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도사 傳道師
    목사와 함께 교회에서 일하는 개신교의 교직자.|성서적 의미로는 '복음을 전하는 자'를 총칭하지만, 교회에서는 목사를 도와 일하는 목사 안수를 받기 이전의 교역자를 뜻한다. 한국에서는 각 교파마다 전도사에 관한 규정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감리교의 경우 1930년 남북 감리교의 통합 이후 전도사와 본처전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전도사 강도사(講道師), 傳道師
    전도사는 목사를 도와 교회 행정·예배·심방·전도를 하는 개신교의 교직자이다. 해방 전에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며 한국 선교 초기인 개화기에는 실질적인 교회의 건설자이자 개화 사상의 전파자로서 영향을 미쳤다. 현재에도 교회 안팎의 여러 문제들을 맡아 처리하는 광범위한 기능을 행사하고 있다.|내용 광...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전도사 伝道者
    기독교 전도사(evangelist)는 해당 종교의 가르침과 교리를 전하는 전문적인 종교인을 의미한다. 주로 기독교 가운데 개신교에서 사용한다. 전도사는 대체로 기독교 중에서도 개신교회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비슷한 의미로 선교사가 있다. 전도사는 출신 지역에서 기독교를 알리는 종교인을 의미하고, 선교사는 출신 ...
    도서 위키백과
  • 스키타이, 동서양 교류의 전도사 사라진 고대 문명 미스터리
    스키타이에 대해서는 헤로도토스가 많은 자료를 남겨놓아 원칙적으로는 많은 사람이 알고 있었지만 그들이 남겨놓은 기록이 없으므로 수수께끼의 민족으로 남아있었다. 유목민들이 대부분 기록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동서양을 이동하면서 활약하던 스키타이가 왜 기록을 남기지 않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 드라마는 욕망의 전도사
    멜로드라마가 눈물을 핵심 코드로 삼았지만, 비극적 정조만 양산해낸 것은 아니다. 시대 상황 때문에 꿈과 낭만이 거세되었다고는 하지만, 한국인이 '욕망'마저 버린 것은 아니었다. 아니 오히려 비참한 상황이었기에 본능적 욕망이 더 끓어올랐는지를 모르는 일이다. 실제 1950년대는 국가적으로 아주 강렬한 욕망이...
  • 전도부인 여전도인, 傳道夫人
    전도부인의 초기 사역은 여선교사들의 사업을 돕는 경우가 많았으나 점차 사역의 범위가 확대되어 갔다. 전도부인은 여전도인, 여조사(助事), 여전도사, 부인전도사 등으로도 불렸다. 선교 초기에는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미비한 상황에서 선교사가 한글을 깨친 여성들에게 개별적으로 성경과 단순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문준경전도사 순교기념관
    문준경 전도사(1891~1950)는 많은 어려움과 외면 속에서도 묵묵히 행한 박애와 헌신의 전도로 섬마을 전도자이자 어머니로 불리게 된다. 돛단배를 타고 이 섬, 저 섬을 다니며 삶을 통해서 복음을 전파하고, 섬사람들을 도우며 사랑과 헌신을 다했던 그녀의 영향으로 신안에 많은 교회가 세워지게 되었다. 이후 6·25...
    위치 :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문준경길 234
  • 바르나바 Saint Barnabas
    헬레니즘계 유대인으로서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 직후에 예루살렘 교회 신자가 되었으며 자기 재산을 팔아 교회에 헌납했다(사도 4:36~37). 안티오크 교회를 세운 키프로스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사도 11:19~20) 이 교회에서 설교했다. 타르수스에서 바울로를 불러와 동역자로 삼고(사도 11:25) 함께 선교활동(사도...
    출생 :
    ?, 키프로스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모리슨 마리쉰, Robert Morrison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에서 중국에 파견한 최초의 선교사이다. 모리슨은 중국 개신교 선교의 아버지로 여겨지고 있는데, 신학과 중국어를 공부한 뒤 1807년에 목사 안수를 받고 곧바로 선교회에 의해 광저우로 파송되었다. 1809년 동인도회사의 통역관이 되어 죽을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중국에서...
    출생 :
    1782. 1. 5, 잉글랜드 노섬벌랜드 불러즈그린
    사망 :
    1834. 8. 1, 중국 광저우[廣州]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죽음학 Thanatology
    자기 통제력과 의사결정 능력이 제대로 작동할 때, 미리 앞서 죽음에 대비하는 능동적 자세야말로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하는 첩경이 될 것이다.” 죽음학 전도사들은 죽음학이 환자의 품위 있는 마무리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가족에게도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도록 안내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능동적...
  • 복음전도사 Der Evangelimann
    《복음전도사》(Der Evangelimann) Op.45는 빌헬름 킨츨이 작곡한 2막의 오페라이다. 1895년 5월 4일에 베를린의 노이에스 쾨니힐리헤스 오페른하우스(신왕립오페라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 대본은 작곡자 자신이 썼다. 레오폴드 플로리안 마이스너(Leopold Florian Meissner)의 단편 '어느 경찰서장의 기록에서(Aus den...
    도서 위키백과
  • 문준경전도사 순교지
    문화재 정보 문준경 전도사 순교지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에 있다. 2009년 12월 16일 신안군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다. 한국 개신교 최초의 여성 순교자이며 섬선교의 어머니라 불리는 문준경 전도사가 순교한 곳이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전도사(傳道師)
이슬람 전도사
강만조의 전도사 활동 보도(『조선중앙일보』 1933.12.2)
『텬로력뎡』 중 제1면 ‘크리스천이 복음전도사의 계도(啓導)를 받다’, 김준근 그림, 게일 번역,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