 그 당시에 이런 형태의 셈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살라미스 판이 개발된 후, 로마인들은 기원전 300~기원후 500년에 걸쳐 ‘캘쿨리(Calculi)’라는 주판알과 손 주판(hand-abacus)을 고안해냈다. 이들 셈판은 돌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로마인이 만든 주판 중에는 1개의 가로줄에 8개의 긴 홈과 8개의 짧은...
-
화순 운주사 발형 다층석탑 和順 雲住寺 鉢形 多層石塔이 석괴의 형태는 상하면이 평평하고 별다른 조식은 없으며, 다만 표면 중앙에 상하부를 구별하는 가느다란 선이 한 줄 돌려 있다. 1층과 3층의 부재는 주판알 같은 발형이고, 2층과 4층은 중심부에 1면을 만든 주판알 같은 발형 모습이다. 현황 이 다층석탑은 『조선고적도보』에는 발형 탑신이 7석이 얹어져 있었는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백자 철화 운죽문 항아리 백자철화운죽문호, 白磁 鐵畵 雲竹文 壺내용 199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3.2㎝, 입지름 16.8㎝, 굽지름 15.2㎝.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구연(口緣) 외면을 모깎이하여 주판알처럼 중앙이 도톰하게 돌출되었으며, 구연의 내면은 비스듬하다. 이러한 구연부와 조화를 이루도록 동체도 중앙부가 가장 부풀어 최대 직경을 이루어 주판알같이 배가 불룩하고...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약연 藥碾분쇄기 등을 모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좁은 의미로는 배[舟]모양의 약연만을 가리킨다. 가운데 홈이 팬 배같이 생긴 그릇에 약재를 넣고, 축을 끼운 주판알 모양의 연알을 앞뒤로 굴려서 빻는다. 약연의 시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음식을 갈아먹던 맷돌류인 연석에서 찾을 수 있다. 기원전 수천 년경의 신석기시대에...
- 성격 :
- 의약품
- 유형 :
- 물품
- 용도 :
- 치료
- 분야 :
- 과학/의약학
-
붓순나무습기가 부족한 곳에서도 잘 자라며 다소 음지인 곳에서도 건강히 자란다. 수피와 열매에는 특유의 향기가 있어 향료로 쓰기도 한다. 목재는 부드럽고 촉감이 좋아서 양산대·염주알·주판알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잎이 상록이며 윤기가 있어 남쪽 지방의 정원수로도 적합하다. 열매는 독성이 있어 먹지 못한다. 참고문헌
- 분류 :
- 붓순나무과
- 성격 :
- 식물, 나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3∼5m
- 학명 :
- Illicium religiosum S. et Z.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4월
-
수정 수옥(水玉), 水晶수정목걸이와 미추왕릉(味鄒王陵) 지구에서 출토된 상감유리옥부목걸이는 5, 6세기경에 제작된 것이다. 특히 금령총 출토 목걸이는 한 개의 곡옥형 수정과 주판알을 잡아늘인 형태의 6각형 수정 38개로 이루어졌는데 중심에 가까울수록 수정이 크고 길다. 조선시대에는 수정을 이용한 장신구가 널리 이용되었고 장수약...
- 성격 :
- 광물질, 보석
- 유형 :
- 물품
- 용도 :
- 장식
- 분야 :
- 생활/의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