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전기토지제도사연구 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토지지배권이 크게 약화되어갔고, 16세기 중엽에는 결국 소멸하게 되는 등 토지지배 관계가 개별소유권 중심의 것으로 이행하여갔음을 밝혔다. 제3장 <조선 전기의 소농민경영의 추이>에서는 토지생산력의 상대적인 발전으로 토지의 사적 소유권이 크게 성장해감과 더불어 양민자영농(良民自營農)을 주축으로 한...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태영(金泰永)
- 창작/발표시기 :
- 1983년(간행)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지식산업사(1983)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朝鮮前期社會經濟硏究있다. 그리고 양반·중인(中人)·상인(常人)·천인(賤人)으로 신분이 나누어진 가운데 양반이 지배 신분층을 이루게 되는 것은 조선 후기의 상황이며, 조선 전기인 15, 16세기에는 특정한 소수 지배 신분층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2부에서 조선 초기의 사회 계층과 사회 이동에 대한 시론적 구상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한영우(韓永愚)
- 창작/발표시기 :
- 1983년(간행)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을유문화사(1983)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전기기호사림파연구 朝鮮前期幾湖士林派硏究내용 저자의 학위논문인 <조선전기 기호사림파의 성립과 발전>(1981)에 <조선 중종조 정국공신(靖國功臣)의 성분(性分)과 동향>(1978) 및 <현량과(賢良科) 연구>(1967)라는 두 편의 논문을 합본해 1984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발간한 것이다. 내용은 5장 10절의 본문과 두편의 논문이 첨부된 부록으로 구성되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병휴(李秉烋)
- 창작/발표시기 :
- 1984년(발간)
- 성격 :
- 연구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일조각(1984)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 전기의 문학 朝鮮 前期의 文學[개설] 조선 전기에는 「정과정곡」을 지은 정서(鄭敍)와 같은 작가도 없고, 부산 지역 출신이 지은 작품으로서 잘 알려진 작품도 없다. 그나마 어무적(魚無迹)[생몰년 미상]과 정유길(鄭惟吉)[1515∼1588] 정도가 부산 출신 문인으로서 한국 문학사에 거론되고 있을 뿐이다. 동래 부사나 통신사들이 지은 제영이 압도적...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