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내기모심기 노래>의 일부이다. “어라디야 저라디야 상사로세/이 농사를 어서 지어/나라 봉양을 허고 보세/어라디야 저라디야 상사로세/이 배미 저 배미 다 심었으니/장구 배미로 넘어가세/어라디야 저라디야 상사로세.” 모를 심는 일은 매우 힘들 뿐 아니라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하므로 아침·아침곁두리·점심·점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강진들노래 강진 신전들노래, 康津들노래먼뒤요 어기여차 먼뒤요 어울러 보세 어울러 보세 모찌기를 어울러 보세 먼데 사람은 듣기가 좋고 곁에 계원은 하시기 좋게 이 논배미를 다를 찌면 장구배미로 가서 심세 <모심는소리> (후렴) 에헤 에헤에루 상사뒤요 떠들어 온다 떠들어 오네 점심 바구리가 떠들어 오네 일락 서산에 해는 지고 월출 동녘에 달 솟아오니...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초벌매는 소리 아시매는소리서마지기 논배미 매다를 보니 반달만큼이 남어들고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승달이 반달이지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농부소리가 흥이 나니 장구배미를 빨리 매고 닷마지기 배미루 넘어서게 빨리 매구서 나가보세 막걸리참이 돌아오니 얼씨구 좋구나 지화자 좋네 (1993 / 경기도 안성군 안성읍 석정리 / 김기복 외...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시절윷놀이백석지기 천석난다/벼농사를 이렇게 지어/누구하고 먹자느냐/늙은 부모 봉양하고/집안 식솔 배불리고/사람노롯 하자꾸나/이 논배미 얼른 심고/장구배미로 넘어가세.” 장구 장단에 어울리는 이 가락에 구경꾼들도 흥에 겨워 어깨춤을 춘다. 가을걷이와 마당질로 넘어가서 낫으로 베고, 도리깨로 떠는 동작을 베풀고...
- 성격 :
- 민속놀이
- 유형 :
- 놀이
- 놀이시기 :
- 정월 대보름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소장/전승 :
- 황해도 장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