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론 政論
    조선후기 의 정치에 대한 견해와 만주일대의 정세에 대하여 서술한 정책서. 만주정세기록.|내용 1책. 필사본. 저자 및 저작연대는 미상이다. 서문·발문과 목차가 없다. 내용은 첫째로, 양인재(養人材)·절재용(節財用)에 관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둘째로, 양역(良役)의 폐단에 관한 상소로서 조선 후기 양역의 일반적...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정책서, 만주정세기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관련어 정론)
    특정 문제나 주제를 놓고 여러 의견을 모아 조리있게 비판하면서 일관된 자기의 관점을 제출하는 한문체.|기원은 유가의 경전이나 제자백가의 책들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유가의 경전을 비롯해 광범위하고도 계통적으로 사물의 도리를 설명하는 제자백가의 책에는 논을 내세우지 않더라도 논체의 글이 많이 들어 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현정론, 昌原 鳳林寺 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저자 및 편자 조선 전기의 승려 함허당(涵虛堂) 득통화상(得通和尙) 기화(己和, 1376~1433)가 찬술하였다. 서지사항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은 9행 20자본으로 전라도 소요산 연기사(烟起寺) 판본(1537년)과 비슷하다. 총 24장[현정론 장차(張次) 제1~24우장, 시주질(施主秩) 장차 제24좌장]이다. 광곽...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기성정론 理氣性情論
    존재론의 영역에 속한다면, 성정론은 주로 인간의 도덕적 행위 근거의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이기론적 사유의 틀이 적용되고 있다. 이기성정론은 중국의 송대 유학에서 그 발단을 찾을 수 있지만, 이는 조선조 16세기 이후의 성리학자들에게서 보다 정치한 논리 전개가 이루어졌으며, 조선조 유학의 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초안정론 hyper-stability theory
    높인 포포프(Popov, M. V.)의 이론. 어떤 결합을 하더라도 안정성이 보존되는 시스템의 특징화를 이룬 것인데, 그 기초에 있는 것은 에너지를 소비, 산일하는 수동계의 개념이다. 포포프의 초안정론은 모델 규범형 적응 제어계의 안정성의 증명에 응용되어 공학 이론으로서 결실을 맺었다. 〈참조어〉 적응제어이론
    분야 :
    정보기초
  • 교술 敎述
    부차적이라는 통념은 서구 중심적 3분법에 따른 선입관이지 갈래론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교술이 교훈성·이념성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문학에서 이야기되는 '아지 프로'(선동 선전)와 북한문학사의 '정론문학', 최근 각광받는 노동자계급의 현장 문학인 '생활글' 등을 교술의 갈래로 포함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강성대국 强盛大國
    어느 정도 실현되었다는 자신감을 토대로 경제발전을 도모해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하자는 것으로, 1998년 8월 22일자에 실린 같은 제목의 〈노동신문〉 정론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이는 '고난의 행군'(1997), '사회주의 강행군'(1998) 등으로 경제위기를 한 고비 넘겼다는 선언임과 동시에, 강성대국 건설의 가장 중요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정론적유출모형 確定論的流出模型, deterministic runoff mo..
    강우-유출관계의 확정성을 전제로 유출뿐만이 아닌 수문현상을 공학적으로 모의하는 모형을 말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사단칠정론 四端七情論
    사단과 칠정을 둘러싼 이 이론적(理氣論的) 논쟁으로 이황과 기대승의 논쟁이 대표적이다. 사단이란 맹자가 말한 도덕적 가치의 실마리인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말하며, 칠정이란 <예기(禮記) >와 <중용(中庸) >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慾)을 말한다. 퇴계...
  • 신행정론 New public administration, 新しい公共
    신행정론 또는 신행정학(New Public Administration)은 1960년대 말 일단의 미국의 젊은 행정학자들이 기존 행정학의 학문 방법과 개념, 연구의 적실성(適實性) 등을 비판하면서 일으킨 새로운 학문 지향을 말한다. 이들은 행정에 있어서의 실증주의와 행동주의를 반대하고 적실성과 실천성을 갖는 새로운 학문이 필요...
    도서 위키백과
  • 자유헌정론 The Constitution of Liberty, 自由の条件
    《자유헌정론》(The Constitution of Liberty)은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저서이다. 이 책은 1960년 University of Chicago Press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저자는 부와 성장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자유의 기본 원칙에 의해 문명이 가능해진 것으로 해석한다. 마거릿 대처는...
    도서 위키백과
  • 가례집요 家禮輯要
    비요』에서 고례에 근거하여 보완한 내용을 본문의 층위가 아닌 본주의 층위에 일괄 반영한다. 둘째, 『가례』의 본문에 대한 『상례비요』의 보완을 주자 정론의 반영 또는 『가례』의 내적 정합성의 확보라는 원칙하에 수용한다. 셋째, 주자의 정론임에도 『상례비요』에서 보완하지 못한 것을 적극 반영한다. 세 가지...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사회/가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정론
정론 / 산해관, 만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