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정 田政조선 후기 토지에 부과되던 모든 조세를 일괄하여 수취하는 일종의 전결세(田結稅) 수취행정제도. 내용 17세기 이후 대동법(大同法)·균역법(均役法)의 실시 등 일련의 세제개혁을 통하여 각종 조세가 토지로 집중되고, 『경국대전』으로 법제화된 전기의 조용조(租庸調) 체제가 무너지면서 토지에 세를 부과하여 수취...
- 시대 :
- 조선
- 성격 :
- 수취행정제도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전정 典正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8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궁정(宮正, 정5품)을 도왔으며,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또한, 궁정이 맡은 계령(戒令)·규금(糾禁)·적벌(謫罰) 등의 일을 보좌하였다. 그 뒤『경국대전』에 전등(典燈)·전채(典彩)와 ...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궁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28년(세종 10)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감각기, 평형기 구조 (관련어 전정) 몸의 기울기와 회전을 감지하는평형감각은 세 개의 반고리관과 이석기가 담당한다. 반고리관의 감각모와 이석기가 기울기와 회전을 감지해서 전기신호로 바꿔 대뇌로 보낸다. 평형을 유지하는 구조 내이의 달팽이관 이외의 부분을 전정이라고 한다. 전정의 윗부분에는 세 개의 반고리관이 있다. 반고리관의 뿌리 부분에는 달걀 모양의 주머니인 난형...
- 참고 :
- 차멀미도 어지럼증의 일종으로 탈것의 진동이 반고리관이나 이석기의 기능을 흐트려 생긴다. 자율신경이 흐트러져 구토중추가 자극을 받아 구토가 발생한다.
-
-
-
감 재배, 정지 ・ 전정 재배기술정지 ・ 전정의 중요성 정지 ・ 전정(整枝剪定)은 생산비 절감, 안정생산 및 품질향상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감나무의 정지 ・ 전정은 품종, 수령, 기상, 지형, 시비, 착과량 등 많은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고, 농기계작업, 재배자의 과원 경영 방식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
-
생후 4~6개월 아기발달, 아기의 전정기관반응안정감을 주는 전정기관자극 전정기관자극에 대한 반응은 머리가 움직일 때 귀 안의 전정기관이 자극되어 뇌로 전달되면서 느끼게 되는 반응이다. 몸이 살살 흔들리면서 머리도 살살 흔들리는 경우 사람의 마음은 안정이 된다. 반면 몸이 격하게 움직이고 머리도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온몸을 긴장하게 되고 심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