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부 典簿조선시대 종친부(宗親府)의 종5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1월에 부전첨(副典籤)을 전부로 고쳐 『경국대전』에 법제화하였다. →종친부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66년(세조 12) 1월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완전 도재관 전부 도재관, all ceramic crown정의 치과용 도재(세라믹)로 치아를 전부 씌워 주는 치료를 말합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심미적으로 가장 만족스러운 수복물 중의 하나입니다.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금속이 없기 때문에 다른 어떤 수복물보다 색과 투명도에서 자연치와 유사합니다. 종류 1) 분말 슬러리 도재 : 도재 분말과 특수 용액을 혼합하여...
- 진료과 :
- 치과보철과
-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구성 및 형식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는 종이 바탕에 수묵채색으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142.8㎝, 가로 102.0㎝이다. 2010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며,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화면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단에 전서체로 쓴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전부고취 前部鼓吹내용 행악(行樂)으로 쓰이는 전부고취의 특성상 모두 이동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악기로 편성되었다. 악기 종류와 수효는 시기에 따라 가감되었는데, 『악학궤범(樂學軌範)』 편찬 당시에는 ‘박(拍) 1, 피리 · 대금 각 6, 당적 4, 퉁소 · 당비파 · 장고 각 6, 방향 · 교방고 각 1’이었는데, 이후 조선 후기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IQ 수치가 전부가 아닌 이유!태연, TV를 보다 말고 눈물을 글썽이며 아빠에게 간다. “아빠, 아무래도 저는 오래 못 살 거 같아요. 그동안 제가 잘못한 게 많아요. 죄송해요.” “아니 태연아, 그게 무슨 말이냐.” “방금 TV에서 봤는데요. 어릴 적 지능지수(IQ)가 낮으면 장수하기 힘들데요. 영국에서 조사해보니까 76세 이전에 죽은 사람들의...
-
기적전부 記蹟全部서지적 사항 12권 12책. 필사본. 저자나 저작 연대는 알 수 없다. 내용 권1에 천체(天體)·하한(河漢)·역상(易象)·일식(日食)·성신(星辰)·기우(祈雨)·뇌전(雷電)·지리·조어(釣魚)·조석(潮汐)·백두산·상부(祥符)·재이(災異)·입춘·단오·칠석·동지·정삭(正朔)·군덕(君德)·성학(聖學)·정치 등 90개 항목...
- 시대 :
- 조선
- 성격 :
- 교재, 참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2권 12책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전부여출토납석제이불병립상 傳扶餘出土蠟石製 二佛竝立像높이 16.2㎝.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이 상은 테두리가 물결무늬 모양인 광배 앞면의 오른쪽에는 보살상이, 왼쪽에는 불상이 고부조로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산악무늬[山岳文]가 장식되어 있다. 밑부분에는 굵은 촉이 있어 어떤 곳에 삽입·고정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왼쪽의 불상은 얼굴과 양손이 파괴되어 세부표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