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잡찬 잡판(迊判), 迊飡
    내용 일명 잡판(迊判)·소판(蘇判)이라 하였다. 17등 관계 중의 제3등 관계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유리이사금 때 제정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520년(법흥왕 7)의 율령(律令) 공포 때에 제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진골(眞骨)만이 받을 수 있는 관등으로, 공복(公服)의 빛깔은 자색(紫色)이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관등(官等)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잡찬 迊飡
    잡판·소판이라고도 한다. 17관등 가운데 3등급으로, 〈삼국사기〉에는 32년(유리이사금 9)에 설치되었다고 하나 520년(법흥왕 7) 율령공포 때 설치된 듯하다. 진골만이 받을 수 있는 관등으로, 공복의 색깔은 자색이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잡찬
    다른 뜻 넘어옴 잡찬(迊湌)은 신라 시대 17관등에서 3등으로 파진찬의 위이며 소판(蘇判),잡판(迊判),잡간(迊干)이라고도 한다. 진골(眞骨)만이 받을 수 있는 관등으로, 공복(公服)의 빛깔은 자색(紫色)이었다. 김위문의 할아버지이며,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추봉되었다. 김의관의 증조(曾祖) 마질차라고도 한다. 신라...
    도서 위키백과
  • 김헌창의 난 金憲昌의 亂
    양대 세력으로 신라 전체가 양분되었기 때문에 전국적인 대규모의 내란이 되었다. 중앙 정부는 난이 일어나자 우선 원장(員將) 8명을 보내 왕도(王都)의 8방을 수비하게 하였다. 그 다음 반란군의 진압을 위해 계속 군대를 출동시켰는데, 일길찬(一吉飡) 장웅(張雄)이 선발대로 가고 잡찬(迊湌) 위공(衛恭)과 파진찬...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고대사
  • 비서 非西
    내용 관등은 잡찬(迊飡). 551년(진흥왕 12)에 대각간 거칠부(居柒夫)·구진(仇珍), 각간 비태(比台), 잡찬 탐지(耽知), 파진찬 노부(奴夫)·서력부(西力夫), 대아찬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철령 이남에서 죽령 이북에 소재한 한강 상류지역의 10군(郡)을 공취하는 공을...
    시대 :
    고대/삼국/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거칠부 김황종, 居柒夫
    국정을 총괄하기도 했다. 거칠부는 어려서부터 큰 뜻을 품고 승려가 되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견문을 넓혔다. 이때 고구려에 몰래 들어가 혜량(惠亮)의 강론과 설법을 듣고 큰 감명을 받았다. 545년(진흥왕 6) 왕명을 받아 〈국사 國史〉를 편찬했다. 551년 대각간 구진, 각간 비태, 잡찬 탐지·비서, 파진찬 노부...
    출생 :
    미상
    사망 :
    579(진지왕 4)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흠운 김흠운(金欽運), 金歆運
    개설 ‘김흠운(金欽運)’으로 쓰기도 한다. 내물마립간의 8대손으로, 아버지는 잡찬(迊飡) 달복(達福)이다. 태종무열왕의 사위이며, 신문왕의 장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는 화랑 문노(文努)의 낭도로서 수행하였으며, 명예와 기개를 중시하였다. 655년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에 북쪽 변방 33성을 빼앗기자 낭당대...
    시대 :
    고대/삼국/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655년
    경력 :
    낭당대감
    유형 :
    인물
    직업 :
    군인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거칠부 황종(荒宗), 居柒夫
    문사(文士)를 모아 『국사』를 편찬하였다. 이로써 국가의 위신을 높였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대아찬(大阿湌)에서 파진찬(波珍湌)으로 승진하였다. 또한 거칠부는 특히 군사 · 정치적인 분야에서 활동이 컸다. 551년에 대각간(大角干) 구진(仇珍), 각간(角干) 비태(比台), 잡찬(迊湌) 탐지(耽知) · 비서(非西...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경위 京位
    제1등 이벌찬부터 이찬·잡찬·파진찬·대아찬·아찬·일길찬·사찬·급찬·대나마·나마·대사·사지·길사·대오·소오·조위의 17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6부 출신의 지배층들은 그 완고한 폐쇄성으로 인하여 주변 소국들을 통합해나가는 과정에서 현지에 남은 수장층들을 외위라는 별도의 관등제를 신설하여 편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김흠운 金歆運
    김흠운(金欽運)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내물마립간의 7대손인 잡찬 달복이다. 화랑 문노의 낭도로 있을 때 태종무열왕의 사위가 되었다. 655년 고구려와 백제의 연합군에게 북부 33성을 빼앗기자, 낭당대감으로 출전하여 양산(지금의 충북 영동) 밑에 진을 치고 조천성(지금의 비봉산성)을 공략하다가 백제군의 습격을...
    출생 :
    미상
    사망 :
    655(태종무열왕 2)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이방부 理方府
    문무왕 7)에 설치한 우이방부로 나누어져 있었다. 처음에는 이방부라고만 부르다가 뒤에 따로 이방부를 설치하면서 좌이방부·우이방부로 나누어 부른 듯하다. 692년(효소왕 1) 관청의 이름이 왕의 이름인 이홍과 같아 의방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관원으로 좌이방부에는 영(급찬~잡찬) 2명, 경은 2명이 있었으나 67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문훈 文訓
    내용 신라는 668년(문무왕 8) 나당연합군을 편성하여 고구려를 원정하였는데, 그는 잡찬(迊飡)으로서 귀당총관(貴幢摠管)에 임명되어 출전, 많은 전과를 올렸다. 백제·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신라는 삼국통일을 완수하기 위하여 당나라와의 전쟁을 수행해야 하였다. 675년 당나라는 숙위학생(宿衛學生) 김풍훈(金風訓)의...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귀당총관(貴幢摠管)
    유형 :
    인물
    직업 :
    장수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