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률, 규정, 약속 등에 따른 우리말, ()을 가리키는 여러 가지 말
    () 서죽(筮竹, 무속에서 점치는 데쓰는 댓개비)으로 을 치는 행위다. 복(卜) 거북의 등딱지나 소나 말의 뼈를 태워 이때 갈라진 금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행위다. 이 금을 조(兆)라고 한다. 길조, 징조는 복에서 나온 말이다. 서(筮) 시초(蓍草, 톱풀)나 서죽 따위로 《주역(周易)》의 괘를 뽑아 점사를 보는 것...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척전, ─占
    또한, 한 번 던져서 상괘(上卦), 두 번 던져서 하괘(下卦), 세 번 던져서 동효(動爻)를 보는 방법도 있는데, 천지인 삼재(三才)의 이치를 적용하고 산통(算筒)과 같이 괘효를 정한다. 그러나 ≪주역≫의 팔괘가 무엇인지도 잘 모르는 무당들은 아직도 원시적 방법을 사용하여 돈의 음양이 가리키는 길흉의 방법과는...
    성격 :
    점법, 세시풍속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산통 算筒占
    있는 눈금을 읽고, 여섯 번 되풀이하여 괘를 만들어 을 친다. 이 방법도 산목에 새겨진 것이 숫자인가, 음과 양이 표시된 것인가에 따라 다르다. 64괘는 육효(六爻)의 괘문(卦文)과 같고, 다만 괘를 만드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음양과 역학의 원리를 적용한 작괘점(作卦)의 일종으로 널리 전파되어 있어서 속담...
    성격 :
    점법, 작괘점(作卦占)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占, fortune-telling
    은 BC 4000년경 고대 중국·이집트·칼데아·바빌로니아에서 행해졌다는 증거가 있다. 예언적인 꿈과 신탁은 고대 종교와 의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을 이용한 예언 방법으로는 점성술(지상의 사건에 영향을 미치는 천체운동에 관한 해석)과 수점술이 있고, 카드·차나무잎·수정구·주사위·불·물·소금 같은...
  • 쌀占
    내용 제주도에서는 달리 ‘제비쌀’이라고 일컫는다. 대부분 무당 · 보살 · 명도 등이 사소한 문제로 찾아오는 이들에게 미래를 예언해주는 데에 쓰인다. 쌀은 신들을 청해 기원을 하고서 굿의 효험이나 건강을 문의할 때에도 쓰인다. 쌀을 치는 방법은 탐지하고 싶은 사항을 물으면서 제상에 올려놓은 쌀을...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오행 五行占
    다섯 개를 손안에 쥐고 “하늘의 말씀이 있으면 땅에도 말씀이 있을 것이요, 감응하시면 순통(順通)하시오. 지금 아무 곳에 사는 아무개 모년 모월 모일 생이 을 치니 신명께서는 거역치 마시고 잘 점지해주십시오.” 하는 의미의 주문을 세 번 외운 다음, 땅에 탁 던져서 나타난 오행글자로 점괘를 얻어 그 점괘에...
    성격 :
    점법, 민간신앙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산판점 算版占
    돈이라는 뜻에서 ‘천문’이라는 이름이 붙은 듯하다. 상잔은 지름 4㎝ 내외, 깊이 1㎝ 내외의 놋쇠제품으로 술잔 모양이다. 상은 산(算)의 음변으로 ‘()’의 뜻이 있고, 잔(盞)은 술잔의 의미로 곧 ‘점치는 잔’이라는 뜻의 말이다. 산대는 지름 11㎝ 내외, 깊이 1㎝ 정도의 접시 모양의 것으로 ‘점치는 잔의 대...
    성격 :
    점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오행 五行占
    3차례 중얼거린 후, 손에 쥐고 있는 오행(나무나 돈)을 던져서 나타난 오행의 문자로 괘를 만들고, 이를 풀이책의 괘사와 맞추어 길흉을 판단한다. 던져서 하는 이기에 투척점의 일종으로 보인다. 또는 콩조각 5개를 가지고 하기도 한다. 깎은 나무에는 각각 금·목·수·화·토의 5개 글자를 새기고 손에 넣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육효 六爻占
    내용 이 법은 복희씨(伏羲氏)의 하도(河圖)와 주문왕(周文王)의 낙서(洛書)에 근거를 두고 있다. 처음에는 64괘의 변화에 따라 길흉을 판단하였고 육효의 세부적인 사항은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역학을 근간으로 한 점법이 발달되어 삼전(三傳)·사과(四課)·구궁(九宮) 등의 법이 발달되어 성행하자 팔괘에 관한 것...
    성격 :
    점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거북점 ─占
    내용 ‘()’자의 구성이 거북의 등에 나무를 세우고 그 방향을 찾는 형상이라고 하거니와 점복과 거북이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거북 등에 새겨진 주름살을 구배문(龜背文)이라 해서 이것을 해석하여 점치는 방법은 일찍이 중국 고대사회에 있었는데, 우리 나라에도 백제 때에 있었다. 의자왕 20년에 대궐 안에...
    성격 :
    점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점쟁이 占─
    종류는 여러 가지이다. 평생의 운명을 점치는 사주점, 몇 년 간의 앞일을 점치는 운수점, 당년의 길흉을 점치는 신수점, 며칠 간의 재수를 점치는 단시(斷時), 액운의 퇴치법을 점치는 멸액점(滅厄), 질병의 치료방법을 점치는 절초점(折草)이 있다. 또한, 재판의 승패를 점치는 관송점(官訟), 길일을 점치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나비점 ─占
    거북점에서 근거한다. 거북등껍질의 모양을 구배문(龜背文)이라고 해서 이를 해석하여 점치는 방법이 있었는데, 백제 의자왕 멸망 설화에도 등장한다. ()이라는 한자도 거북점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동물의 역사는 나비점에도 반영되어 있어서 나비의 모양과 색깔을 통해서 개인의 길흉을 점쳐왔다. 전국적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점 점(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