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저작 著作조선시대 홍문관·승문원·교서관의 정8품 관직. 내용 홍문관에 1원, 승문원에 2원, 교서관에 2원을 두었는데 모두 문관으로 임용하였다. 홍문관의 전신인 집현전에 저작랑이 있었고, 승문원 저작은 1415년(태종 15)에 설치되었으며, 교서관저작랑은 1392년(태조 1)에 설치된 교서감저작랑이 1401년에 개칭된 것이다. ...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븐 루슈드 저작의 평가가지고 예언을 심리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분명히 배격했다. 지성에 대한 그의 이론이 완전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이고 유출설과 전혀 무관한 것처럼 그의 저작 속에서 이와 같은 이론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븐 루슈드의 종교·철학적 작품의 개요와 〈국가〉에 대한 주석서에 나타난 통일성은 그...
-
이븐 루슈드의 저작활용했다. 자연과학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문의 주석서에서는 이븐 루슈드의 대단한 관찰력이 엿보인다. 철학에 대한 이븐 루슈드의 옹호 그의 첫 저작은 1162~69년에 쓴 〈의학 Kulliyāt〉(라틴어로는 Colliget)이다. 법률에 관한 저술은 소수가 현존하며 신학에 대한 저술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그의 저술 중...
-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개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은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첫번째 부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발표했지만 지금은 없어진 저작들이고, 2번째 부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발표하지 않았고 발표할 생각도 없었지만 다른 사람이 모으고 편집하여 지금까지 남아 있는 저작들이다. 첫번째 부류에는 그 자신이 '대중용'(exoteric)이...
-
마이모니데스의 저작마이모니데스의 저작은 많고 다양했다. 16세 때 쓴 최초의 작품은 논리학과 형이상학의 여러 전문용어들을 연구한 〈논리학 용어법 Millot ha-Higgayon〉이었다. 초기저작 중에는 〈논리학 용어법〉과 같이 아랍어로 쓴 〈달력에 관한 에세이〉(히브리어 제목은 〈Ma' amarha⁽ibur〉)가 있다. 23세 때 쓰기 시작한 첫...
-
저작재산권자를 찾을 수 없는 저작물의 이용공표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자를 알지 못하거나 그의 행방을 찾을 수 없어 이용허락을 받을 수 없는 때에도 과연 합법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할까?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어도 공표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자를 알지 못하거나 저작재산권자를 알더라도 그의 거소를 찾을 수 없어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
- 분류 :
- 저작물의 이용허락과 양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