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강기훈 유서대필 조작 사건’은 1991년 전국민족민주연합 사회부장 김기설의 분신자살에 대해, 검찰이 강기훈이 김기설의 유서를 대필하고 자살을 방조했다는 혐의로 기소·처벌한 사건이다. 김기설은 1991년 5월 8일 서강대학교 본관 옥상에서 몸에 불을 붙이고 ‘노태우 퇴진’을 외치며 투신했다. 옥상에는 유서가...
-
-
기후조작, 정말로 가능할까?일어나지 않는다. 한 마디로 영화처럼 꽁꽁 얼어서 조금도 움직이지 않은 상태가 되려면 최소 영하 120℃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사진2. 기후를 조작하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어려운 일이다. 기후조작의 사례로 꼽히던 HAARP(HighFrequency Actival Aural Research Program) 프로젝트 역시 증명된 것은 없다...
-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면?로봇팔로 구현한다. 최근에는 테슬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생명공학 스타트업인 ‘뉴럴링크’에서 두뇌에 칩을 심은 원숭이가 생각만으로 게임을 조작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페이저라는 이름이 붙은 이 원숭이에게는 뉴럴링크사가 개발한 ‘N1링크’라는 칩이 삽압됐다. 이 칩은 원숭이의 뇌에서 일어나는 뇌...
-
유전자 조작 생물의 알 수 없는 미래수 있었다.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수확량이 높고 병충해에 강한 작물을 만들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1994년에는 이전까지와는 아주 다른 기술인 유전자 조작을 통해 무르지 않는 토마토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생물체 속에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를 끼워 넣음으로써 기존의 생물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성질을...
-
과학사의 거짓과 조작-진실을 향한 검증의 역사적지 않았다. 과학사상 잘 알려진 사기 사건들의 몇 가지 사례와 그 교훈을 살펴보는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을 듯하다. 인류 조상의 화석을 거짓으로 조작했던 이른바 ‘필트다운(Piltdown) 사기 사건’은 고고학상 최대의 가짜 발견 사건으로 꼽힌다. 1910년대에 영국 필트다운 지방의 변호사이자 아마추어 고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