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비 (고려) Royal Consort Cho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26대 왕 충선왕의 제5비로, 충선왕비 조씨(忠宣王妃 趙氏)라고도 하며, 본관은 평양(平壤)이다. 증조부는 용양위(龍驤衛)를 지내고, 밀직사(密直事) 추증(追贈) 된 조홍유(趙洪裕)이시며, 조부는 금오위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내고,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追贈) 된 조영(趙瑩)이며, 부...
    도서 위키백과
  • 조비 趙妃
    즉위하면서, 2년 전인 1296년(충렬왕 22) 원(元)에서 결혼한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와 귀국하였는데, 계국대장공주와 충선왕이 불화하는 가운데 조비(趙妃)와 그의 어머니가 왕과 공주 사이를 불화하도록 저주했다는 익명서(匿名書) 사건, 즉 조비무고사건(趙妃誣告事件)이 발생하였다. 당시 조비가 충선왕의 총애...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조비무고사건 趙妃誣告事件
    퇴위당하였다. 의의와 평가 처음에는 계국대장공주의 충선왕과의 불화 또는 조비에 대한 시기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충선왕의 개혁정치를 좌절...보인다. 결국 이 사건은 충선왕 퇴위의 직접적인 구실이 되었을 뿐 아니라 그 뒤 원나라의 고려에 대한 간섭을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조비무고사건 趙妃誣告事件
    보내 조인규와 그 처를 혹독하게 국문하여 거짓 자백을 받아낸 뒤, 조비와 조인규 및 사위 최충소(崔沖紹)·박선(朴瑄), 환자(宦者) 이온(李溫) 등을 원나라로...반대하는 국내 정치세력 및 원나라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충선왕 퇴위의 직접적인 구실이 되었고, 이후 원나라의 고려에 대한 간섭이 증대되는 계기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조비 Cao Pi, 曹丕
    다만 이것은 객관적인 내용이 아니라 자신의 저서에 나오는 내용일 뿐임을 고려해야 한다. 조조에게는 25명의 아들이 있었다. 측실 유씨 부인이 낳았으나 본래...조앙이 죽기 전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 후 변씨 부인이 정실이 되었으므로 조비의 후계 지위는 굳건해 보였다. 그러나 환씨 부인 사이에 태어난 조충(曹沖...
    도서 위키백과
  • 도필지임 到彼岸寺鐵造毘盧鬚孫賂
    서리 또는 아전이라 하는 중간계층으로 기록이나 문부를 관장했다. 죽간에 잘못 기록된 글자를 칼로 긁고 고치는 일을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이 담당하는 이직은 크게 주사·녹사·영사 등 입사직과 장고 등의 미입사직으로 나누어졌으며, 대대로 이역을 세습하는 이족이 취임했다.→ 서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충선왕 왕장(王璋), 忠宣王
    그 처 및 조비는 수감되어 국문을 받다가 원으로 소환되었으며, 조인규는 안서(安西)로 유배되었다가 1305년(충렬왕 31)에 이르러 석방되었다. 조비무고사건으로 원 사신들이 고려와 원을 오가는 가운데, 충선왕이 단행한 관제 개편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었다. 당시 원의 관제에서는 ‘원(院)’이 종2품 관부 가운데...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충선왕 고려 26대 왕, 忠宣王
    등을 보내 조인규와 부인, 조비, 최충소, 유온 등을 체포했다. 이미 계국대장공주의 편지를 받고 기분이 상해 있던 태후는 그 소식을 듣자 모두 연경으로 압송케...충선왕과 조비를 떼어내는 데 성공한 태후는 승려 5명과 도사 2명을 고려에 보내 계국대장공주에 대한 저주를 풀어주는 의식을 치르게 하고, 홍군상을...
  • 충선왕 고려 26대왕, 忠宣王
    딸을 부인(정비)으로 맞아들였고, 그 이듬해에는 추밀원 부사였던 홍문계의 딸을 부인(순화원비)으로 맞아들였다. 2년 뒤인 1292년에는 조인규의 딸을 부인(조비)으로 맞아들인 상태였다. 그러나 1296년 부왕과 마찬가지로 원나라 공주를 다시 세자비로 맞아 왕과 왕후와 함께 원나라로 갔다. 이에 두 번째로 고려 왕실...
  • 원주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문화재 정보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龍雲寺址 石造毘盧舍那佛坐像)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용운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다. 1973년 7월 31일 강원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불상 주위에 용운사라고 적힌 기와조각들이 주변에서 발견되어 예전에 절이...
    도서 위키백과
  • 한문학 漢文學
    글에는 올바른 도리를 담아야 한다는 재도지문의 의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한문학은 크게 시(詩)와 문(文)으로 나누어진다. 갈래를 나누는 것은 위(魏)나라 조비의 〈전론 典論〉 논문편에서 비롯되었다. 청나라 요내는 〈고문사유찬 古文辭類纂〉에서 사부류·논변류·서발류·주의류·서설류·증서류·조령류·전장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충렬왕 고려 25대 왕, 忠烈王
    40여 명을 귀양 보낸 다음 연경으로 돌아가 버렸다. 갑작스런 세자의 폭거에 분개한 충렬왕은 1298년 1월 왕위를 내던지고 물러나버렸다. 그로 인해 세자 왕원은 고려 국왕이 되었지만 상황은 오래 가지 않았다. 그가 조인규의 딸 조비를 가까이 하자 계국대장공주가 원 황실에 그 사실을 알리며 처벌을 요청했기 때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