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천 堤川市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시. 강원도·경상북도·충청북도 3개도의 접경지역으로 중앙선·충북선·태백선이 교차하는 지역이다. 관광지로는 의림지와 충주호, 월악산국립공원이 대표적이며, 매년 여름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개최된다. 면적 850.88㎢, 인구 129,852(2024).|대한민국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시. 1995년 ...
    위치 :
    충청북도 동북부
    인구 :
    129,852 (2024)
    면적 :
    850.88㎢
    행정구역 :
    1개읍 7개면 9개동
    사이트 :
    http://www.okjc.net/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제천 堤川市
    충청북도 북단에 위치한 시.|개관 동쪽은 단양군, 서쪽은 충주시, 남쪽은 경상북도 문경시, 북쪽은 강원도 영월군 · 원주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55′∼128°20′, 북위 36°48′∼37°15′에 위치한다. 면적은 883.45㎢이고, 인구는 13만 6138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7개 면, 9개 행정동(...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제천 (의식) Sacrifice to Heaven, 祭天
    각주 부족 제천(祭天)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행사라는 뜻으로, 나아가 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이다. 대부분 농업 지역에서 행해지며, 씨를 뿌린 뒤 농사의 풍요를 하늘에 기원하고 곡식을 거둔 뒤 하늘에 감사하는 행사이다. 제천의식(祭天儀式)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제천 행사는 상나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제천군 堤川郡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던 군.|1995년 제천시에 통합되어 도농통합시를 이루었다. 지금의 제천시 봉양읍·금성면·덕산면·백운면·송학면·수산면·청풍면·한수면 등 1개읍 7개면 113개 동리가 이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옛 제천현(堤川縣)과 옛 청풍도호부(淸風都護府)가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옛 제천현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제천 (관련어 제천) Jecheon, 堤川市
    다른 뜻좌표 제천시(堤川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동부의 시이다. 1980년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제천군(옛 제원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중앙선, 충북선, 태백선 철도가 연결되어 예로부터 교통의 중심지였다. 명소로는 의림지, 청풍호가 있고, 시의 남쪽으로 경상북도 문경시와의 경계에...
    도서 위키백과
  • 제천 梯川
    풍세현(지금의 충남 천안시 풍세면·광덕면 일대)의 삼국시대 이름.→ 풍세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대사 (관련어 제천) 大祀
    국가적인 사전(祀典)에서 지내는 제사 중 최대규모의 제사.|고려시대 대사는 원구(圓丘)·방택·사직(社稷)·태묘가 있었고, 조선시대 〈세종실록〉 오례 길례조의 대사에는 사직·종묘·영녕전(永寧殿)이 있었다. 고려시대의 원구는 하늘에 제사지내는 의례를 말하며 방택은 땅에 제사지내는 의례를 말한다. 사직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제천 한산사 조혜사(照慧寺), 堤川 寒山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다. 다만, 제천시에 비치된 사찰대장에, 고려 명종 24년에 조혜사(照慧寺)는 소실되고 1943년 3월 13일에 재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기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1943년 이전의 역사...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제천의식 祭天儀式
    月神) 또는 바람·비·번개·천둥·운석(隕石)·무지개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시베리아와 동북아시아의 여러 민족은 대개 천신을 주신(主神)으로 생각해 제천의식을 치렀다. 알타이족의 천신은 칸(Khan)이라고 불렀는데, 보편적 주권자로 이 신의 명령은 존중되었다. 그러나 이 신은 직접 통치하지 않고 지상에 신의...
  • 제천 백련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堤川 白蓮寺 木造 阿彌陀如來 坐像
    단변(四周單邊)에 계선이 있다. 각 판면 계선 하단 지름 7㎝의 원 안에 ‘卍(만)’자를 새겼는데, ‘卍’자를 새기는 점은 동일한 불상양식을 보여 주고 있는 제천 정방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다라니에서 나타나고 있어 서로 관련성이 있다. 특히 책의 끝에 “乙亥九月二十一日改刊(을해구월이십일일개간)”이라는...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제천시의 유물·유적·관광
    德周山城: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 금성면의 작성산성·견지산성, 청풍면의 망월산성, 봉양읍의 제비랑산성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장락동 절터에 있는 제천장락동7층모전석탑(堤川長樂洞七層模塼石塔:보물 제459호)을 비롯해 한수면의 사자빈신사지석탑(獅子頻迅寺址石塔:보물 제94호)·덕주사마애불(보물 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제천의식 祭天儀式
    탁무(鐸舞)와 흡사한 율동과, 여러 사람이 모여 집단적으로 춤을 추는 군무(群舞) 등이 술과 곁들여 축제 분위기를 더해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천의식은 일찍이 고조선(古朝鮮)에서도 있었다. 지금의 강화도(江華島) 마니산 꼭대기의 참성단(塹星壇)이 바로 단군(檀君)이 하늘에 제사하던 곳이라고 전해 오고...
    시대 :
    고대/초기국가/부여,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초기국가/동예, 고대/삼국/고구려
    성격 :
    용어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영고(12월), 동맹(10월), 시월제(10월), 무천(10월)
    주관처 :
    영고: 부여, 동맹: 고구려, 시월제: 삼한, 무천: 동예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23건

제천의진 전투지인 고장숲(충북 제천)
제천 수암사 제천 황강영당 및 수암사 중 수암사 측면
제천 아미타삼존내영도(阿彌陀三尊來迎圖)(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제천 무암사
제천 백련사
제천 박약재
제천 옥순봉
제천 덕주사
제천 신륵사
제천 의병제
제천 백련사
제천 금남루
제천 백련사
제천 옥순봉
제천 옥순봉
제천 무암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