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
    수여 단위의 구성원들에게는 3대혁명 명예휘장을 비롯한 각종 포상과 예우가 주어진다. 경제발전 6개년계획(1971~76) 후반에 본격화된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은 정치적으로는 1973년부터 각급 국가기관·공장·기업소·협동농장 및 대학의 젊은 인재들로 3대혁명의 전위대인 3대혁명소조를 조직해 이를 직접 지도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한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국민운동본부, 民主憲法爭取國民運動本部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의 은폐·축소 기도를 폭로하면서 범국민적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5월 27일, 민주화 운동을 하나의 흐름으로 결집시키고자 야당과 재야민주세력이 합심하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를 출범시켰다. 국민운동본부는 6월 민주항쟁을 성공적으로 주도하면서 한국사회의 민주화에 큰 공헌을 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설립 :
    1987년 5월 27일
    성격 :
    사회운동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무솔리니 Benito (Amilcare Andrea) Mussolini
    우리의 가슴 속에서는 한 가지 외침이 터져 나온다. 이탈리아 만세!" 파시즘의 탄생을 알리는 첫닭이 울고 베니토 무솔리니는 전장으로 달려나갔다. 권력쟁취 베르살리에리(Bersaglieri:저격대)에 복무하던 중 부상을 입은 무솔리니는 확고한 반사회주의자이자 운명론자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일찍이 1918년 2...
    출생 :
    1883년 7월 29일, 이탈리아 프레다피오
    사망 :
    1945년 4월 28일, 동고 근처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 民主憲法爭取國民運動 釜山本部
    [설립 목적]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 부산본부는 1987년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5공 정권의 실정과 체육관 선거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를 조직하여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하고 민주화를 앞당기기 위해 시민 사회단체, 종교, 학생, 노동계, 야당 등 모든 민주 세력이 총결집하여 조직하였다. [변천] 서울에서 국민운동을...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빵의 쟁취 The Conquest of Bread, パンの略取
    처음에는 무정부주의 저널 Le Révolté에 일련의 기사로 게재되었다. 그것은 제목도 제안한 Élisée Reclus 의 서문과 함께 파리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1892년과 1894년 사이에 런던 저널인 Freedom에 부분적으로 연재되었으며, 그 중 크로폿킨은 공동 창립자였다. 이 작업에서 크로폿킨은 봉건제와 자본주의 의 경제...
    도서 위키백과
  •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民主憲法争取国民運動本部, 民主宪法争取国民运动本部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民主憲法爭取國民運動本部)는 1987년 5월 27일, 민통련과 당시 야당인 통일민주당이 주축이 되어 각 사회운동 세력과 종교계, 학생운동 조직 등이 광범위하게 연합하여 결성한 정치-사회단체였다. 국민운동본부 또는 국본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건국 이후 최대 규모의 반독재 연합전선을...
    도서 위키백과
  • 민족통일민주쟁취민중해방투쟁위원회
    민족통일민주쟁취민중해방투쟁위원회(民族統一民主爭取民衆解放鬪爭委員會), 약칭 삼민투(三民鬪)는 전국학생총연합(전학련) 산하의 학생운동 조직이었다. 설립 당시 위원장은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허인회였다. 1985년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 농성 사건을 주도하였다. 미문화원 사건 진압 과정에서 제5공화국의 전두환...
    도서 위키백과
  •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 三大革命赤旗獲得運動, 三大革命紅旗獲得運動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三大革命붉은旗爭取運動)은 1973년부터 1974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전개된 대중 운동이다. 당시 조선로동당 비서로 있던 김정일이 제창했으며 3대 혁명은 기술 혁명, 사상 혁명, 문화 혁명을 가리킨다. 최종적으로는 사상 문화의 '혁명'을 통해 사람을 개조하고 기술 '혁명'을 통해...
    도서 위키백과
  • 직선제개헌 直選制改憲
    직선제 개헌을 중시한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이나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의 개헌론 및 노동운동세력의 일부가 제시한 ‘삼민헌법쟁취투쟁론’까지 민주화운동세력 내부에서도 개헌에 대한 입장들의 스펙트럼과 정치적 차이는 컸다. 신민당이 제기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론에 대해 ‘민추협’, ‘민주...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전학련, 民主守護全國靑年學生聯盟
    尹在杰)을 중심으로 한 그룹은 서울대의 심재권, 이신범이 주도하는 흐름에 반발하면서 1971년 5월 20일 9개 대학 학생들을 모아 ‘범대학 민권쟁취청년단(약칭 민권쟁취청년단)’을 조직하였다. 교련반대, 국회의원 선거 보이콧을 주장하는 민주수호전학련과 달리 범대학 민권쟁취청년단은 교련강화반대, 국회의원 선거...
    시대 :
    현대
    설립 :
    1971년 4월 14일
    성격 :
    학생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71년 6월 12일
    분야 :
    역사/현대사
  • 6월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 六月民主化運動
    일어났던 반독재 민주화 운동. 6월 민주항쟁, 6·10 민주항쟁, 6월 민중항쟁 등으로 불린다. 6월 10일 '박종철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및 민주헌법쟁취 범국민대회'로부터 6월 29일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통령후보의 '6·29특별선언'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에서 약 400~500만 명이 참여했다. 이 결과 대통령 직선제...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 聯盟, Korean Confederation of..
    존엄성과 평등이 보장되는 민주사회의 건설, 노동자의 정치세력화 실현과 제민주세력과의 연대 강화, 언론·출판·집회·결사·시위·사상의 자유 등의 권리 쟁취, 민족의 자주성의 확립과 조국의 평화적 통일 실현, 산별 노동조합의 건설, 전체 노동조합운동의 통일 등이 있다. 또한 권력과 자본의 탄압으로부터의 탈피...
    설립 :
    1995년 11월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사이트 :
    http://www.nodong.org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웨민쥔 〈쓰레기 처리장〉(왼쪽)과 〈민중이 쟁취한 자유〉(오른쪽) 관람 모습
삶의 자리, 투쟁의 자리 - 영구임대주택 쟁취를 위하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