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왜 때때로 NO라고 말하는 것이 필요한가?, assertiveness (동의어 자기 주장)assert는 “강력히 주장하다”, assert oneself는 “자기의 권리를 주장하다, 자기를 내세우다, 주제넘게 나서다”는 뜻이다.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속담은 “Justice will assert itself”로 표현할 수 있다. assert의 형용사형인 assertive는 “자기주장이 강한, 자신감 넘치는”이란 뜻인데, aggressive(공격적인...
-
노자 자기주장을 함부로 내세우지 마라하기 때문이오. 학식이 많고 말재주가 있는 사람이 자주 위험한 상황에 부딪치는 것은 남의 허물을 잘 지적하기 때문이오. 그러므로 말과 행동을 조심하고, 자기주장을 함부로 내세워서는 안 되오!" 이 말을 듣고 돌아간 공자는 제자들에게 말했다. "나는 새가 공중을 날아다니고 물고기가 헤엄을 잘 치며 짐승이 땅 위...
- 출생 :
- BC 6세기경
- 사망 :
- 미상
- 국적 :
- 중국
- 대표작 :
- 《도덕경》
-
한마디도 지지 않고 말대답을 해요 초등학교 4~5학년 아이와 부모 관계만큼 버릇없게 굴면 어떤 부모라도 화가 나게 마련이지요. 하지만 이는 아이와 부모의 관계가 달린 중요한 문제이므로 감정을 죽이고 지혜롭게 대응해야 합니다. 자기주장을 확실히 펼 정도로 사고력이 발달했다는 증거 아이가 부모 말에 꼬박꼬박 따지고 든다는 것은 거꾸로 생각하면 부모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을...
- 시기 :
- 초등학교 4~5학년
-
자기 고집대로만 하려고 하는 아이를 어떻게 하나요 인간심리의 발달잡게 되는데, 이는 프로이트 이론에서 초자아에 해당합니다. 심리상담 사례 문의내용 5살 아들이 놀이터에서 또래들과 놀면 꼭 싸움이 벌어집니다. 서로가 자기주장만 하고 양보를 하지 않으니 노는 건지 싸우는 건지 구분이 안 가네요. 차라리 혼자 놀게 하는 게 나을까요? 유치원에 다닐 무렵의 아이들은 참 자신만만...
-
자기 열등화 전략 왜 시험만 다가오면 머리가 아프거나 배가 아픈 수험생이 많..전망은 밝지 않다. 가격 재협상에 실패할 경우 능력을 의심받을 상황이므로 이 직원은 상사가 비현실적인 계획을 세웠다고 말하며 돌아다닌다. 결국 자기방어적 주장을 내세우며 직원은 회의 날짜를 잡는 것도, 협상 준비를 하는 것도 게을리 하고 결국 예상대로 가격 재협상에 실패한다. 상사가 비현실적이라는 주장은...
-
자기심리학 부모의 공감 실패가 자기애성 성격을 만든다맺는 사람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자기의 형성과정에서 하는 역할과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다. 코헛은 사람에게는 신체적 생존을 위해 산소가 필요하듯이 정서적 생존을 위해 자기대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분리-개별화(반발심 참조) 같은 정서적 독립이란 하나의 신화에 불과하다고 주장...
-
-
자기 충족적 예언 타인의 기대외 예언을 몸소 실천하다주관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그들의 행동 역시 주관적 이해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된다’는 미국의 사회학자인 토마스(William Thomas)의 주장이다. 결국 자기충족적 예언이란 누군가에게 부정적인 기대를 받거나 잘못된 예언을 듣게 되었을 때 그 영향을 받아 결국에는 그 기대와 예언을 스스로 성취하는 현상이다. 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