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구 도가(道可), 鄭逑조선시대 강원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철산군수 정윤증(鄭胤曾)의 종손으로,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고, 아버지는 충좌위(忠佐衛) 부사맹(副司孟)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3년(중종 38)
- 사망 :
- 1620년(광해군 12)
- 경력 :
- 강원도관찰사, 형조참판, 대사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학자
- 대표작 :
- 가례집람보주, 창산지, 심경발휘, 역대기년, 고금회수, 의안집방 등 다수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주(淸州)
-
-
정구 연식정구, 庭球경기장 중앙에 네트를 두고 양쪽에서 라켓으로 연식 공을 치고 받아 승패를 겨루는 운동경기. 연식정구 내용 테니스에서 파생된 것으로, 테니스가 단단한 경식 공을 사용하는 데 대하여 연식정구라고도 한다. 경기장의 크기는 10.97×23.77m의 장방형이며, 네트의 높이는 1.06m이다. 공은 백색 고무제품으로 말랑말랑...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
정구 중상(仲常), 鄭矩조선전기 개성부유후, 의정부참찬, 의정부 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중상(仲常), 호는 설학재(雪壑齋). 아버지는 감찰대부(監察大夫) 정양생(鄭良生)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77년(우왕 3) 문과에 을과 2등으로 급제, 전교시부령(典校寺副令)을 지내고, 1382년김극공(金克恭)의 옥사에 ...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50년(충정왕 2)
- 사망 :
- 1418년(태종 18)
- 경력 :
- 의정부 찬성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건원릉신도비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동래(東萊)
-
정구 대명(大鳴), 鄭球조선전기 예문관검열, 사원원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대명(大鳴), 호는 괴은(乖隱). 정자순(鄭子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결(鄭潔)이고, 아버지는 무안현감 정유의(鄭有義)이며, 어머니는 조찬(趙瓚)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1년(연산군 7) 진사시에 합격한 뒤, 1510년(중종...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90년(성종 21)
- 사망 :
- 미상
- 경력 :
- 사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괴은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동래(東萊)
-
정구 (1543년) Jeong Gu, 鄭逑양반 정보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다. 자(字)는 도가(道可), 가보(可父). 호는 한강(寒岡)·회연야인(檜淵野人). 본관은 청주(淸州). 시호는 문목(文穆). 한강은 1543년 7월 9일 경상북도 성주...도서 위키백과
-
대한정구협회 大韓庭球協會개설 정구(여기는 테니스 성격이 짙음)의 처음 이름은 ‘척구(擲球)’라고 하였다. 우리나라 처음 도입시기는 많은 설이 있으나 그 중에 개화기의 청년정치가 김옥균(金玉均)에 의하여 1883년 일본에서 도입되었다는 설에 따른다. 수신사 일행을 수행하여 도일한 선생은 개화 문명의 길을 걷고 있는 일본을 보고 경응의...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정 정남(丁男), 丁제정 목적 국가에서 조세(租稅) 부과 및 부역(賦役) 징발을 위해 정(丁)을 편제하였다. 일명 정남(丁男)이라고도 했으며, 정인(丁人) · 정구(丁口) · 정부(丁夫) · 인정(人丁) 등으로도 표기되었다. 내용 인정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에는 15세 이상 59세까지의 남자를 정남이라 하고, 고려와 조선에서는 16∼59세까지의...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한강 정구 신도비 정 한강 신도비명(鄭寒岡神道碑銘), 寒岡 鄭逑 神道碑개설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의 본관은 청주(淸州)로,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이다. 이황(李滉)과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성리학과 예학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박학하여 후에 근기남인 실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관직은 여러 차례의 지방관을 거쳐 형조참판 ·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으며, 시호...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고도 딴정구섬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생산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11398(양식어업...
- 면적 :
- 3,471m 2
- 좌표 :
- 35° 05′ 00.90″ N, 126° 09′ 55.12″ E
- 지번 :
- 지도읍 감정리 산73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0.0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