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대나물 Arabis glabra
    십자화과에 속하는 이년생초. 러시아와 북아메리카, 중국 등이 원산지이고, 풀밭에 서식한다. 크기는 70cm 정도이다. 첫해에는 잎만 나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흰색으로 핀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다.|개요 쌍떡잎식물강 십자화목 십자화과 장대나물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Arabi...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십자화목 > 십자화과 > 장대나물속
    원산지 :
    유럽 (러시아), 북아메리카, 아시아 (중국,대한민국,아르메니아), 오세아니아 (호주)
    서식지 :
    풀밭
    크기 :
    약 70cm
    학명 :
    Arabis glabra Bernh.
  • 장대나물 장대
    장대처럼 곧게 자라는 장대나물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물 빠짐이 좋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약 70㎝ 정도로 장대처럼 곧게 자란다고 해서 장대라는 이름이 붙었다. 장대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들이 꽤 있는데, 특히 노인장대는 학교 등지에서도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품종이다. 밑부분의 잎은 뿌리에서 생...
    분류 :
    십자화과
    서식지 :
    물 빠짐이 좋은 양지
    꽃색 :
    백색
    크기 :
    키는 약 70㎝ 정도
    학명 :
    Arabis glabra Bernh.
    용도 :
    어린잎은 식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호주 등지
    생활사 :
    두해살이풀
    개화기 :
    4~6월
    결실기 :
    8~9월경
  • 장대
    장대는 다음을 가리킨다. 장대(長―)는 긴 막대기이다. 장대높이뛰기는 신축성이 강한 장대로 가로대를 넘는 육상 종목이다. 장대(將臺)는 성곽의 건축물이다. 장대는 쏨뱅이목 양태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양태 장대, bartail flathead
    형태 D Ⅰ-Ⅵ-Ⅰ-13; A 13; P1 18; P2 Ⅰ, 5 몸은 길고 종편되었으며, 배는 편평하여 몸의 단면은 낮은 삼각형을 이룬다. 눈은 머리의 등 쪽에 있으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다. 전새개골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측선공비늘 수는 62~69개, 새파 수는 3~4+7~9=10~13개이다. 등은 연한 갈색 바탕에 진한 흑갈색 점들이 흩...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양태과(Platycephalidae)
    학명 :
    Platycephalus indicus (Linnaeus)
    북한명칭 :
    장대
    분포지역 :
    서해안과 남해안, 일본 중부 이남, 타이완,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양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달강어 화어, redwing searobin
    형태 D Ⅷ~Ⅸ-16~17; A 16~17; P1 3+10~11 몸은 원통형으로 길고 머리 부분은 크며 뒤로 갈수록 작아진다. 주둥이의 양 끝은 돌출되었고 가시는 짧다. 측선비늘 수는 64~68개, 새파 수는 1+9~10개, 척추골 수는 22~34개이다. 몸의 상반부는 붉은색이고 배는 약간 노란색을 띤 흰색이다. 가슴지느러미 안쪽은 등적색이...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성대과(Triglidae)
    학명 :
    Lepidotrigla microptera Günther
    북한명칭 :
    달재
    분포지역 :
    서해 남부(전북 위도)와 평북 일대, 일본 홋카이도 남부, 남중국해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장대높이뛰기 봉고도, pole vault
    도구를 사용하는 유일한 육상 도약 경기로서 도움닫기를 통해 속력을 붙인 다음, 폴을 바닥에 꽂아 그 탄성을 이용하여 높이 도약하는 경기이다. 예부터 장대는 시냇물이나 담장 등의 장애물을 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고대에도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으나 근대에 들어와서는 1812년 영국 육상...
    올림픽 경기 종목 :
    Y
  • 외줄타기를 할 때 왜 장대를 들고 있나요?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우리나라 남사당패에서 외줄타기를 할 때는 나이아가라 폭포에 걸친 외줄보다 더 가느다란 줄을 타면서도 장대보다 길이가 훨씬 짧은 부채를 가지고 줄을 건너요. 그러니까 우리나라 남사당패가 진정한 외줄타기의 고수라고 할 수 있겠지요? 동물은 어떻게 몸의 균형을...
    분야 :
    운동과 에너지
    교과단원 :
    초등 4학년 1학기 〈무게재기〉, 초등 6학년 2학기 〈에너지와 도구〉
  • 장대높이뛰기 pole vault
    있는 물질로 된 최소 5m 이상의 매트를 마련해야 한다(→ 올림픽 대회). 선수에게는 타이밍, 스피드, 체조 능력을 고도로 조화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현대의 장대높이뛰기 선수는 폴을 들고 30~45m의 거리를 달리고 대단히 빠른 속도로 이륙을 준비한다. 도약을 위한 질주가 끝나면 선수는 이륙을 한다. 이때 선수는...
  • 잡초가 멘델의 법칙을 뒤흔들었다구? - 애기장대의 수수께끼
    유전학은 이렇게 커다란 동물보다는 보잘 것 없는 생물들의 희생(?)으로 발전하였다. 그 대표선수는 완두콩, 초파리와 대장균 그리고 애기장대 등이다. 이 가운데 ‘애기장대’가 우리에게 낯선 까닭은 초중고 교과서에서 본 적이 없기 때문이리라. 애기장대는 무, 배추, 브로콜리, 유채와 함께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
  • 노란장대 노랑장대, Yellow-flower hedgemustard
    암술머리는 2갈래다. 열매는 장각과, 선형, 길이 8-10cm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이용 식용 해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굽은노란장대(S. hetromallum C. A. Mey.)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높이 30-80cm이며, 꽃잎은 길이 3-6mm로서 작으므로 다르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풍접초목 > 십자화과 > 노란장대속
    서식지 :
    산기슭
    학명 :
    Sisymbrium luteum (Maxim) O. E. Schulz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러시아, 일본, 중국
  • 장대장타령 張大將打令
    내용 조선 말기에 박춘재(朴春載)가 「장대장타령」으로 이름을 떨쳤고, 원각사(圓覺社)를 비롯한 극장공연을 많이 하였으나, 지금은 연행되는 일이 없고 아는 이도 극히 드물다. 「장대장타령」은 소리꾼 하나가 재담을 길게 하고 간단히 소리를 집어넣으면 다른 소리꾼 하나가 재담을 받아준다. 박춘재가 공연할 때...
    시대 :
    근대/개항기
    성격 :
    국악성악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노란장대 rocket
    가까이에 꼬투리처럼 생긴 열매가 달리는데, 지금은 북아메리카에서도 자라고 있다. 다른 속 식물인 바르바레아 불가리스도 로켓(rocket)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에는 노란장대 1종만이 제주도 및 외연도를 비롯한 전국에서 자라고 있다. 노란색 꽃이 6월에 피는 다년생초로 열매는 매우 길며 긴 타원형의 씨가 들어...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양귀비목 > 십자화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산과 들의 양지
    크기 :
    약 70cm ~ 1.2m
    학명 :
    Sisymbrium luteum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건

장대나물
장대나물
장대나물
장대나물
장대나물
장대나물
장대나물
노란장대
장대여뀌
장대나물
장대나물
장대여뀌
장대나물
노란장대
주걱장대
장대나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