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내용 조선시대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의 총칭. ‘종묘악’이라고도 하며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종묘라 하면 정전(正殿)을 지칭하는 것이나 사실은 그 서편에 조묘(祧廟)인 영녕전(永寧殿...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종묘제례악 종묘악, 宗廟祭禮樂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이는 제사음악.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이다. 세종 때에 창작되어 세조 때에 정비되었고, 지금은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거행된다.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정수로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과 특성이 잘 나타나며, 독특한 멋과 아름다움이 있다. 유네스코 ...
    문화재 지정 :
    1964.12.07
    소재지 :
    서울특별시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 종묘제례악
    종묘제례를 지내기 위해 무용, 기악, 노래로 연주하는 음악 종묘악이라고도 부르며, 조선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위를 모셔 놓은 종묘에서 배향을 드릴 때 행하던 노래와 무용, 기악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세종29년(1447)에 처음 만들어져 세조 10년(1464)에 제사에 적합한 형태로 고쳐져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
  • 종묘 제례악 (관련어 종묘제례악) Jongmyo jeryeak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 및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서 올리는 제사인 종묘제례(宗廟祭禮) 행사 때 사용하는 기악·노래·무용의 총칭이다. 또한, 종묘제례는 조선 시대 제사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종묘대제'(宗廟大祭)...
    도서 위키백과
  • 종묘 (관련어 종묘제례악)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태조 3년(1394) 10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에 완공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 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신주를 모셨...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57
    참고 :
    세계문화유산 등재
  •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특별한 악기들
    국악에는 궁중에서 연주되는 음악인 아악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인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입니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 제사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을 말하며,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定大業)이라는 음악을 중심으로 연주합니다. 또 문묘...
  • 종묘 제례악의 배치
    종묘 제례악은 신을 영접하고(영신), 신에게 폐백을 올리며(전폐), 세 번에 걸쳐서 술잔을 올린(초헌, 아헌, 종헌) 뒤에 제기를 거두어들이고(철변두), 신을 배웅(송신)하는 순서에 따라 연주가 진행된다. 영신례는 헌가에서 보태평의 영신희문을 9번 반복하여 연주하고, 일무는 문무(보태평 지무)이다. 전폐는 등가에서...
    도서 다음백과
  • 종묘 제례악의 구성
    종묘 제례악은 제례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의 절차에 따라 보태평과 정대업 11곡이 서로 다른 악기로 연주된다. 보태평과 정대업의 간결하고 힘찬 노래는 위대한 국가를 세우고 발전시킨 왕의 덕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음악이 연주되는 동안 문치와 무공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무용[일무]인 문무(文舞)와...
    도서 다음백과
  • 보태평 保太平
    있다. 1446년(세종 28) 세종에 의해 원래는 회례악으로 만들어졌다가 1463년(세조 9) 내용과 뜻은 그대로 두고 그 곡조를 축소·개작했으며, 1964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다. 주악의 음계는 세종 때 임종·남려·황종·태주·고선·임종의 임종궁평조였으나 세조 때 황종·태주·중려·임종·남려의 청황종궁평조로...
  • 경모궁제례악 景慕宮祭禮樂
    에 보이나, 실제 연주에서는 <제명곡 齊明曲>·<제권곡 帝眷曲>·<유분곡 有芬曲>·<아례곡 我禮曲> 등이 더 많이 연주된다. 이 음악들은 모두 종묘제례악인 <정대업 定大業>과 <보태평 保太平> 가운데에서 발췌하여 줄인 것들이다. 제향 절차와 음악, 그리고 원곡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든...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 정조 연간
    성격 :
    제례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제례악 제악(祭樂), 祭禮樂
    景慕宮)·관왕묘(關王廟) 등의 제향이 있어 그에 따른 제례음악이 연주되었으나 1910년 이후 거의 폐지되고, 지금까지 전하여지고 있는 것으로는 문묘제례악종묘제례악이 있을 뿐이다. 문묘악은 중국 상고시대에 기원을 둔 아악으로 우리 나라에는 고려 때 들어왔고, 지금도 성균관의 석전(釋奠)에 쓰이고 있다. 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경모궁제례악 景慕宮祭禮樂
    유래 1783년(정조 7)에 이휘지(李徽之)가 악장을 지었고, 그뒤 남공철(南公轍)이 개작했다. 음악은 종묘제례악인 보태평·정대업의 일부를 사용했다. 1899년 고종에 의해 신위가 종묘로 옮겨진 뒤 제향은 사라지고 음악만 전하고 있다. 음악 정조 원년 경모궁악기조성청을 임시로 설치하여 경모궁에 사용할 악기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2건

종묘제례악
종묘 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