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주총회 株主總會
    주주총회는 상법에 정해 놓은 회사의 중요한 사안을 주식회사의 주주들이 모여 정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관이다. 1주당 1개의 의결권을 가지는 주주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직접 참석이 어려울 경우 위임장을 작성해 대리인을 통해서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주총회는 소집 시기를...
  • 주주총회 株主總會, general meeting
    2). 회사가 여러 종류의 주식(보통주·우선주·후배주·혼합주)을 발행할 경우 정관을 변경하거나, 주식의 종류에 따라 신주의 인수 및 주식의 병합·소각·합병...하는 경우에, 어느 종류주주에게 손해를 미치게 될 때에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 외에 그 종류주주(種類株主)만으로 구성된 주주총회의 결의가 요구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경영
  • 주주총회 Annual general meeting, 株主総会
    의결이 있었던 것처럼 주주총희 의사록이 작성된 경우에 그 주주총회의 결의는 부존재한다. 일본에서는 회사법 제2편 주식회사 제4장 기관 제1절 주주총회종류 주주총회(제295조~328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일본 회사법에서는 기관 구조의 유연화가 도모되고 있지만, 주주총회는 이사회와 함께 필수적인 기관이다...
    도서 위키백과
  • 주식시장 주식시장이 어리둥절
    수애는 주주라고 해. 주식회사의 주인은 바로 주주야. 회사의 중요한 결정은 1인 1표가 아니라 주식수에 비례해서 의결권을 가져. 의결권은 주식회사의 주주총회에 참석해 회사의 중요한 정책에 대해 자기의사를 투표로 표시할 수 있는 권리인데, 광필이는 의결권을 5천주만큼, 수애는 2천주만큼 가져. 주주들의 의결권...
  • 감사 監事
    필요적 상설기관이다. 감사의 자격에는 제한이 없으나, 감사기관의 성질상 이사·지배인·기타 사용인의 직무를 겸하지 못한다(상법 제411조). 감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되 의결권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의 3/100 이상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며, 정관으로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유상증자 有償增資, paid-in capital increase
    이를 인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3자 배정방식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제3자에게 배정하는 방식이다. 정관에 제3자 배정에 대한 규정이 있거나, 주주총회의 결의로 특정 제3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기로 결정할 경우에만 가능하다. 일반공모방식 기존 주주에 대한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 다수인에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경제
  • 잉여금 剩餘金, surplus
    때까지 매결산기의 금전에 의한 이익배당액의 1/10 이상이 적립되는 이익준비금, 기업합리화적립금·재무구조개선적립금 등의 법정적립금, 회사의 정관이나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적립되는 임의준비금 등을 공제해야 한다. 상법에서는 회사의 배당가능이익을 대차대조표상의 순재산액으로부터 자본액, 그 결산기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대차대조표 재무상태표, 貸借對照表
    대조표를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와 함께 감사를 거쳐 주주총회 또는 사원총회에 제출, 승인을 요구해야 한다(상법 제447조, 제447조 3항, 제447조 4항, 제449·579·583조). 특히 주식회사의 경우에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얻으면 이를 지체 없이 공고해야 한다(상법 제449조 3항). 또한 주주·사원·채권자에게는 열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경영
  • 소수주주권
    행사할 수 있는 권리로, 1주의 주주라도 행사할 수 있는 단독주주권과 달리 일정 비율 이상의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소수주주권에는 주주총회 소집청구권 등의 회사 비리 관련 사항과, 이사의 위법행위를 중지시킬 수 있는 권리(유지청구권) 등의 개인비리 관련 사항으로 나눌 수 있으며, 비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법
  • 주식 株式
    어느 종류의 주식의 발행을 쉽게 할 수 있다. 의결권 없는 주식은 이익배당에 관하여 우선적 내용이 있는 주식에 대해 의결권을 부여하지 않는 주식으로서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경향에 따라 경영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출자자로부터 회사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인정된다. 주식회사에는 퇴사제도가 없으므로...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기업분할제도
    갖는 방식으로, 분할 초기에는 주주들이 동일하지만 향후 주식거래 등을 통해 달라지므로 각 기업이 경제적으로 독립된 형태를 띠게 된다. 기업분할의 유형에는 주식배당형, 주식교환형, 모회사소멸형 등이 있다. 기업분할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결정되는데, 감자나 주식매수의 부담이 없어 대체로 주주들이 반기는 제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경영
  • 사채 회사채, 社債
    지며, 간접발행과 직접발행이 있다. 전환사채의 경우에는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특별 결의가 있어야 발행이 가능하며, 상법상 발행에 일정한 제한이...액면 이하로 발행하는 할인발행, 액면 이상으로 발행하는 할증발행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사채를 발행할 때는 발행총액·발행가격·상환기한·이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