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설기떡떡의 켜를 만들지 않고 한 덩어리가 되게 찌는 시루떡. 내용 『거가필용(居家必用)』에는 고구려의 후예인 여진족의 식품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는 찹쌀과 감 말린 것을 함께 찧어서 가루로 만들고, 다시 대추를 삶아 으깨어 진흙처럼 하여 말린 것을 섞어서 다시 찧는다. 이것을 체로 친 다음에 시루에 쪄내는 밤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식생활
-
-
도토리설기떡식재료 도토리 , 소금 , 설탕 , 물 적량 조리방법 1. 도토리 껍질을 벗기고 물에 담가 여러 번 갈아 주면서 떫은맛을 우려 낸다. 2. 도토리를 건져 물기를 빼고 곱게 빻는다. 3. 2를 다시 물에 담가 떫은맛을 우려 내고 윗물만 따라 버린다. 4. 가라앉은 앙금(전분)은 그늘에 말린 다음 가루를 빻는다. 5. 4의 도토리...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무설기 무설기떡식재료 멥쌀 180g(1컵), 팥 105g(1/2컵), 무 200g(1/4개), 소금 1/2작은술 조리방법 1. 멥쌀은 씻어 불려 건진 후 소금을 넣고 곱게 빻는다. 2. 무는 손질하여 채 썬다(5×0.5×0.5cm). 3. 팥은 물을 붓고 한소끔 끓으면 그 물을 버리고, 다시 팥의 3배 정도의 물을 부어 팥이 무를 때까지 삶는다. 팥이 거의 익으면 물...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도토리가루설기 도토리떡식재료 도토리가루 320g(2컵), 찹쌀가루 500g(5컵), 멥쌀가루 750g(5컵), 파란 콩가루 250g(2컵), 밀가루 약간, 물 400mL(2컵), 설탕 1컵, 소금 1큰술 조리방법 1. 도토리가루에 물 2컵을 섞어 가루를 부드럽게 한다. 2. 찹쌀가루, 멥쌀가루에 소금을 넣고 비비면서 1의 도토리가루를 넣고 잘 섞어 체에 내린 다음 설탕...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홍시떡 상주설기식재료 멥쌀가루 1kg(7컵), 홍시 3개, 당근 75g(1/2개), 설탕 150g(1컵), 물엿 75g(1/4컵), 소금 1큰술, 물 100ml(1/2컵) 조리방법 1. 홍시는 꼭지를 따고 칼집을 넣어서 껍질을 벗긴 후 물을 붓고 홍시즙이 1/2컵 정도가 되도록 삶아 체에 내린 후 식힌다. 2. 당근은 꽃 모양을 만들어 물엿에 1시간 정도 담근다. 3...
- 분류 :
- 떡류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
백설기 흰무리음식이라는 뜻에서 어린이의 삼칠일·백일·첫돌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쓰이고 사찰에서 재를 올릴 때 또는 산신제·용왕제 등 토속적인 의례에 많이 쓰인다. 설기떡은 김해나 웅천 등지에서 출토된 시루, 안악고분벽화의 시루에다 무엇인가를 찌고 있는 아낙네, 무문토기시대의 유물인 제분용 연석 등으로 미루어, 1...
- 성격 :
- 음식, 떡
- 유형 :
- 물품
- 재질 :
- 멥쌀가루
- 용도 :
- 주식용, 간식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떡蘿葍餠 : 무시루떡)·잡과병(雜果餠 : 밤·대추·곶감을 섞어 만든 떡)·도행병(桃杏餠 : 쌀가루에 살구향기를 가미하여 만든 떡)·율고(栗糕 : 밤설기떡)·도병(桃餠 : 복숭아향기를 섞은 떡)·당귀병(當歸餠 : 당귀가루를 섞은 떡)·상자병(橡子餠 : 도토리가루를 섞은 떡)·산삼병(山蔘餠 : 삼을 섞은 시루떡)·유엽...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석탄병 감설기, 惜呑餠지역에서 곶감을 말릴 때 깎아낸 감껍질을 이용하여 만든 떡이다. 연원 및 변천 ‘석탄’은 ‘떡을 아껴서 삼킨다’는 뜻으로, 삼키기가 아까울 정도로 향과 맛...좋다는 표현이다. 다만 모든 재료를 찧어서 가루를 내어 만들기 때문에, ‘감설기’라고도 한다. 제조 방법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보면, “단단하게...
- 시대 :
- 조선후기
- 성격 :
- 식생활, 음식, 병이류
- 유형 :
- 물품
- 재질 :
- 떡
- 용도 :
- 특별음식
- 분야 :
- 생활/식생활
-
떡타령 떡노래가창자는 3개월 단위로 떡을 사라는 사설을 반복함으로써 이 노래의 구연 목적을 분명히 드러낸다. 한편, 지역과 떡을 연관지어 표현한 형태도 있다. "떡 떡 배피떡/기피고물에 찬시리떡/서울 사람은 설기떡/전라도 사람은 찰떡/들녁 사람은 쑥떡/산중 사람은 칡가리떡/해변 사람은 파래떡/제주 사람은 감자떡/황해도...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 만들기씻고 먹을 수 없는 부분은 도려 낸다. 찐 고구마 : 깨끗이 씻고 30분간 찐다. <건조 방법> 천일건조, 열풍건조(50℃ 또는 60℃) 자색 고구마 이용 음식 설기떡(무지개떡) 재료 • 쌀 8kg • 고구마 가루 150g • 설탕 1kg • 소금 50g • 물 1.2L 만드는 법 ➊ 쌀을 하룻밤 불려서 곱게 빻아 반으로 나눈다. 한쪽은 설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