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익산 목발노래 益山 木발노래기구로, 곡단이나 풀 · 나뭇단 등을 져 나를 때 없어서는 안 될 운반도구이다. 산으로 지게를 지고 나무 하러 가는 나무꾼들이 떼를 지어 일터로 나갈 때, 작대기로 지게 목발을 두드리며 이 민요를 부른다. 이때 무거운 짐을 질 때와 가벼운 짐을 질 때, 그리고 빈 지게로 나갈 때 노래의 박자는 자연 달라지게 마련...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공주 선학리 지게놀이 公州 仙鶴里 지게놀이혼자서 노는 놀이, 둘이 놀 수 있는 놀이, 집단으로 노는 놀이로 이루어져 있다. 혼자서 노는 놀이 혼자서 노는 놀이는 〈지게 걸음마〉, 〈작대기 걸음마〉, 〈지게 작대기 꼬누기〉 3종이다. 〈지게 걸음마〉는 지게 위에 사람이 올라가 걷는 놀이이다. 지게 상단을 잡고 걷는 것은 운동 신경이 발달하고 균형 감각이...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드베두베’로, 평안도에서는 ‘씨앗통’으로 불린다. 지름 15㎝쯤 되는 바가지의 좌우 양쪽에 적당한 크기의 구멍을 뚫고 여기에 굵기 4∼5㎝의 둥글거나 네모난 작대기를 꿴 것으로 위쪽은 손잡이로 삼으며 길이 1.5m 가량의 아래쪽으로는 씨가 흘러내리게 되어 있다. 아래쪽의 내부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으며 적당량의...
- 성격 :
- 생활용품, 농기구
- 유형 :
- 물품
- 용도 :
- 농사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돌물레 돌물리영광)’·‘동들개(전라남도 보성)’로 불린다. 돌물레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가 있다. ① 끝이 가늘고 턱이 진 둥근 나무에 십자(十字)가 되도록 작은 작대기를 가로로 끼웠다. 이 둥근 나무 끝에 새끼나 바를 묶어서 자루를 돌린다. 경기도지역에서 많이 쓴다. ② Y자모양으로 끝이 벌어진 나무 끝에 기둥을 세우고...
- 성격 :
- 농기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나무
- 용도 :
- 농업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동틀개 미역타래내용 경상남도 남해 일대에서는 미역타래라고 한다. 긴 작대기의 끝 부분을 가위다리처럼 벌리거나 끝에 작은 막대를 꿰어서 십자형이 되게 만들며 다른 한 끝에 이것을 돌리기 위한 손잡이를 붙였다. 미역이나 다시마가 자라는 곳에 이것을 틀어넣고 돌리면 자연히 감겨 올라오게 된다. 미역이 잘 자라는 4∼5월에는 틀...
- 시대 :
- 현대
- 성격 :
- 어구
- 유형 :
- 물품
- 재질 :
- 나무
- 용도 :
- 어업, 해조류 수확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반두내용 두 개의 긴 작대기 사이에 너비 1.5m, 길이 1m쯤 되는 그물을 위는 좁고 아래는 조금 넓게 잡아매며 그물의 아랫도리에 작은 납덩어리를 달아서 물에 넣으면 가라앉게 만든다. 두 사람이 각기 한 쪽씩 쥐고 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고기를 가두어 잡거나 한 사람이 물이 흐르는 아래쪽에 이것을 벌리고 서 있고 다른...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귀사구 소매구댕이내용 ‘소매구댕이(전라남도 구례) · 사구(전북특별자치도 무주)’라고도 한다. 거름통의 거름은 흔히 긴 작대기 끝에 바가지를 매단 ‘똥바가지’로 퍼서 밭에 주지만, 호남과 영남지방에서는 귀사구라는 독특한 용기를 따로 만들어 쓴다. 이것은 전나무나 비자나무의 쪽널을 둥글게 세우고(높이 30㎝ 정도), 테를...
- 유형 :
- 물품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군위 법주사 왕맷돌 軍威 法住寺 왕맷돌맷돌은 암돌 가장자리에 옆구리로 뚫린 구멍이 있다. 여기에 끈을 꿰어 두 사람이 끈을 잡고 돌릴 수 있다. 네 구멍 맷돌은 구멍에 끈을 꿰어 긴 작대기를 잡아매고 작대기 끝을 밀고 나가면 암돌이 돈다. 곡물의 양이 많을 때는 나귀나 말의 길마(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하여 소나 말의 등에 얹는 기구)에 잡아매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축 강(椌), 柷된 축퇴(柷槌)를 세워 꽂고 그 밑바닥을 내리쳐서 소리를 내므로 ‘딱 딱딱’ 하는 나무 소리가 난다. 망치(椎柄)는 『악학궤범』 시대에는 방망이 밑에 작대기를 대어 ⟂모양으로 되어 있었으나, 지금 쓰이는 것은 밑에 대는 작대기는 없고 긴 방망이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방망이 모양은 치는 법에 관계가 있다. 즉...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사냥투대 · 낭투 · 엎덮이 · 매덮이 · 광지덮 등이 있으며, 착기류에는 찰코 · 창애가 있다. 올무는 칡이나 삼끈 또는 철사로 둥글게 지은 고리를 굵은 작대기에 잡아매어 짐승이 다니는 길에 놓으면 목이나 발이 걸려든다. 겨울철에 토끼를 비롯해서 노루와 멧돼지도 잡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참새 · 꿩 · 오리 사냥...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