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정 田政
    조선 후기 토지에 부과되던 모든 조세를 일괄하여 수취하는 일종의 전결세(田結稅) 수취행정제도.|내용 17세기 이후 대동법(大同法)·균역법(均役法)의 실시 등 일련의 세제개혁을 통하여 각종 조세가 토지로 집중되고, 『경국대전』으로 법제화된 전기의 조용조(租庸調) 체제가 무너지면서 토지에 세를 부과하여 수취...
    시대 :
    조선
    성격 :
    수취행정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전정 田丁
    국가에서 전국의 토지를 조사할 때 일정한 면적을 단위로 구획하여 파악했는데, 이 일정면적을 전정이라 했다. 고려시대의 전시과 제도에서는 관료와 군인·향리 등 직역 및 각종 국역부담자에게 국역수행의 반대급부로 일정한 토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했다. 이때 토지를 받은 사람은 각각 적게는 1개부터 많게는 수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전정 典正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8품 궁관직.|내용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직속상관인 궁정(宮正, 정5품)을 도왔으며,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또한, 궁정이 맡은 계령(戒令)·규금(糾禁)·적벌(謫罰) 등의 일을 보좌하였다. 그 뒤『경국대전』에 전등(典燈)·전채(典彩)와 ...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궁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428년(세종 10)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전정 典正
    조선시대 내명부의 하나.|정8품관으로, 상정(종6품)을 보좌했다.→ 내명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전정 前庭, vestibule
    어떤 기관에서 외부로부터 그 기관 고유부로 이행하는 부분의 총칭.
  • 족정 (동의어 전정) 足丁
    고려시대 토지분급 및 조세·요역부과의 단위인 전정(田丁)의 기준 결수대로 지급된 토지.|고려시대에는 전시과제도를 비롯한 토지분급제도가 있어 관료·군인·향리 등 직역 및 각종 국역부담자에게 국역수행의 대가로 토지에 대한 수조권(收租權)을 지급했다. 이때 국가에서는 토지분급 및 수세(收稅)를 위해 전국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전정
    전정(剪定)은 과수원에서 세부적인 가지를 솎아주거나 잘라주는 일련의 행동을 의미한다. 과일재배에서 수형(樹形)을 형성하기 위해서 가지를 자르는 행동을 나타내는 정지(整枝)와는 차이가 있다.웹 인용 전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부러지거나 약해서 이상이 발생한 가지를 제거한다. 또한 혼잡한 부분의 가지를 정리...
    도서 위키백과
  • 감각기, 평형기 구조 (관련어 전정) 몸의 기울기와 회전을 감지하는
    평형감각은 세 개의 반고리관과 이석기가 담당한다. 반고리관의 감각모와 이석기가 기울기와 회전을 감지해서 전기신호로 바꿔 대뇌로 보낸다.|평형을 유지하는 구조 내이의 달팽이관 이외의 부분을 전정이라고 한다. 전정의 윗부분에는 세 개의 반고리관이 있다. 반고리관의 뿌리 부분에는 달걀 모양의 주머니인 난형...
    참고 :
    차멀미도 어지럼증의 일종으로 탈것의 진동이 반고리관이나 이석기의 기능을 흐트려 생긴다. 자율신경이 흐트러져 구토중추가 자극을 받아 구토가 발생한다.
  • (관련어 전정) mouth
    동물 및 인간에서 음식물과 공기가 들어가는 기관. 구강(oral cavity, buccal cavity)이라고도 함.|입의 앞은 입술을 경계로 외부와 통하게 되어 있고, 뒤는 인두로 연결된다. 입은 입술·양볼·경구개·연구개·성대문으로 경계가 지워진다. 입은 양볼과 이[齒牙] 사이의 부위인 구강전정(oral vestibule) 및 고유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화계
  • 과원 정지전정
    정지전정의 목적 배 재배에서 정지전정은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만약 배나무의 정지전정을 실시하지 않고 자연 상태로 키우면 배 품종 특유의 형태로 자라게 되지만 불필요한 골격지가 많아지고 수관이 복잡해진다. 수관 내부에 햇빛의 투과와 통풍이 불량해지고 약제의 투과도 곤란하므로 과실 품질...
    도서 | 태그 산업 , 과일
  • 감 재배, 정지 ・ 전정 재배기술
    정지 ・ 전정의 중요성 정지 ・ 전정(整枝剪定)은 생산비 절감, 안정생산 및 품질향상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감나무의 정지 ・ 전정은 품종, 수령, 기상, 지형, 시비, 착과량 등 많은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고, 농기계작업, 재배자의 과원 경영 방식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
    도서 감 재배 | 태그 나무 , 산업 , 과일
  • 생후 4~6개월 아기발달, 아기의 전정기관반응
    안정감을 주는 전정기관자극 전정기관자극에 대한 반응은 머리가 움직일 때 귀 안의 전정기관이 자극되어 뇌로 전달되면서 느끼게 되는 반응이다. 몸이 살살 흔들리면서 머리도 살살 흔들리는 경우 사람의 마음은 안정이 된다. 반면 몸이 격하게 움직이고 머리도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온몸을 긴장하게 되고 심하면...
    도서 아기발달 백과 | 태그 건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8건

(그림 5-22) 솎음전정과 절단전정
(그림 3-9) 절단전정과 솎음전정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염
전정신경절단술
전정기능검사
전정와우신경
전정와우신경
전정안구반사
경기전정전
악학궤범 / 시용전정헌가
전정고취 배열도
(그림 5-41) 곁가지의 세부 전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