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인교육 全人敎育원만한 인격자를 기르기 위하여 인지적·정의적·심동적 영역의 완전한 조화를 지향하는 교육. 개설 1895년(고종 32) 고종은 전인교육 취지을 담은「교육입국조서」를 발표하였다.「교육입국조서」의 내용은 유교경전 중심의 경학교육을 비판하고 덕육(德育)·체육(體育)·지육(智育)의 교육구상이다. 광복 후에 교육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
전인적 인간을 위하여 콜비츠 ‘퇴근하는 노동자들’과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벗어나 전인적 인간의 실현을 향한 큰 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 “아무도 하나의 배타적 활동 영역을 갖지 않으며 모든 사람이 원하는 분야에서 자신을 도야할 수 있는 사회에서는 사회가 전반적 생산을 규제함으로써 오늘은 이 일 내일은 저 일, 아침에는 사냥하고 오후에는 낚시하고 저녁에는 소를 치며 저녁 식사 후...
-
교육 敎育교육의 내실, 과학기술 교육의 진흥, 전인교육 충실 등을 채택하였다. 이어서 1982년에는 민주정의사회 건설을 위한 국민정신 교육의 강화, 고도산업사회에 부응하는 과학기술 교육의 진흥,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평생교육 확충, 창조 · 개혁 · 발전을 위한 전인교육 확충을 문교시책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문교정책...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교육과정 敎育課程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구 · 개발을 한국교육개발원에 위촉하였다. 새 교육과정기준 구성의 기본방향은 국민정신교육의 체계화, 전인교육‧진로교육‧과학기술교육의 강화,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에 두고 건전한 심신의 육성, 지력과 기술의 배양, 도덕적인 인격의 형성, 민족 공동체 의식의 고양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
-
교육개혁 敎育改革시 당국에 신고하기 바람 등이었다. 1980년 7월 30일에 단행된 ‘7·30교육개혁’ 방안은 과열과외 현상을 바로잡아 교육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이고, 학교교육의 본래 목적인 전인교육에 충실함으로써 교육이 제 위치를 찾고, 의식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 ‘7·30교육개혁’ 조치 중에서 대학 학사운영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조선교육연구회 민주교육연구회, 朝鮮敎育硏究會개설 1946년 8월 ‘민주교육연구회’라는 이름으로 안호상·손진태·사공환·최현배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단체이다. ‘새 조선은 교육에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민족교육과 전인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였으며, 1947년 4월 15일 『조선교육(朝鮮敎育)』을 창간하여 1949년 10월까지 통권 18호를 발행하였다. 광복...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8월
- 성격 :
- 신교육운동 교육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9년
- 설립자 :
- 안호상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