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복 朝服나라의 대사(大祀)·경축일·원단(元旦)·동지 및 조칙(詔勅)을 반포할 때나 진표(進表)할 때에 입었던 관복. 내용 조근(朝覲)의 복이라고 하여 왕이나 신하가 천자에게 나아갈 때 입는 옷이라는 뜻에서 나왔다. 외교용의 옷으로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도 한다. 조복이 처음 제정된 것은 1416년(태종 16)이며, 1426...
- 성격 :
- 의복
- 유형 :
- 물품
- 용도 :
- 관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
조복 助服삼국시대 신라의 급찬으로 고타야군의 태수를 역임한 관리. 지방관. 백제 백제 출신으로 신라에 귀화하였다. 백제에서의 관계는 달솔(達率)이었다. 660년(태종무열왕 7)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다음, 661년(문무왕 1) 7월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정복에 출전하는 틈을 타서 백제의 유민들이 각지에 웅거하여 반기...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달솔(達率), 급찬(級飡), 태수(太守)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백제부흥운동
- 직업 :
- 관리, 지방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
근우회 창립을 이끈 여성독립가, 박원희 ・ 김영순 ・ 조복금 “조선의 ..여성의 지위향상과 항일독립운동에 힘썼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근우회 하동지회를 이끈 조복금 전국적인 통일기관이었던 근우회는 지역의 지회 결성에 노력하였다. 전국적으로 69곳의 지회가 결성되었다. 경상남도 하동에도 1928년 7월 근우회 하동...
- 출생 :
- 박원희 1898년, 충남 대전김영순 1892년, 서울조복금 1911년, 경남 하동
- 사망 :
- 박원희 1928년김영순 1986년조복금 미상
- 포상훈격 :
- 박원희 2000년 건국훈장 애족장김영순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조복금 2018년 건국훈장 애족장
-
심동신 금관조복 沈東臣 金冠朝服개설 조복은 금칠한 양관(梁冠)으로 인해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 부르는 관복의 하나로서 붉은색 의(衣)와 상(裳)이 기본이며 양관(梁冠)·중단(中單)·폐슬(蔽膝)·수(綬)·패(佩)·대(帶)·화(靴)·말(襪)·홀(笏)과 함께 일습을 갖춘다. 심동신 금관조복은 화·말을 제외한 8점으로 양관 1점, 의 1점, 중단 1...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금관조복 金冠朝服내용 1983년 경상남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금관조복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국가의 경사 · 정조 · 동지 · 성절 등의 의식에 착용하였던 대례복이다. 소장자에 의하면 이 유물은 조선 말기 승지였던 박해용이 착용하던 유품이라고 하며 금관을 제외한 조복 일습이 남아 있다고 한다. 조복은 적초의(赤綃衣) · 적...
- 유형 :
- 유물
- 분야 :
- 생활/의생활
-
신생활복 간소복, 新生活服남성 신생활복은 주로 넥타이를 매지 않고 하얀 와이셔츠를 내보이지 않는 군대식 양복 형태의 남자 공무원복을 의미하며, ‘작업복’, ‘청조복’, ‘신조복(新潮服)’, ‘국민복’, ‘재건복(再建服)’ 등 다양하게 불렸다. 여성 신생활복은 치마저고리가 붙은 한복 원피스를 포함하여 단순하고 활동에 편하게 제작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복준 趙福俊내용 1920∼1996. 장구의 명인. 부산시 동래구 수영동출신. 본업은 농업이었다. 조두영(趙斗榮) · 최한복(崔漢福)에게 배웠으며 민속보존회 회원이다. 1971년 2월 24일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보유종목은 장구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