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도리형식 민도리形式기둥 상부가 바로 보를 받도록 한 구조로 주택을 비롯하여 격식이 낮은 건물에 사용된 가장 간단한 형식의 건축 유형에 속한다. 민도리집은 다시 굴도리집과 납도리집으로 세분한다. 굴도리집은 둥근 단면의 도리를 사용한 것으로 도리 아래에는 장혀라 부르는 장방형 단면의 부재를 사용한다. 즉 굴도리집 구조는 기둥...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안동 하회 충효당 安東 河回 忠孝堂이 충효당의 구조는 보수 때의 개작으로 보이는 견치석쌓기에 장대석으로 마무리한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기둥 위에는 주두없이 납도리를 받치고 기둥 사이의 창방 위에 소로를 두어 납도리의 장여를 받친 민도리소로수장집이다. 가구는 오량이며 홑처마에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사랑방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경주 양동마을 두곡고택 慶州 良洞마을 杜谷古宅방앗간채가 있고, 그 옆에는 광 2칸과 방 1칸으로 구성된 광채가 있다. 대문간채의 구조는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방주(方柱)를 세워 납도리로 결구한 삼량집이다. 사랑채도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웠는데, 대청 정면 중앙에만 두리기둥을 세웠다. 가구(架構)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대흥사 용화당 大興寺 龍華堂주초이다.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으나 좌측에서 6번째 기둥만이 네모기둥으로 되어 있으며, 두리기둥에는 배흘림을 두었다. 전면 처마도리는 각을 죽인 납도리인데 받침장여를 대고 덧장여로 받쳤으며, 소로[小累]를 끼워 창방을 보냈다. 종도리도 역시 각을 죽인 납도리로 장여만 받쳤으며 동자주(童子柱) 대공으로...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고택 이향정, 慶州 良洞마을 二香亭古宅최근에는 아래채의 디딜방아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사랑채의 구조는 낮은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방주(方柱: 네모기둥)를 세워 납도리로 결구하였으며, 기둥머리에는 첨차를 놓고 소로를 놓아 납도리 밑의 장여를 받치고 있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맞배지붕이다. 안채도 또한 막돌허튼층쌓기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달성 삼가헌 고택 達城 三可軒 古宅가운데는 인공산(人工山)이 있다. 사랑채의 구조는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전면에 5개의 두리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워 납도리로 결구한 민도리 소로수장집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가구(架構)는 5량이며 팔작기와지붕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막돌허튼층쌓기의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안동 하회마을 염행당 고택 하회마을 염행당 고택, 安東 河回마을 念行堂 古宅별당채의 목가구는 자연석 주초(柱礎)에 사각기둥을 세웠는데, 정면의 양 모서리 기둥만 원기둥이다. 기둥 상부는 보아지를 끼운 후에 보, 장여, 굴도리를 납도리 방식으로 결구하였다. 가구(架構)는 3량(三樑)이고, 지붕은 한식 기와를 올린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로 안채의 동측 후면...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
-
창녕 석리 성씨고가化)하여 평면상으로 겹집을 연상하게 한다. 평면은 좌측부터 부엌 1칸, 안방 1칸, 대청 2칸, 건너방 1칸, 마루와 화장실 1칸이 연접된 형태이다. 건축양식은 납도리 밑에 장혀로 수장한 장혀수장집이다. 상부가구는 5량가에 처마는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1.5칸 규모이며, 건축형식은 안채와 마...
- 위치 :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석동1길 11
- 문화재 지정 :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5호(2004. 7. 1 지정)
-
보성 이준회 고택 寶城 李駿會 古宅앞퇴에는 툇마루가 놓였다. 맨 동쪽 아랫칸은 나중에 덧달아내서 상하 아랫방을 두었다. 작은방 앞은 토방이며 아궁이만 축조되어 있다. 구조는 2고주5량이고 납도리인데 전면 처마도리와 종도리에만 장여를 치며 단이(보아지) 역시 전면 처마도리에만 쓰였다. 퇴보는 활꼴로 구부려서 고주기둥머리에 맞추어졌으며 대공...
- 시대 :
- 근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
연안이씨 별좌공종택 별좌공종택, 延安李氏 別坐公宗宅3칸 측면 1칸의 통간 맨바닥 구조이며, 사주문(四柱門)은 없는 상태다. 안채 대청의 기둥 상부는 내외부의 끝을 초각(草刻)한 보아지를 끼워 보를 받도록 한 납도리 방식으로 짜여 있는데, 이외에 안채와 행랑채의 기둥 상부는 보아지가 없는 납도리 방식으로 짜였다. 사랑채 대청의 원기둥 상부는 이익공(二翼工) 방식...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생활/주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