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무 Korean radish
    조선무(朝鮮-, 둥근무로도 부른다. 같은 흰무에 속하는 왜무보다 둥글고 단단하며 윗부분이 푸르다. 깍두기나 김치 용으로 재배하며, 주요 품종으로는 진주대평무·중국청피무·용현무·의성반청무 등이 있다. 길이가 20cm 정도 되며, 무게는 800-900g이다. 재배기간은 약 3개월이며, 얼지 않게 흙 속에 움저장하면 다음...
    도서 위키백과
  • 조선무용진흥론 朝鮮舞踊振興論
    연원 및 변천 1927년 8월 10일 ‘조선무용진흥론(1)’이 『동아일보』에 발표된 이후, 11일 ‘조선무용진흥론(2)’, 12일 ‘조선무용진흥론(3)’, 13일 ‘조선무용진흥론(4)’, 16일 ‘조선무용진흥론(5)’, 17일 ‘조선무용진흥론(6)’, 19일 ‘조선무용진흥론(7)’이 연재되었다. 내용 당시 시인으로 활동한 김동환은...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오사카조선무산자진료소 실비진료소, 大阪朝鮮無産者診療所
    개설 오사카(大阪)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이 언어가 통하는 조선인 의사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선인 스스로의 노력으로 만든 일종의 의료조합이다. 조합원의 출자로 운영되는 조합은 아니지만 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1930년 1월에 개설하여 1931년 9월 폐쇄하였다. 설립목적 오사카(大阪) 거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위치 :
    일본 오사카(大阪) 키타구(北區) 요시야마쵸(吉山町) 소재
    설립 :
    1930년 1월
    성격 :
    의료기관
    유형 :
    단체
    해체 :
    1931년 9월
    설립자 :
    정구충, 鄭求忠,
    분야 :
    과학/의약학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됴션무쌍신식료리제법,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개설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정조지(鼎俎志)를 바탕으로 중요한 사항을 가려내어 국역(國譯)해서 뼈대로 삼고 여기에 새로운 조리법·가공법을 군데군데 삽입해 두었으며, 서양·중국 및 일본요리법을 간단히 덧붙였다. 서지적 사항 1권 4·6판, 연(鉛)활자본으로서 손님 대접하는 법 등 서론 5면, 목차 17면, 본문...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용기(李用基)
    창작/발표시기 :
    1924년
    성격 :
    조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연활자본)
    간행/발행 :
    한흥서림
    분야 :
    생활/식생활
  • 조선무용건설본부 朝鮮舞踊建設本部
    내용 박용호, 정지수, 김민자, 진수방, 한동인, 장추화, 이석예, 김애성, 김해성, 정인방, 심선방 등 40여 명의 신진 무용인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 무용의 초석을 다지며, 식민지 잔해 청산과 새로운 춤의 토대 확립을 위해 설립하였다. 해방 직후 일본에서 활동하지 않은 무용가들과 국내 젊은 무용가들이 과거의 굴레...
    시대 :
    현대
    설립 :
    1945년 9월 3일
    성격 :
    무용 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46년
    설립자 :
    박용호, 정지수, 김민자, 진수방, 한동인 등 신진무용인 40여 명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또는 됴션무쌍신식료리제법은 이용기가 지은 한국요리책이며 한국 최초로 요리책에 색을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다. 1924년 출간된 이후 재판을 거쳐 다시 6년 만인 1936년에는 증보판이 찍혔고 1943년에는 4판이 나올 정도로 인기 요리책이 되었다. 책 이름에 앞에 붙은...
    도서 위키백과
  • 광운대학교 Kwangwoon University, 光云大学校
    교육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1987년 종합대학인 광운대학교로 승격하게 된다. 조선무선강습소 개소부터, 대학기관인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설립되기 이전, 조선무선공학원으로 운영되기까지를 창립기라고 한다. 1920년경,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본토로 건너가 근현대의 문물의 가치를 알아본 조광운은, 1923년 한반도에...
    도서 위키백과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朝鮮プロレタリア芸術家同盟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또는 단순히 통칭 카프(KAPF)는 1925년 8월에 결성된 사회주의 문학단체이다. 계급 의식에 입각한 조직적인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계급혁명운동을 목적으로 삼았다. 대표작가로 최서해, 조명희, 이기영, 한설야 등이 있다. 1925년 카프의 결성과 함께 1934년까지 약 10년간 문단을 풍미한...
    도서 위키백과
  • 무진회사 無盡會社
    제도이다. 이는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있었던 관습으로 한국의 계(契)와 유사하였다. 무진업자는 1921년 7월 현재 77명이고 대부분 개인이었지만, 「조선무진업령(朝鮮無盡業令)」이 제정된 이후에는 무진회사가 일반적이었다. 무진회사 수는 1922년에 6개사였으나 1932년에 34개사로 증가하였으며, 가입 총 구좌 수는...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무고추장아찌
    담가 먹으면 더 맛이 좋다. 무와 고추는 싱싱한 것으로 택하고 무는 두세 개 분량 정도씩 담그는 편이 좋다. 재료 및 분량 풋고추 500g, 절임용 소금물 적량, 조선무(小) 2개 양념절임물 : 진간장 3컵, 집간장 2컵, 식초 1컵, 설탕 1컵, 소주 1/4병 만드는 법 1. 풋고추는 소금물에 5~7일 정도 담가 삭힌 후 물에 헹구고...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 통 배추김치 대한민국 김치의 대표주자
    생 새우를 갈아 넣으면 깊은 맛이 납니다. 김치재료 김치 소 만들기1 재료 : 배추(3통, 약 7kg 정도), 굵은 고춧가루(3컵), 고운 고춧가루(3), 무(1~1.3kg, 조선무 중간 크기 1개), 쪽파(180g), 양파(큰 것 1개), 부추(90g), 갓(80g), 새우젓(100g), 까나리액젓(200g), 마늘(140g), 생강(40g), 설탕(50g), 배(1/2...
    도서 김치비전 | 태그 음식 , 레시피
  • 무엿
    검은 빛깔의 무엿은 해수와 천식을 치료하는 데 좋은 약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만들 때 여러 약재를 넣으면 약효가 있다고 전해진다. 재료 및 분량 쌀 4kg, 조선무 2개(2kg), 엿기름 600g, 따뜻한 물 1.5L 만드는 법 1. 쌀은 불렸다가 맷돌에 갈아 죽을 만들고, 조선무는 깨끗이 씻어 채 썰어 놓는다. 2. 엿기름에 따뜻...
    도서 전통저장음식 | 태그 음식 , 레시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출처1건

멀티미디어5건

조선무
조선무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