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후금에 패하여 형제의 맹약을 맺다, 정묘호란 丁卯胡亂1627년 1월 중순, 후금 군사 3만여 명이 압록강을 넘어 조선을 침입했다. 인조와 대신들은 적군의 침입 배경과 전황을 점검하고, 전시 체제에 따른 각종 조치들을 의논했다. 하지만 조선은 후금의 군사들에게 파죽지세로 밀렸고, 인조는 결국 강화도로 피란을 떠났다. 후금은 조선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뒤 3월 초에야 ...
- 시대 :
- 1627년
-
정묘호란 丁卯胡亂1627년(인조 5) 후금(後金 : 뒤의 淸)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역사적 배경 1월 중순부터 3월 초에 걸쳐 약 2개월 동안 계속되었다. 만주에 흩어져 살던 여진족은 조선과 명나라가 임진왜란으로 국력이 피폐해진 틈을 타 건주위(建州衛) 여진의 추장 누르하치(奴兒哈赤)를 추대해 여러 부족을 통...
- 시대 :
- 조선
- 발생 :
- 1627년(인조 5) 1월 중순
- 성격 :
- 전쟁
- 유형 :
- 사건
- 종결 :
- 1627년(인조 5) 3월 초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인조 (관련어 정묘호란)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왕, 삼전도의 치욕을 당하다서인의 무력 정변을 지원한 능양군 인조는 1595년(선조 28)에 선조의 아들인 정원군(定遠君, 원종으로 추존)과 구사맹(具思孟)의 딸인 연주군부인 구씨(인헌왕후로 추존) 사이에서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종(倧), 자는 화백(和伯)이며, 1607년(선조 40)에 능양군에 봉해졌다. 1623년 3월 13일, 김류, 신경진(申景...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95년(선조 28)
- 사망 :
- 1649년(인조 27)
- 본명 :
- 이종(李倧)
- 본관 :
- 전주(全州)
-
강홍립 (관련어 정묘호란) 실리외교로 전쟁을 조율한 장수광해군, 무장 강홍립을 오른팔로 삼다 나라에 큰 전란은 역설적으로 명장이 태어나는 좋은 조건이 된다. 우리나라는 잦은 외침 탓으로 많은 명장이 배출되었다. 조선조는 비록 문관 위주의 관료사회였지만 임진왜란 때에는 이순신이 있었고, 병자호란 때에는 임경업이 있었다. 그런데 시대적으로 그 중간에 드는 강홍립(...
- 출생 :
- 1560년
- 사망 :
- 1627년
-
조선 16대 왕, 인조 (관련어 정묘호란) 조선 제 16대왕, 仁祖조선 제 16대 왕이자 선조의 손자로 이름은 종, 자는 화백, 호는 송장. 서인들이 광해군을 왕위에서 내쫓고 옹립했으므로 서인들이 중심이 되어 국정을 운영했으며 반정공신들의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에 왕권을 강하게 내세우지 못했다. 인조는 중화사상을 중시하는 서인들의 영향으로 친명배금 정책을 내세웠다. 후금은...
- 출생 :
- 1595(선조 28)
- 사망 :
- 1649(인조 27)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유교(성리학)
- 재위 :
- 1623년∼1649년
- 시호 :
- 인조개천조운정기선덕헌문열무명숙순효대왕(仁祖開天肇運正紀宣德憲文烈武明肅純孝大王)
- 능묘 :
- 장릉(長陵)
-
17세기 초 일본 관료들이 본 조선 정묘호란이 끝나자마자 조선에 와서 상경한 일본인들일본 사신들이 오갔던 상경로(上京路)가 전쟁이 일어나자 한순간에 침략로(侵略路)로 둔갑해버린 아픈 기억 때문이었다. 그 기억이 채 가시기도 전에 1627년 1월 정묘호란이 일어났다. 일본은 이때를 놓치지 않았다. 일본은 궁지에 몰린 조선 정부를 압박하여 상경 허락을 받아내려 시도했다. 막부(幕府)는 이 기회를...
-
정묘호란·병자호란 때의 의병평산의 이진형, 해주의 유즙, 평양의 조유부·김지구, 곽산의 홍천감·이여각 등의 의병부대들이 청군의 후방에서 계속적인 항쟁을 벌였다. 그러나 정묘호란·병자호란 때의 의병의 활동은 16세기말 임진왜란 때의 전국적인 의병의 활동에 비해 훨씬 미약했다. 그 주된 원인은 임진왜란 이후 계속된 정치적 혼란과 경제...
-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정묘호란, 丁卯胡乱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occurred in 1627, when Hong Taiji led the Manchu army against Korea's Joseon dynasty. It was followed by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Joseon helped Ming China with 10,000 soldiers when Ming China attacked Manchurian Later Jin under Nurhaci in 1619, but K...출처 영어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