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비 趙妃즉위하면서, 2년 전인 1296년(충렬왕 22) 원(元)에서 결혼한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와 귀국하였는데, 계국대장공주와 충선왕이 불화하는 가운데 조비(趙妃)와 그의 어머니가 왕과 공주 사이를 불화하도록 저주했다는 익명서(匿名書) 사건, 즉 조비무고사건(趙妃誣告事件)이 발생하였다. 당시 조비가 충선왕의 총애...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조비무고사건 趙妃誣告事件퇴위당하였다. 의의와 평가 처음에는 계국대장공주의 충선왕과의 불화 또는 조비에 대한 시기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충선왕의 개혁정치를 좌절...보인다. 결국 이 사건은 충선왕 퇴위의 직접적인 구실이 되었을 뿐 아니라 그 뒤 원나라의 고려에 대한 간섭을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충선왕 왕장(王璋), 忠宣王그 처 및 조비는 수감되어 국문을 받다가 원으로 소환되었으며, 조인규는 안서(安西)로 유배되었다가 1305년(충렬왕 31)에 이르러 석방되었다. 조비무고사건으로 원 사신들이 고려와 원을 오가는 가운데, 충선왕이 단행한 관제 개편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었다. 당시 원의 관제에서는 ‘원(院)’이 종2품 관부 가운데...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원주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문화재 정보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龍雲寺址 石造毘盧舍那佛坐像)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용운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다. 1973년 7월 31일 강원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불상 주위에 용운사라고 적힌 기와조각들이 주변에서 발견되어 예전에 절이...도서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