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정 (정치) Royal court, 朝廷
    조정(朝廷)은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군주가 관료 조직을 동반한 회의를 하여 정치를 행하는 궁정, 중앙 정부 등 통치 기구 및 정권을 총칭하는 말이다. 조정의 조(朝)는 풀밭(十)사이에 해(日)가 떠 있는데 아직 달(月)이 남아 있는 상태, 곧 '아침'을 뜻한다. '오늘'(하룻밤)이라는 표면적인 의미가 있지만...
    도서 위키백과
  • Court 조정 (정치), Court (royal)
    The court of a monarch, or at some periods an important nobleman, is a term for the extended household and all those who regularly attended on the ruler or central figure. It can also refer to the physical residence of the monarch where the court resides or a series of complexes. In the largest...
  • 분조 分朝
    장차 요동(遼東)으로 망명할 목적으로 의주방면으로 갈 때 평안도 박천에서 왕세자인 광해군으로 하여금 종묘사직을 받들고 본국에 머물도록 하였다. 이때 조정을 갈라 의주의 행재소(行在所)를 ‘원조정(元朝廷)’이라 하고 세자가 있는 곳을 ‘분조(分朝)’라 하였다. 즉 분조는 선조가 요동으로 망명할 것에 대비하여...
    시대 :
    조선
    성격 :
    관청, 정부조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 후기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곳’이다. 곧 물품을 매매하고 교역(交易)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바로 ‘시(市)’이다. 그리하여 『전국책(戰國策)』이라는 책에는 “이름을 다투는 자는 조정(朝廷)에서 하고, 이득(利得)을 다투는 자는 시(市), 곧 시장에서 한다”고 했다. 상품의 교역이 아직 발달되지 않은 시대에 ‘시(市)’는 집시성(集市性)과...
    유형 :
    시장에 관련된 한자
  • 조정 Adjustment
    대학부 남녀 유타포어와 에이트, 18세 이하부 남자 쿼드러플스컬, 이벤트 경기인 꿈나무 혼성 쿼드러플스컬 등 14개 세부 종목이다. 조정(朝廷)은 임금이 통치를 하는 곳이다. 조정(調停)은 분쟁의 중개를 뜻하는 법률 용어이다. 조정이다. 조정(祖丁)은 상나라의 17대 군주이다. 조정(趙定, ? ~ 1426년)은 조선의 무신...
    도서 위키백과
  • 전우치전 田禹治傳
    은 이러한 전설을 토대로 창작되었다. 그러나 전설과 달리 「전우치전」에서 전우치는 나라에 반역죄를 지었지만, 도술을 써서 자신을 잡아 죽이려고 하는 조정(朝廷)으로부터 탈출한다. 특히, 일사문고본 계통에서는 전우치가 도술을 익히게 된 경위를 보태고 있고, 김동욱본은 「전우치전」과 「홍길동전(洪吉童傳...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공납 貢納
    '공'(貢)자의 뜻은 '토산물을 바친다' 또는 '아래에서 위로 바친다'는 것으로, 공납은 백성이 그 지방의 토산물을 조정(朝廷)에 바치는 행위를 말한다. 봉건 세제의 하나인 공납은 각 지방의 토산물로써 납부하는 것이므로 토지세인 전세나 노동력을 제공하는 신역(身役)과 구별된다. 공납은 왕실과 중앙관청의 용도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김덕령 설화 金德齡說話
    억울하게 죽게 된 것으로 기록하여, 김덕령의 실제 행적과 유사한 면모가 나타난다. 그러나 구전 설화에서는 이와 다르게 나타난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조정(朝廷)에서는 김덕령이 용력이 있으면서도 출전하지 않았다고 하며, 김덕령을 역적으로 몰아 죽이려고 하나 죽일 수가 없었다. 이때 김덕령이 “나를 죽이려면...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가모노 조메이 鴨長明, Kamono Chomei
    교토에 있는 신사(神社) 신관(神官)의 아들로 태어나 철저한 예능교육을 받았다. 비교적 천한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인으로서의 재능을 타고난 덕에 조정(朝廷)의 인정을 받을 수 있었으며 마침내 관리로 임명되었다. 관리로서 확고한 위치에 오른 그는 1204년 승려가 되어 속세를 떠났다. 처음 4~5년 동안 오하라...
    출생 :
    일본, 1155
    사망 :
    1216. 7. 24, 교토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전조후시 면조후시, 前朝後市
    내용 면조후시(面朝後市)라고도 한다. 고대 도성의 주요시설을 배치하는 원칙의 하나로 궁궐을 중심으로 행정부서에 해당하는 조정(朝廷)은 그 전면에, 상품생산과 교역활동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그 후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관자와 더불어 중국 고대 도시계획의 원칙을 언급하고 있는 중요한 문헌...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창경궁 명정전
    인정전은 중층 규모이지만 명정전은 단층으로 지어졌다. 이는 창경궁이 정치공간이 아닌 생활공간으로 지은 궁궐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명정전 앞마당, 즉 조정(朝廷)에는 박석을 깔고 중앙에는 삼도(三道)를 두어 궁궐의 격식을 갖추었다. 조정에는 품계석이 있는데, 조회나 행사 때 문무백관들이 품계석에 새겨진 각자...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관립여자 중등교육 60주년 기념 학문탐구의 여인상 및 여학생들
    교육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개화기를 맞이하여 외국 선교사나 우리나라 왕실에서 여러 여성교육 기관을 운영하기 시작하기는 하였으나 정식으로 한국 조정(朝廷)에서 설립한 관립 여학교로는 1908년 4월 1일(순종 2년)에 창립된 현 경기여자 중·고등학교의 전신(前身)인 한성고등여학교가 최초로 등장하였다. 이 학교는...
    발행일 :
    1968.10.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1
    액면가격 :
    7원
    디자인 :
    학문탐구의 여인상 및 여학생들
    우표번호 :
    609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오충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