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입헌군주제 立憲君主制, constitutional monarchy
    군주가 헌법에서 정한 제한된 권력을 가지고 다스리는 정치 체제. 군주가 마음대로 통치하는 제도가 아니라, 법에 따라 왕이 통치하는 제도로 행정권이 군주에게 있거나, 민의를 대변하는 의회에서 선출한 총리가 행정권이 있다. 현재 입헌 군주제를 채택한 대부분의 국가는 총리에게 행정권이 있고, 군주의 자격은 혈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 헌법
  • 입헌군주제 立憲君主制
    입헌군주제란 헌법 체계 아래 세습 군주(국왕)를 인정하는 정부 형태다. 오늘날 입헌군주제는 대부분 대의 민주주의와 혼합돼 있으며 선거를 통해 실질적으로 국가를 통치하는 역할을 총리가 수행한다. 입헌군주제와 달리 왕이 절대적 권력을 지니며 통치하는 형태는 전제군주제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정치
  • 입헌군주제 (관련어 입헌 군주제) Constitutional monar..
    군주주의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란 헌법 체계 아래서 세습되거나 선임된 군주를 인정하는 정부 형태이다. 즉 정치적 군주의 권력이 헌법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군주제입헌군주제다. 현대의 입헌군주제는 보통 권력 분립의 개념을 충족하며, 군주는 국가원수의 역할을 한다. 군주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는 전제군주...
    도서 위키백과
  • Constitutional monarchy 입헌군주제, 立憲君主制
    A constitutional monarchy, limited monarchy or parliamentary monarchy (in its most limited form, a crowned republic)is a monarchy in which governing powers of the monarch are restricted by a constitution. Constitutional monarchy differs from absolute monarchy, in which a monarch holds absolute po...
  • 벨기에 벨기에왕국, Belgium
    북해와 접한다. 유럽 국가 가운데 가장 작은 국가이고 인구밀도는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한다. 1830년 독립 이래로 의회 형태의 정부를 갖춘 세습에 의한 입헌군주제를 실시하고 있다. 벨기에는 처음에는 중앙집권정부 형태였다. 하지만 1980, 1990년대 플랑드르, 왈론니아, 브뤼셀 수도권 지역들로 권력을 분산하는 연방...
    인구 :
    11,715,774명 (2024년 추계)
    수도 :
    브뤼셀
    면적 :
    30,689㎢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
    벨기에 왕국 (Kingdom of Belgium)
    기후 :
    해양성기후
    민족 구성 :
    플라망족(58%), 왈론족(31%)
    언어 :
    네덜란드어,프랑스어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 양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왕 / 총리
    종교 :
    로마가톨릭(75%), 개신교(25%)
    화폐 :
    유로 (€) 환율계산기
    국화 :
    아잘레아
    대륙 :
    유럽
    국가번호 :
    32
    GDP :
    USD 562,229,000,000
    인구밀도 :
    384명/km²
    전압 :
    220V / 50Hz
    도메인 :
    .be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벨기에 Belgium
    인접 독일·네덜란드·프랑스 등에 의존하고 있다. 2014년 현재 국내총생산은 5333억 달러, 1인당 국내총생산은 4만 7516달러이다.. 이 나라의 정체는 입헌군주제의 의원내각제이며, 의회는 양원제로, 임기 4년의 상원(74석)과 하원(150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정당은 기민당, 자유당, 사회당 등이다. 약사 이 지역...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북서부
    수도 :
    브뤼셀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3만 528㎢
    언어 :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종교 :
    가톨릭교, 개신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벨기에 벨기에왕국, Kingdom of Belgium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와 함께 베네룩스 3국에 속하는 벨기에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나라이지만, 지역별로 뚜렷한 특징을 지닌다. 북해 연안의 저지대인 북부에는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플라망족이 살고, 아르덴 고원이 솟아 있는 남부에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왈론족이 거주하며 남서부 일부...
    도서 ENJOY 유럽 | 태그 유럽
  • 바레인의 정치와 사회
    입헌군주국으로 현재는 할리파가(家)가 통치하고 있다. 정치 권력은 토후에게 집중되어 있어 1973년 제정된 헌법에 따라 토후가 국가의 모든 주요사항들을 결정하고 내각의 각료를 임명해 정부의 일상 업무들을 처리하게 한다. 보통선거로 선출된 입법부인 국회가 있었지만 몇몇 국회의원들이 체제전복을 꾀했다는 이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재가 (입헌군주제) Royal assent, 御准
    출처 필요 재가(裁可, 즉 입헌군주제에서 의회가 통과한 법안을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반포하여 법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영국,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은 국왕이 재가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대부분의 군주는 거의 의례적인 일로 간주한다. 군주는 심각한 정치적 비상상태나 (보류 권력) 그의 정부의 조언을...
    도서 위키백과
  • 특권 (군주제) Royal prerogative, 大権
    이후 영국의 왕가의 사적인 일을 제외한 특권을 발휘하는 힘을 의회가 독차지한다. 일본, 덴마크, 스웨덴 등 자유민주주의와 국민 국가 체계를 표방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국왕의 특권은 국가의 권력을 지탱해 주는 의례적인 기능이라고 규정한다. 영국의 헌법학자 앨버트 다이시는 영국의 군주가 거느리는 특권을...
    도서 위키백과
  • 입헌정체론 국헌(國憲), 立憲政體論
    주장하지는 않았다. 이후 유길준은 『서유견문(西遊見聞)』(1889)을 저술하면서 전제 군주제를 대신할 정체로 ‘군민(君民)의 공치(共治)하는 정체’, 즉 입헌군주제를 이상적인 형태로 간주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은 조선왕조의 제반 제도와 법령을 개혁하면서도 헌법 제정에 이르지 못했다. 1894년 12월 일본의 강요...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Royal assent 재가 (입헌군주제)
    Royal assent is the method by which a country's constitutional monarch (possibly through a delegated official) formally approves an act of that nation's parliament, thus making it a law or letting it be promulgated as law. In the vast majority of contemporary monarchies, this act is considered to...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입헌 군주제(constitutional monarchy)
더보기