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문 정려문, 旌門국가에서 풍속을 권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모범으로 표창한 충신·효자·열녀 등이 사는 마을 입구나 집 문 앞에 세우던 붉은 색의 문을 가리키는 유교기호. 홍살문·정려문·작설·홍문 개설 작설(綽楔)·홍문(紅門)이라고도 하며 항간에서는 홍살문이라고도 부른다. ‘忠(충)·孝(효)·烈(열)’ 등의 글자를 새겨 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정문 正門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시중으로 이찬 염상과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관리. 개설 770년(혜공왕 6) 12월에 이찬(伊飡)의 관등으로서 김은거(金隱居)의 뒤를 이어 시중에 임명되었다. 4년 3개월간 재직하다가 775년 3월에 이찬김순(金順)에게 물려준 것으로 추측되기도 하나 정확하지 않다. 그리고 같은 해 8월에 이찬염...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775년(혜공왕 11)
- 경력 :
- 이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문의 난
- 직업 :
- 주모자,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정문 의덕(懿德), 鄭文고려 전기에 형부상서 · 검교사공 예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의덕(懿德). 예부상서 · 중추원사(中樞院使) 정배걸(鄭倍傑)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유복자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한 뒤 문종 때 비서랑(秘書郞)이 되었고, 선종이 즉위하면서 직한림(直翰林) 겸 사문조교(四門助敎...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
홍살문 (동의어 정문) 紅─門능·원·묘·궁전 또는 관아 따위의 정면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나무 문. 내용 홍전문(紅箭門) 또는 홍문(紅門)이라고도 한다. 둥근 기둥 두 개를 세우고 위에는 지붕이 없이 화살모양의 나무를 나란히 세워 놓았고, 그 중간에는 태극 문양이 그려져 있다. 이 태극 문양은 네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삼태극({{#001}}...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가족
-
허백정문집 虛白亭文集내용 원집 3권, 속집 6권, 합 9권 6책. 목판본. 원집은 1611년(광해군 3) 외현손 최정호(崔挺豪)가 가장초고(家藏草稿)를 편집, 간행하였고, 속집은 1843년(헌종 9) 후손 종구(宗九)·종표(宗標)·기찬(箕瓚) 등이 원집에 빠진 시문을 수집, 간행하였다. 원집 권두에 정경세(鄭經世)의 서문이, 권말에 최정호의 발문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귀달(洪貴達)
- 창작/발표시기 :
- 1611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9권 6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클로드 모네, 〈정면에서 바라본 성당의 정문, 갈색의 조화〉 외 루앙 대성당 연작모네가 미술사에 남긴 위대한 업적 중 하나는 일련의 ‘연작(series)’을 시도했다는 데 있다. 열 점 넘게 그린 ‘생라자르 역’을 비롯해 ‘건초더미’, ‘포플러’, ‘루앙 대성당’, ‘수련’ 등을 주제로 한 연작들은 같은 대상을 비슷한 구도에 놓고 시간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그린 그림으로, 대기와 빛과 색의...
- 저작자 :
-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
- 제작시기 :
- 〈정면에서 바라본 성당의 정문, 갈색의 조화〉 1892년 제작〈성당의 정문, 아침 햇살, 파랑의 조화〉 1893년 제작〈성당의 정문과 생로맹 탑, 햇빛 가득한 파랑과 금색의 조화〉 1893년 제작〈성당의 정문과 생로맹 탑, 아침, 흰색의 조화〉 1893년 제작〈성당의 정문, 흐린 날씨, 회색의 조화〉 1892년 제작
-
소학정문 小學正文편찬/발간 경위 『소학정문(小學正文)』에는 ‘숭정망십년계사하병산현개간(崇禎亡十年癸巳夏屛山縣開刊)’이라는 간기(刊記)가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1653년(효종 4) 병산현(屛山縣)에서 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지적 사항 규장각에 소장된 문헌 중 한 종류(奎中 2185)만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영본(零本)인 반면...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주희(朱熹)
- 창작/발표시기 :
- 1653년(효종 4)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零本)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충남대학교 도서관 등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볼가 강의 인부들 ‘볼가 강의 인부들’과 네크라소프의 ‘화려한 정문 앞에서의 단상들’라고 외치는 사람은 없다. 이것은 오직 화가의 위대한 업적 덕분이다.” 그가 이와 같이 언급한 것은 러시아의 위대한 시인 N. 네크라소프의 『화려한 정문 앞에서의 단상들』이란 시를 떠올렸기 때문일 것이다. (······) 볼가에 가보라, 위대한 러시아의 강 위로 누구의 신음소리가 울려 퍼지는지? 이 신음소리를...
- 제작시기 :
- 1870년∼1873년
- 작가 :
- 일랴 레핀
-
서흥김씨 삼강정문 瑞興金氏 三綱旌門상망(相望)하여 한 가문에서 충신과 효자 각 1명, 정절(貞節) 2명이 나왔고, 《삼강행실속록(三綱行實續錄)》에 기록되는 등 후세의 귀감이 된다. 김함의 효자정문은 원래 1606년(선조 39) 월래동(月來洞 : 지금의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월향리)에, 1737년에는 한씨 부인의 정렬정문(貞烈旌門)이 세워졌다. 1754년(영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사회/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