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입헌정체론 국헌(國憲), 立憲政體論
    만국공법(萬國公法)』, 『해국도지(海國圖志)』, 『이언(易言)』을 통해서 일부 소개되었으나 1884년 1월 30일 한성순보(漢城旬報)에 실린 ‘구미입헌정체(歐米立憲政體)’에 집약되어 나타나 있다. 구미 각국의 다양한 정치제도에 대해 크게 ‘군민동치(君民同治)’와 ‘합중공화(合衆共和)’로 나눠지며 입법, 행정...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무단정치 Stratocracy, 軍政 (政體)
    정부 형태 무단정치(武斷政治, stratocracy)는 군사지도자가 합법적 정부수반인 정체다. 법이 군의 정치 지배를 뒷받침하지 않는 군사독재와는 다르다. 무단정치는 군부와 정부가 전통적으로나 헌법적으로나 동일 존재이며, 공직자 및 공무원들도 군인 계급을 가지고 있다. 이런 체제에서는 대개 병역을 수행한 예비역들...
    도서 위키백과
  • 플라톤의 정치철학 절대론의 체계화와 극단화
    내용의 상당 부분은 아테네 민주정의 특징과 자부심을 담고 있다. 페리클레스 연설 내용 중 민주정치와 관련된 부분만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 정체(政體)는 이웃의 관례를 모방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남들의 모범이 되고 있습니다. 그 명칭도 정치 책임이 다수자 사이에 골고루 나뉘어 있기 때문에 ‘데모...
  • 혼합정체 Mixed government, 混合政体
    혼합정체(混合政體)란, 군주제, 귀족제, 민주제가 혼합된 정치 체제이다. 플라톤은 국가 (플라톤)에서 다섯가지의 정체를 주장했다. Tyranny : 참주정체, 1인의 독재자가 통치한다. Democracy : 민주정체 Oligarchy : 과두정체, 소수의 귀족이 통치한다. Timocracy : 명예정체, 금권정치, 소수의 부자들이 통치한다...
    도서 위키백과
  • 대한국국제 大韓國國制
    정부에서는 1897년 연호를 ‘광무(光武)’로 정하고, 같은 해 10월 국명을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고쳐 내외에 자주국가임을 선포하였다. 대한제국의 정체(政體)와 군권(君權) 등의 국제를 제정하여 내외에 밝히겠다는 현실적 필요성에서, 고종은 1899년 7월 12일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에 조서(詔書)를 내려 국제...
    시대 :
    근대
    성격 :
    법제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9년 8월 17일
    분야 :
    역사/근대사
  • 뤼베크 Lubeck
    유럽의 중요한 제조국가들을 이어주는 주요 무역항으로서 빠른 발전을 이룩했다. 1201~26년 덴마크에 귀속되었다가 1226년 자유도시가 되어, 독자적인 법과 정체(政體)를 가진 자치정부 형태로 발전했다. 그후 '뤼베크 법'을 발트 해 연안 100개 이상의 도시가 승인했고, 뤼베크는 이 도시들의 경제현상에 큰 영향을...
    위치 :
    독일 북부 슈레스비히홀슈타인 주
    인구 :
    210,679명 (2022년 추계)
    면적 :
    214.21㎢
    언어 :
    독일어
    대륙 :
    유럽
    국가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가토 히로유키 加藤弘之, Kato Hiroyuki
    담당하였으며 주로 교육·외교와 관련된 관직을 거쳤다. 그 동안에 〈신세이타이이 眞政大意〉(1870)·〈국체신론 國體新論〉(1874) 등을 저술하여 유럽의 정체(政體)·민주주의·인권 등에 대한 이론을 일본에 소개하였다. 그러나 1880년무렵 자유민권운동(自由民權運動)이 일어나자 입장을 전환하였다. 그는 프로이센...
    출생 :
    일본 다지마 구니[丹馬國] 이즈시[出石], 1836. 8. 5
    사망 :
    1916. 2. 9,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의회설립운동 議會設立運動
    개요 의회원(議會院)의 설립을 통해 입법과 행정을 분리함으로써 서구의 입헌군주제와 같은 근대적 정체(政體)를 확립해나가고자 했던 운동이다. 의회설립론의 대두 자강개혁(自强改革)을 실시하기 위한 정치체제의 개혁으로서 의회설립 문제는 서재필(徐載弼)·윤치호(尹致昊) 등 독립협회의 지도부 내에서 그 필요성에...
  • 레온 Leon
    왕 페르난도 2세(1157~88)와 알폰소 9세(1188~1230)는 카스티야에서 분리된 레온 왕국을 다스렸다. 카스티야와는 우호적이지 않았으나 이 동안 레온은 안정된 정체(政體)를 유지했으며 레온 영토인 에스트레마두라에서 무어인들을 크게 물리쳤다. 결국 카스티야에 합병당했으나(1230) 그뒤에도 레온의 정치·행정 기관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구치코프 알렉산드로 구치코프, Aleksandr Ivanovich Guchkov
    임시정부는 구치코프를 프스코프로 파견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니콜라이가 물러났음을 정식으로 통보받았다(1917. 3. 15[구력 3. 2]). 그는 러시아의 정체(政體)가 입헌군주제에서 공화제로 바뀐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했지만 육군장관 겸 해군장관직을 받아들였고(3. 15), 군대의 규율을 즉시 회복시키려고 노력했으나...
    출생 :
    모스크바, 1862. 10. 26(구력 10. 14)
    사망 :
    1936. 2. 14, 파리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블랙스톤에 대한 평가
    역사적 해석가에 대한 교의적 법개혁자의 공격이라는 양상을 띠었다. 그러나 블랙스톤이 반드시 현상유지나 기득권의 방어자만은 아니었다. 그는 확실히 정체(政體)가 '적절하게 유지되기를' 바랐으나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영국법 주해〉의 몇몇 구절은 의회개혁에 자주 인용되어왔는데, "보다 완전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법률가
  • 진명휘론 進明彙論
    친구 김상천(金相天)과 토론하여 만들었다. 상·하로 되어 있으며, 권두에 저자의 서문이 있다. 내용 상권에는 인류·종족·지세·기후·물산·국가·정체(政體)·법률·종교의 순으로 되어 있고, 하권에는 문학·무비(武備)·농무(農務)·공예·상업·사회 등의 순으로 되어 있다. ‘인류’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른...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종태(李鍾泰)
    성격 :
    평론집, 정치평론집
    유형 :
    문헌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