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음주전문춘추괄례시말좌전구두직해 권62~70 音註全文春秋括例始末左傳句讀直解 卷..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9권(권62∼70) 1책. 목판본. 『춘추좌씨전』을 송(宋)나라 때의 학자 임요수(林堯叟)가 읽기 어려운 글자에 음주(音註)하고 전문(全文)에 알기 쉽게 주석한 원판본을 번각(翻刻)한 책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내용 사실을 기록한 『춘추』는 시사를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책...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전문 데이터베이스 全文-, full-text database
    전문 데이터를 수록 대상으로 하여 축적한 데이터베이스. 전문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대상 정보가 주로 법령이나 판례와 같은 법률 정보가 주를 이루었으나 차차 그 대상이 신문 기사나 학술 논문, 단행본, 백과사전 등으로 확대되어 지금은 대부분의 문헌 유형의 전문 데이터가 대상 범위에 포함...
  • 전문 검색 엔진 全文檢索-, full text retrieval engine
    어떤 정보의 본문 전체 내용을 색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각종 데이터를 신속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이 엔진은 기사 검색 시스템을 비롯해 각종 기술 정보, 문서 정보, 법률, 특허 정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정보량이 늘어나면서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 수집, 관리하는 방법이...
  • 전문 검색 Full-text search, 全文検索
    전문 검색 또는 풀텍스트 검색에 기반한 검색과는 구별한다. 전문 검색에서 검색 엔진은 저장된 모든 문서의 내용을 검사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정한 텍스트를 검색하는 등 검색 기준의 일치를 시도한다. 전문 검색 기법들은 1990년대에 온라인 서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상화되었다. 수많은 웹사이트들과 응용...
    도서 위키백과
  • 대동야승 大東野乘
    기문〉에 이르기까지 모두 59종의 책이 연대순에 따라 실려 있다. 편집체재에 있어서는 〈용재총화〉·〈해동야언〉·〈난중잡록〉 등 수만 자에 달하는 전문(全文)이 모두 실린 것도 있으나, 〈추강냉화〉·〈해동악부〉·〈수문쇄록〉 등과 같이 원문에서 어떤 부분만을 뽑아 실은 것도 있으며, 〈패관잡기〉와 같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맹자요의 孟子要義
    여유당전서 與猶堂全書〉 제2집 5·6권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권두의 서설(序說)과 본문의 주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문 주석은 〈맹자〉의 전문(全文)을 주석한 것이 아니라, 주자의 〈맹자〉 해석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되는 장절(章節)을 취사선택하여 주석하고 있다. 서설은 모두 5절(節)로 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뢴로트 Elias Lönnrot
    부족들 사이를 여행하며 민요뿐 아니라 핀우고르어족에 속하는 발트 제어(諸語)의 상관관계에 관한 증거자료를 수집했다. 그는 자신이 수집한 짧은 시들이 전문(全文)이 남아 있지 않은 연속된 서사시의 부분들이라고 생각하여, 이미 가지고 있던 자료들에다 이 시들을 연결시켜 하나의 통일된 줄거리로 만들었다. 많은...
    출생 :
    1802. 4. 9, 스웨덴령 핀란드 삼마티
    사망 :
    1884. 3. 19, 러시아령 핀란드 삼마티
    국적 :
    핀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동야승 大東野乘
    걸쳐 배출된 유가(儒家)의 작품을 저술시대순으로 선별하여 배열한 야사의 일종이다. 각 편을 살피면 『용재총화』 · 『해동야언』과 같이 상당한 분량의 전문(全文)이 완권 수록된 것도 있으나, 『추강냉화』 · 『소문쇄록』 · 『해동악부』와 같이 발췌, 초록한 것도 있고, 『패관잡기』와 같이 후편의 상당량을...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거영일기 및 계본등록 居營日記 및 啓本謄錄
    상서(上書, 等狀) 1매이다. 교지는 1607년 3월 2일 이운룡이 효충장의선무공신가선대부식성군(效忠仗義宣武功臣嘉善大夫息城君)에 책봉된 고신(告身)으로 전문(全文) 6행 33자이며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찍혀 있다. 유서는 이운룡이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제사로 재임 중 병권을 장악한 일선 지휘관에게 발병시...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출판
  • 김인문 묘비 金仁問 墓碑
    總目)』에서는 “함형 4년에 세웠는데, 경주에 있다.”라고 하였다. 낭선군이 탑본을 수집할 당시 이 비가 경주에 있었으므로 적어도 조선 효종 · 현종 때까지는 남아 있었으나 이미 전문(全文)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파괴되었던 듯하다. 통일신라 초기의 확실한 금석문의 하나로 신라사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춘관지 春官志
    길례(吉禮)·흉례(凶禮)·군례(軍禮)·빈례(賓禮)·가례(嘉禮)의 연혁·내용·법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대외 관계, 특히 일본과의 교린에 관한 의례 절차·외교 문서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1976년 법제처에서 원문 영인과 더불어 전문(全文)을 번역해 ≪법제자료≫ 85·86집의 상·하권으로 간행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맹휴(李孟休)
    창작/발표시기 :
    1744년
    성격 :
    등록, 예조등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3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죽창한화 죽천만록(竹泉漫錄), 竹窓閑話
    생각되지 않는 민간의 소설류를 첨부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야승(野乘)』(제5책)에 있는 「이죽천덕형한설(李竹泉德泂閑說)」에도 『송도기이』 전문(全文)과 『죽천한설』에 들어가야 할 기사 3개항이 더 들어가 있다. 이 책의 기록들은 단번에 이루어졌다기보다는 붓 가는 대로 다년간에 걸쳐 씌어진 것임을 알 수...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이덕형(李德泂)
    성격 :
    만록집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구비문학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