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어 접촉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COVID-19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우한 폐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코로나19'라고도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감염 후에는 인후통,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거쳐 폐렴으로 발전하는데 변이형에 따라 증상은 차이가 ...
- 분류 :
- 호흡기 증후군
- 공식명칭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 발생 부위 :
- 폐, 심장, 신장
- 증상 :
- 고열, 근육통, 마른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 진료과 :
- 감염내과, 호흡기내과
- 관련 질환 :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급성 폐렴
-
-
-
-
주접촉자의 정격 최대차단전압 주접점의 정격 최대차단전압, rated maxi..자기차단기 용어. 계자방전 차단기가 사고시 등의 전원전류를 차단하는데 요하는 최대의 직류 전압이며, 이것에는 전기자의 전류에 의한 자계에 의해서 유도되는 전압을 포함함. 주접촉자를 가로지르는 전압의 직류(dc) 성분의 크기는 축의 이동에 대해서 같음
-
표준안정위치(접촉자의) standard reference position전력용 개폐장치 용어. 주접점이 비작동 혹은 탈에너지의 상태에 있는 이치. 주 : 전형적인 장치의 표준안정위치는 ANSI9.44 혹은 IEEE37.2-1979에 올려져 있다.
-
다제내성녹농균(MRPA) 감염증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s://is.kdca.go.kr/)의 방법으로 신고 * 표본감시 대상 의료기관 여부 확인 : 관할 보건소로 문의 환자 및 접촉자 관리 환자 처치 전 후 손 씻기, 1회용 장갑사용 등을 통해 접촉에 대한 주의를 실시합니다. 환자가 사용한 의료기기를 멸균하고 병실을 정기적으로 소독합니다...
-
접촉자 또는 유니트 스위치 contactor or unit switch정상 조건 하에서 전력회로를 반복 연결하거나 차단하거나 하기 위하여 수동에 의하지 않고 조작되는 장치 〈참조어〉 제어 스위치
-
1차 아크접촉자(개폐장치의) primary arcing contacts전력용 개폐장치 용어. 초기 아크를 연장해서 아크전환 저항전류 이외의 최종전류를 주접점이 분리된 후에 차단하는 접점
-
연동접촉자(개폐장치의) self-coupling separable conta..개폐장치의 고정전극이나 가동전극에 장착되어, 두 개의 전극이 접촉 혹은 개방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접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