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적기 炙器유물설명 산릉제례의 사시속절제四時俗節祭 때 적(炙)이나 병(餠)을 올려놓는 직사각형의 제기이다. 적(炙)은 어육∙채소 따위를 양념하여 대꼬챙이에 꿰어 굽거나 번철에 지진 음식이다. 적기(炙器)는 이러한 적(炙)을 담는 데 사용되는 그릇이다. 일반적으로 대접과 비슷한 형태이며, 적을 물리는 데 사용하는 철적기(...
- 분류 :
- 유물 > 제구
- 크기 :
- 높이: 9.6cm, 세로: 25.7cm, 가로: 18.0cm
- 재질 :
- 놋쇠
-
적기시정조치제도부실화 소지가 있는 금융기관(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금융투자업자, 여전사 등)에 대하여 부실화가 크게 확대되기 전에 적절한 경영개선조치를 취함으로써 조기에 경영을 정상화시키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금융기관은 퇴출시키는 제도이다. 금융위원회는 BIS 자기자본비율이 최저기준(은행 : 8%)에 미달하거나...
-
사과재배, 수확적기 판정사과가 성숙하게 되면 과피의 색, 맛, 향과 관계되는 물질이 합성되어 사과 고유의 품질을 가지게 된다. 사과는 덜 익으면 푸른색을 나타내지만 성숙하는 동안 엽록소 파괴와 동시에 카로티노이드나 안토시아닌의 합성이 일어나 붉게 변하며, 당 함량의 증가로 과육의 단맛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유기산이 감소하여 단맛...
-
성유식론고적기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 成唯識論古迹記개설 10권.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라고도 한다. 이 책은 먼저 가르침의 핵심을 나타내고 다음에 제목에 대한 설명, 끝으로 글의 뜻을 해석하고 있다. 내용 첫째, 가르침의 핵심을 설명하면서 역대의 인물 중 청변(淸辨) 등은 반야공(般若空)을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으로 설파하였고, 호법(護法) 등은 유식을...
- 시대 :
- 고대/남북국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Red flag 적기, Red flag (politics)In politics, a red flag is a symbol of Socialism, Communism, and left-wing politics; it has been associated with left-wing politics since the French Revolution (1789–99).Brink, Jan ten , 1899. Socialists adopted the symbol during the Revolutions of 1848 and it became a symbol of communism as a r...출처 영어 위키백과
-
법화경고적기 法華經古迹記개설 『법화경고적기』를 지은 태현(太賢)은 신라 경덕왕대(742∼764)에 활동한 법상종의 고승이지만 명확한 생몰 연대는 알 수 없다. 그는 52부 120여 권의 많은 저서를 남겼지만, 『법화경』 관련 저술은 『법화경고적기』 4권뿐인데 전하지 않는다. 저자 태현은 경(經) · 율(律) · 론(論) 삼장(三藏)에 대한 저술을...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돼지 인공수정 기술수 있는 정액 동결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장점 • 종돈 개량을 위한 목적, 외국으로부터 우수 종돈의 수입이 어려운 경우, 액상 정액을 적기에 공급받기 어려운 경우 높은 활용가치가 있다.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돼지 액상정액의 경우 수송비가 정액생산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
화엄경고적기 화엄고적(華嚴古迹), 華嚴經古迹記것으로 전해지며 그중에는 ‘고적기(古迹記)’라는 제목이 붙은 저서들이 다수 보인다. 이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5부이다. 현존하고 있는 5부는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2권(卷), 『보살계본종요(菩薩戒本宗要)』 1권, 『약사경고적기(藥師經古迹記)』 2권,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 8권, 『대승기신론내...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