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론 政論조선후기 의 정치에 대한 견해와 만주일대의 정세에 대하여 서술한 정책서. 만주정세기록. 내용 1책. 필사본. 저자 및 저작연대는 미상이다. 서문·발문과 목차가 없다. 내용은 첫째로, 양인재(養人材)·절재용(節財用)에 관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둘째로, 양역(良役)의 폐단에 관한 상소로서 조선 후기 양역의 일반적...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정책서, 만주정세기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현정론, 昌原 鳳林寺 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저자 및 편자 조선 전기의 승려 함허당(涵虛堂) 득통화상(得通和尙) 기화(己和, 1376~1433)가 찬술하였다. 서지사항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은 9행 20자본으로 전라도 소요산 연기사(烟起寺) 판본(1537년)과 비슷하다. 총 24장[현정론 장차(張次) 제1~24우장, 시주질(施主秩) 장차 제24좌장]이다. 광곽...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기성정론 理氣性情論존재론의 영역에 속한다면, 성정론은 주로 인간의 도덕적 행위 근거의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이기론적 사유의 틀이 적용되고 있다. 이기성정론은 중국의 송대 유학에서 그 발단을 찾을 수 있지만, 이는 조선조 16세기 이후의 성리학자들에게서 보다 정치한 논리 전개가 이루어졌으며, 조선조 유학의 한...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초안정론 hyper-stability theory높인 포포프(Popov, M. V.)의 이론. 어떤 결합을 하더라도 안정성이 보존되는 시스템의 특징화를 이룬 것인데, 그 기초에 있는 것은 에너지를 소비, 산일하는 수동계의 개념이다. 포포프의 초안정론은 모델 규범형 적응 제어계의 안정성의 증명에 응용되어 공학 이론으로서 결실을 맺었다. 〈참조어〉 적응제어이론
- 분야 :
- 정보기초
-
사단칠정론 四端七情論사단과 칠정을 둘러싼 이 이론적(理氣論的) 논쟁으로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이 대표적이다. 사단이란 맹자가 말한 도덕적 가치의 실마리인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말하며, 칠정이란 <예기(禮記) >와 <중용(中庸) >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慾)을 말한다. 퇴계...
-
가례집요 家禮輯要비요』에서 고례에 근거하여 보완한 내용을 본문의 층위가 아닌 본주의 층위에 일괄 반영한다. 둘째, 『가례』의 본문에 대한 『상례비요』의 보완을 주자 정론의 반영 또는 『가례』의 내적 정합성의 확보라는 원칙하에 수용한다. 셋째, 주자의 정론임에도 『상례비요』에서 보완하지 못한 것을 적극 반영한다. 세 가지...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사회/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