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지서 造紙署조선시대에 종이 만드는 일을 관리, 담당하였던 관서. 내용 1415년(태종 15)에 서울의 창의문(彰義門) 밖 장의사동(壯義寺洞: 현재의 세검정 근처)에 조지소(造紙所)라는 명칭으로 설치되어 1466년(세조 12)에 조지서로 바뀌었다. 저화지(楮貨紙)·표(表)·전(箋)과 자문(咨文: 중국과 왕복하던 문서), 그리고 서적에 ...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15년(태종 15)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조지서 백부(伯符), 趙之瑞조선전기 지평, 보덕, 창원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백부(百符), 호는 지족정(知足亭) 또는 충헌(忠軒). 조익(趙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직장(直長) 조민원(趙敏原)이고,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조찬(趙瓚)이다. 어머니는 생원 정참(鄭叅)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74년(성종 5) ...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54년(단종 2)
- 사망 :
- 1504년(연산군 10)
- 경력 :
- 지평, 보덕, 창원부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갑자사화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언심견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임천(林川)
-
-
하동 대곡리 조지서 묘비문화재 정보 하동 대곡리 조지서 묘비(河東 大谷里 趙之瑞 墓碑)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조지서의 묘비이다. 2009년 2월 19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58호로 지정되었다. 조지서의 묘비는 명성에 비해 그 크기와 형태가 뛰어나지 않으며 비석이 사암으로 이루어져 보존상태가...도서 위키백과
-
공조 工造내용 공조(工曹)에 1인, 교서관(校書館)·사섬시(司贍寺)·조지서(造紙署)에 합쳐 4인, 상의원(尙衣院)에 1인, 군기시(軍器寺)에 2인, 선공감(繕工監)에 4인을 두었다. 지장(紙匠)·옥장(玉匠)·은장(銀匠)·궁인(弓人)·시인(矢人)·주장(鑄匠)·석장(石匠)·목장(木匠)·야장(冶匠) 들을 전문기술에 따라 각 관서에...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공조 동관(冬官), 工曹칠기 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았다. 공조에 소속된 관청으로는 상의원(尙衣院)·선공감(繕工監)·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전연사(典涓司)·장원서(掌苑署)·조지서(造紙署)·와서(瓦署) 등이 있었다. 상의원은 왕의 의복과 궁중에서 필요로 하는 일용품 및 금은보화 등을 공급하는 일을, 선공감은 토목과 건축에 관한...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고정지 고절지(藁節紙), 藁精紙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변화와 문화의 발전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종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었고, 이에 종이 만드는 일을 담당하는 관청인 조지서(造紙署)가 설치되었다. 조지서에서는 늘어나는 종이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종이의 생산 및 확충에 힘썼을 뿐만 아니라 종이의 품질개량에도 힘써 고정지는 20세기 초...
- 시대 :
- 조선
- 성격 :
- 종이
- 유형 :
- 물품
- 재질 :
- 볏짚, 보릿짚, 귀리짚, 닥나무
- 용도 :
- 책지 및 서화지
- 분야 :
- 언론·출판/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