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입헌정체론 국헌(國憲), 立憲政體論만국공법(萬國公法)』, 『해국도지(海國圖志)』, 『이언(易言)』을 통해서 일부 소개되었으나 1884년 1월 30일 한성순보(漢城旬報)에 실린 ‘구미입헌정체(歐米立憲政體)’에 집약되어 나타나 있다. 구미 각국의 다양한 정치제도에 대해 크게 ‘군민동치(君民同治)’와 ‘합중공화(合衆共和)’로 나눠지며 입법, 행정...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
-
대한국국제 大韓國國制정부에서는 1897년 연호를 ‘광무(光武)’로 정하고, 같은 해 10월 국명을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고쳐 내외에 자주국가임을 선포하였다. 대한제국의 정체(政體)와 군권(君權) 등의 국제를 제정하여 내외에 밝히겠다는 현실적 필요성에서, 고종은 1899년 7월 12일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에 조서(詔書)를 내려 국제...
- 시대 :
- 근대
- 성격 :
- 법제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9년 8월 17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
-
구치코프 알렉산드로 구치코프, Aleksandr Ivanovich Guchkov임시정부는 구치코프를 프스코프로 파견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니콜라이가 물러났음을 정식으로 통보받았다(1917. 3. 15[구력 3. 2]). 그는 러시아의 정체(政體)가 입헌군주제에서 공화제로 바뀐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했지만 육군장관 겸 해군장관직을 받아들였고(3. 15), 군대의 규율을 즉시 회복시키려고 노력했으나...
- 출생 :
- 모스크바, 1862. 10. 26(구력 10. 14)
- 사망 :
- 1936. 2. 14, 파리
- 국적 :
- 러시아
-
블랙스톤에 대한 평가역사적 해석가에 대한 교의적 법개혁자의 공격이라는 양상을 띠었다. 그러나 블랙스톤이 반드시 현상유지나 기득권의 방어자만은 아니었다. 그는 확실히 정체(政體)가 '적절하게 유지되기를' 바랐으나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영국법 주해〉의 몇몇 구절은 의회개혁에 자주 인용되어왔는데, "보다 완전한...
-
진명휘론 進明彙論친구 김상천(金相天)과 토론하여 만들었다. 상·하로 되어 있으며, 권두에 저자의 서문이 있다. 내용 상권에는 인류·종족·지세·기후·물산·국가·정체(政體)·법률·종교의 순으로 되어 있고, 하권에는 문학·무비(武備)·농무(農務)·공예·상업·사회 등의 순으로 되어 있다. ‘인류’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종태(李鍾泰)
- 성격 :
- 평론집, 정치평론집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