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학 林學施業)의 3개과를 설치하고 주로 일본인들로 하여금 분야별로 실험연구를 실시하게 하였다. 일제강점기의 임학연구는 주로 임업시험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조림학(造林學)·삼림보호학(森林保護學)·목재이용학(木材利用學) 연구에 초석을 놓아주었다고 할 수 있다. 광복 후 고등기술교육에 대한 강한 필요성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신흥농업강습소 新興農業講習所農論)·과수·토양·화학·비료·양계·양돈·조림(造林)·가잠·작잠 등으로 되어 있다. 1910년 10월 현재 융흥농림강습소 상황을 보면 수업기간이 5개월이고 수업시간은 오후 7시부터 9시로 하였으며 교과목은 과수재배·소채재배·접목법·가잠·잠병구제·가잠제사실습·작잠제사실습·조림학·양계 등이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위치 :
- 서울
- 설립 :
- 1909년 8월
- 성격 :
- 근대교육기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