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청나라에 무릎 꿇은 굴욕의 역사, 병자호란 丙子胡亂갖출 것을 요구했으며, 세폐 규모도 크게 늘렸다. 이에 조정에서는 외교적 교섭으로 문제를 해결하자는 주화론과 무력으로 강력하게 응징해 명분을 세워야 한다는 주전론이 맞선다. 조경(趙絅), 김상헌(金尙憲), 유계(兪棨) 등 소장파는 주전론, 이귀(李貴), 최명길(崔鳴吉), 홍서봉(洪瑞鳳) 등 인조반정을 주도한 공신...
- 시대 :
- 1636년
-
-
강이식 姜以式시키고자 무례한 국서(國書)를 보내오자 강이식은 “이러한 오만무례한 국서는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대답해야 한다”면서 주전론을 제창하였다. 이후 고구려 조정 여론이 주전론 쪽으로 가닥을 잡자 수 문제가 고구려를 본격적으로 침공함에 따라 여 · 수전쟁(麗隋戰爭)이 발발하였다. 이때 강이식은 고구려의...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제국주의를 비판한 일본 아나키즘의 아버지, 고토쿠 슈스이 幸德秋水일본의 국익에 아무 도움이 안 되며, 외교 수단으로서 전쟁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의 비전론(非戰論)을 기고했다. 그러나 국내에서 들끓고 있는 주전론을 억누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처음에는 반전론을 주장했던 〈만조보〉조차 여론에 밀려 그해 말 주전론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1903년, 고토쿠는...
- 출생 :
- 1871년
- 사망 :
- 1911년
- 본명 :
- 고토쿠 덴지로(幸徳傳次郞)
- 국적 :
- 일본
- 대표작 :
- 《20세기의 괴물 제국주의》, 《사회주의 신수(社會主義 神髓)》
-
은병 활구(闊口), 銀甁화폐 주조는 시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과 물화 교역이 성행함에 따라 화폐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특히 숙종(肅宗)은 송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주전론(鑄錢論)에 귀를 기울였고, 금속 화폐 주조와 유통을 시도했다. 주전론자들 중 대표적인 인물이 숙종의 동생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었다. 그...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요시다 쇼인 吉田松陰, Yoshida Shoin아낀 한슈의 도움으로 다시 에도 유학길에 올랐다. 1853년 페리 함대가 내항했을 때 요시다는 사쿠마와 함께 미국함대의 정세를 탐색한 뒤 무조건적인 주전론의 무모함을 깨닫게 되었다. 외국사정을 널리 알 필요성을 통감하고 외국 유학을 결심한 그는 1854년 3월 '미일화친조약'의 체결을 위해 다시 내항한 미국함대로...
- 출생 :
- 1830. 8. 4, 나가토 구니[長門國 : 지금의 야마구치 현(山口縣] 하기[萩]
- 사망 :
- 1859. 10. 27, 에도[江戶 : 지금의 東京]
- 국적 :
-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