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웰링턴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 Arthur Wellesley, 1st duke..
    정부에 가담했고, 나중에는 총리로서 헌법 개정 압력에 저항했다. 그러나 그릇된 자존심 때문에 전쟁터에서나 의회에서 물러서지 않고 버티는 일은 없었으며...으로 추앙받았다. 이에 대한 반발은 그가 죽은 뒤에 일어났다. 그는 우유부단한 장군으로 평가되었고, 한때는 19세기의 영국 총리 가운데 가장 무능한 인물...
    출생 :
    1769년 5월 1일, 아일랜드 더블린
    사망 :
    1852년 9월 14일, 잉글랜드 켄트 월머 성
    국적 :
    영국
    직업 :
    군인, 정치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분청사기상감모란당초문장군 粉靑沙器象嵌牡丹唐草文장군
    대칭으로 배치하였다. 특징 도자기의 모란문은 조선 전기 분청사기뿐 아니라 상감백자에도 자주 시문되며, 부귀영화라는 모란 본래의 상징의미 전달과 함께 그릇의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문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장군의 문양은 전체적으로 문양대의 구획이 분명하고 좌우가 대칭되게 문양을 시문하여 기형과의 조화...
    시대 :
    조선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400호
    성격 :
    분청사기
    유형 :
    유물
    크기 :
    높이 20.2㎝, 입지름 6.9㎝, 밑지름 19.3㎝
    제작시기 :
    조선 전기, 15세기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이순신 여해, 李舜臣
    이순신 장군만을 떠올린다. 대체 그 까닭은 무엇일까? “내가 제일로 두려워하는 사람은 이순신이며, 가장 미운 사람도 이순신이고, 가장 좋아하는 사람도 이순신이며, 가장 흠모하고 숭상하는 사람도 이순신이다. 가장 죽이고 싶은 사람도 이순신이고, 가장 차를 함께 마시고 싶은 사람도 이순신이다.” 임진왜란 당시...
    시호 :
    충무공(忠武公)
    자 :
    여해(汝諧)
  • 장군 洪將軍傳
    장군전」에 실린 내용 대부분은 실제의 역사적 사실과 상당한 차이를 둔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세종 조에 충청도 회인 지방에 사는 홍 처사는 두 아들, 홍대성과 홍윤성을 남기고 운명한다. 아버지가 죽자, 홍대성은 설패두의 데릴사위가 된다. 이 집에 얹혀살던 홍윤성은 회인현에 출몰한 도적을 잡기...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분청사기인화문장군 粉靑沙器印花文장군
    개를 새긴 집단연권인화기법(集團連圈印花技法)으로의 변화이다. 그 결과 분청사기는 밀집도가 높은 치밀한 인화문으로 정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릇의 표면 색상은 전체적으로 흰빛을 띠게 되었다. 2004년 보물로 지정된 분청사기인화문장군은 이러한 분청사기의 시대적인 제작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시대 :
    조선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423호
    성격 :
    분청사기
    유형 :
    유물
    크기 :
    높이17.2cm, 구경4.3cm, 저경10.3×9.0cm
    재질 :
    도자기
    제작시기 :
    15세기
    분야 :
    예술·체육/공예
    소장/전승 :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 계백 백제의 마지막 구국혼을 불사르다
    왕의 그릇됨을 지적하며 그만둘 것을 간언하자 그를 옥에 가두었다. 결국 성충은 옥에서 굶어 죽고 말았다. 성충은 죽기 직전 다음과 같이 유언을 남겼다. 충신(忠臣)은 죽더라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한 말씀 올리고 죽고자 합니다. 신이 항상 시세의 변천을 살펴보건대, 반드시 전쟁이 있을 것입니다. 무릇 용병...
    시대 :
    백제
    출생 :
    미상
    사망 :
    660년(의자왕 20)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분청사기 철화 당초문 장군 粉靑沙器 鐵畵 唐草文 獐本▽
    8.8×10.6cm. 호림박물관 소장. 타원형의 둥근 몸통에 주둥이와 굽이 달리고, 동체를 귀얄로 백토 분장하고 간략한 당초무늬를 철화안료로 그린 장군이다. 내용 둥근 장군 몸통에는 귀얄로 백토 분장하였으나 정교함이 덜하며 무늬에 있어서도 구획선 없이 생략적이고 추상적인 간략한 당초무늬만을 그렸다. 긴 몸통의...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粉靑沙器 剝地牡丹文 獐本▽
    개설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1.6㎝, 입지름 5.3㎝, 밑지름 15.3㎝, 길이 34.5㎝.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타원 모양의 몸통의 상부 중앙에 주둥이를 두었다. 옆면의 한쪽은 평행하게 그은 선으로 이루어진 국화꽃 한 송이를 새겨서 마무리하였다. 다른 한쪽은 편평하게 하여 굽처럼 이 부분이 밑으로 가게...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장군
    좁은 아가리를 붙였다. 오지로 만든 작은 것에는 물이나 술 따위를 넣으나 큰 것에는 오줌을 담아 지게로 운반한다. 이를 오줌장군·오줌추마리(경상남도 창녕)·소매장군(전라남도 보성)·장군(전라남도 보성·구례, 강원도 강릉) 등으로 부른다. 장군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큰 것은 지름 30㎝, 길이 60㎝ 정도로서...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용도 :
    식기
    분야 :
    생활/식생활
  •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粉靑沙器 鐵畵唐草紋 장군)은 산화철로 덩굴무늬를 그려 넣은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장군물같이 흐르는 물질을 담아 옮기는 그릇장군이라 한다.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062호이다. 옆으로 길쭉한 몸체에 위쪽으로 입 부분과 아래쪽으로 타원형의 굽이 달려 있다. 전면을 백토로 분장한 후...
    도서 위키백과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토기 장군(1) 釜山廣域市立博物館 所藏 土器 장군(一)
    1)은 몸통에 사격자 타날문이 남아 있어 백제 지역 토기 장군과의 유사점도 지적되나, 색조와 느낌에서 조금 차이가 난다. 출토지는 알 수 없지만 백제 토기의...장군은 물·술·간장 등을 담아 옮길 때 쓰는 오지 또는 나무로 만든 그릇으로 중두리를 뉘어 놓은 것 같은 모양으로 한쪽 바닥 마구리는 평평하고 한쪽은...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토기 장군(2) 釜山廣域市立博物館 所藏 土器 장군(二)
    모양의 몸통을 만든다. 몸통을 완성한 후 몸통을 옆으로 놓고 예새[흙으로 그릇 모양을 만들어 매끈하게 다듬을 때 쓰는 나무칼]로 중앙부에 적당한 크기의 구멍...아가리를 만들어서 완성한다. [특징]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토기 장군(2)은 6세기 삼국 시대의 제품이지만, 어느 지역에서 생산되었는지는 구체적...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