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철 鄭澈
    조선시대 우의정, 좌의정, 전라도체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개설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서울 장의동(藏義洞: 지금의 종로구 청운동) 출생. 아버지는 돈녕부판관 정유침(鄭惟沈)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인종의 숙의(淑儀 : 왕의 후궁에게 내린 종2품의 작호)인 누이와 계...
    시대 :
    조선
    출생 :
    1536년
    사망 :
    1593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문인
    성별 :
    분야 :
    문학/고전시가
    본관 :
    연일(延日)
  • 정철
    조선 시가 문학의 대표적 형식은 시조와 가사이다. 가사는 시가 문학에서 서사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학 형식으로, 운문 형식에 산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짧고 단편적인 심상을 노래하는 시조보다 길고 풍부한 주제를 다루고자 탄생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조선 시대 대표적인 가사 문학의 대가는 송강 ...
    출생 :
    1536년
    사망 :
    1593년
    대표작 :
    〈성산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
  • 정철, 관동별곡
    1580년 1월 강원도 관찰사로 원주에 부임한 송강 정철이 3월에 관동팔경 즉 간성의 청간정, 강릉 경포대, 고성의 삼일포, 삼척 죽서루, 양양의 낙산사, 울진 망양정, 통천의 총석정, 평해 월송정과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을 유람하고 이 작품을 지었다. 1단은 부임해서 원주로 가는 길, 2단은 내금강의 풍치, 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고전문학
  • 정철, 사미인곡
    1585년 송강 정철은 당쟁이 발생해 동인이 서인을 공격하는 바람에 사간원과 사헌부로부터 탄핵을 받고 조정에서 물러난다. 고양을 거쳐 고향 창평으로 내려가 한가하게 지내던 1588년 지은 작품이다. 계절의 변화를 축으로 한 사시가(四時歌) 형태인데, 4계절의 변화에 따라 감정을 표현했다. 정철은 선조를 향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정철, 속미인곡
    가사로 〈사미인곡〉과 함께 '전후미인곡'이라고 불린다.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읊었다. 정철은 갑녀(甲女)와 을녀(乙女)를 등장시켜 두 여인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심정을 표현한다. 〈사미인곡〉이 사치스럽고 과장된 면이 있는 반면, 이 작품은 한자...
    도서 다음백과
  • 정철, 훈민가
    위해 지었다. ‘훈민 訓民’은 조선 왕조가 들어선 이래 계속 강조되어 왔으며 송순 宋純 1493~1583)이나 주세붕의 “오륜가 五倫歌”와 같은 훈민 시조가 정철에게까지 이어진 것이다. 유교적 윤리관에 따라 오륜을 강조하는 내용은 이전의 훈민 시조와 같았으나, 정감 있고 어렵지 않은 말로 인지상정과 세상의 풍습과...
    도서 다음백과
  • 정철, 장진주사
    장진주사는 정철이 지은 권주가다. 2음보를 1구로 볼 때, 16구의 짧은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가사로 보기도 하고 시조로 보기도 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람이 한번 죽으면 지게 위에 거적을 씌워 매어가나, 화려한 휘장에 감겨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나 무덤에 가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때 가서 뉘우친들 소용없으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작품
  • 정철 청은(靑隱), 丁哲
    조선시대 수문장, 초계군수 등을 역임한 무신.|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호는 청은(靑隱). 사성 정득우(丁得雨)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 때 수문장으로서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서 우위장(右衛將)이 되어 순천부사(順天府使) 김언공(金彦恭)과 함께 진주 ...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595년(선조 28)
    경력 :
    초계군수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창원(昌原)
  • 정철 鄭澈
    광주 무등산 자락에는 조선 중엽 권력 다툼의 와중에 물러난 선비들이 세운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면앙정 등 수많은 정자와 원림이 남아있다. 특히 ‘그림자가 쉬고 있는 정자’라는 뜻의 식영정(息影亭)은 기대승, 송순, 김덕령, 송익필, 김성원, 고경명 등 우리에게 익숙한 시인묵객이나 의병장들이 스쳐 지나간 장...
  • 정철 Chŏng Ch'ŏl, 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의 시인이자 문신, 학자, 작가이다. 본관은 연일(延日, 또는 迎日), 자는 계함(季涵)이고, 호는 송강(松江) 동인백정 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돈령부 판관(敦寧府 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沉)의 아들이며, 인종의 후궁인 귀인 정씨...
    도서 위키백과
  • 정철
    조선 명종·선조 때의 문신·시인으로 가사 문학의 대가이다. 작품으로 <관동별곡>, <사미인곡> 등이 있다.
  • 정철 鄭澈
    정치적 혼란기의 문신이었으나 정치보다는 국문학사에서 그 이름이 더 높다. 윤선도·박인로와 함께 3대 시인으로 꼽힌다. 1562년 문과에 급제했고 동인과 서인의 분쟁에서 서인의 편에 가담했다. 1589년 정여립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우의정으로서 최영경의 옥사를 다스렸다. 이후 정적의 논계가 빗발쳐 파직된 뒤 유...
    출생 :
    1536(중종 31)
    사망 :
    1593(선조 26), 경기 강화
    국적 :
    조선,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1건

정철
정철
정철
정철
정철
정철 글씨
정철(鄭澈)
정철 묘지명
정철신도비
송강 정철 묘소
송강정철시비
정철의 성산별곡시 한구절이 새겨진 시비
담양 송강정 전경
고서면 송강정
정철의 글씨
정송강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