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토 청정토(淸淨土), 淨土
    정토(淨土)란 깨끗한 국토, 나아가 그러한 청정한 국토를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정토사상은 대승불교의 발생과 함께 서북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으로 전래되어 대승불교권에서 크게 성행하였다. 이 사상은 초기 불교의 석가불에 대한 추모와 갈앙에서 기원한다. 대승불교에서 나타나는 무수한 부처님의 세계는 그대로 ...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토 극락정토에 태어나기 위한 아미타불의 가르침
    정토(淨土) 사상은 서방 극락정토에 태어나기 위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가르침이다. 이 가르침에 해당하는 많은 경전 가운데 《무량수경》 · 《관무량수경》 · 《아미타경(阿彌陀經)》을 ‘정토3부경(淨土三部經)’이라 한다. 아미타(阿彌陀)는 ⓢamitāyus ⓢamitābha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이고, amitāyus는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정토 淨土
    불교에서 부처가 있는 깨끗한 국토.|청정토·청정불찰·정찰·정계·묘토·불찰·불국이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의 세계를 말한다. 중생들의 세계는 번뇌와 더러움에 가득한 예토인 데 반하여 부처의 세계는 깨끗하고 번뇌로부터 떠나 있기 때문에 정토라 한다. 정토에 대하여는 실재로 이 세계를 떠난 곳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중국의 불교 수용과 경전 번역 (관련어 정토)
    인도에서 남쪽으로 전해진 불교는 상좌부 계통이었고, 북쪽으로 퍼져 나간 불교는 대승이 주류를 이루었다. 기원전 2세기경, 한(漢) 무제(武帝)의 서역(西域) 진출 정책으로 동서의 교통로가 열리게 되었는데, 이것이 실크로드이다. 서역이란 중국의 서쪽지역, 좁게는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 지역과 파미르 고원 지역을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정토 사상 (관련어 정토) Pure land, 浄土
    불교 정토 사상(淨土思想)은 아미타불과 같은 부처나 미륵보살과 같은 보살들이 거주하고 있는 청정한 세계인 정토(淨土.cwPure land)에 대해 전개된 대승불교의 사상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정토라고 하면 아미타불의 극락정토(극락)를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화되어 있으며, 아미타불의 구제를 믿는 가르침이 정토교(淨...
    도서 위키백과
  • 정토사상 淨土思想
    개설 이 신앙은 선종(禪宗)과 같은 자력신앙(自力信仰)과 비교하여 타력신앙(他力信仰)이라고 부른다. 정토란 예토(穢土: 속세, 괴로움으로 가득찬 세상)의 반대 개념으로, 가장 대표적인 정토는 극락이다. 정토사상을 설하고 있는 불경은 약 650여 부의 대승경전 중 200여 부나 되는 것으로 보아, 정토사상이 대승불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토사상 淨土思想
    개요 정토사상은 흔히 불교에서 타력신앙(他力信仰)이라고 불린다. 기원 불교는 원래 자신의 힘으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이룸으로써 해탈을 성취하려는 철저한 자력구원(自力救援)의 종교였다. 그러나 불교가 대중적인 종교로 발전하면서 보편적인 구원의 이념에서 부처와 보살의 본원력(本願力)에 의지하여 중생을 구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한국의 정토사상·신앙
    개요 한국의 정토신앙은 〈아미타경〉·〈무량수경〉·〈관무량수경〉 등의 정토3부경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고 신앙의 바탕이 된 것은 〈아미타경〉이다. 신라시대에 자장(慈藏)의 〈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아미타경의기 阿彌陀經義記〉를 시작으로, 법위(法位)의 〈무량수경의소 無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약사여래의 동방정토
    사람들이 한 평생을 살아가면서 원하는 바도 가지가지이지만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살아가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온갖 과학적인 발전이 생각지도 못하던 세계를 열어가는 오늘날에도 질병은 예전의 것에다 또다른 새로운 병을 더해가며 끊임없이 우리를 괴롭힌다. 이런 질병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주는 역할을 맡고...
  • 백양사 백암사(白巖寺), 白羊寺
    조선 후기 기록에서는 633년에 여환이 창건했다고 하였는데 이는 역사적 신빙성이 거의 없다. 정도전은 「백암산정토사교류기」에서 송나라 경평(景平) 연간에 정토선원(淨土禪院)으로 사찰명을 바꾸었다고 하였지만, 송나라 경평 연간은 423~424년이므로 이 기록은 오류이다. 아마도 경덕(景德: 1004~1007), 경우(景祐...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자성미타유심정토 自性彌陀唯心淨土
    내용 중생의 자성이 곧 아미타불이고, 마음이 곧 정토임을 밝히고 있다. 『아미타경』에 의하면, 아미타불은 서방 극락세계의 교주이며 그 극락은 이 땅에서 서쪽으로 한없이 먼 곳에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객관적인 부처나 세계가 아니라 우리들 속에 곧 그와 같은 이상향과 부처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 자성...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정토감주 淨土紺珠
    때에 말세의 중생들이 근기가 열악하여 임제선(臨濟禪)을 이해하고 체득하기가 쉽지 아니함을 안타깝게 여겨 염불(念佛)이라는 간이한 방편을 써서 서방정토(西方淨土)로 인도하고자 여러 경론(經論)의 정토 관련 어귀 중에서 법수(法數)에 속한 것을 가려 뽑아 1에서 48까지 157단어를 차례로 해설한 책이다. 책의 첫...
    시대 :
    조선
    저작자 :
    덕진
    창작/발표시기 :
    1882년(고종 19) 2월(개간)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정원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